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5월25일


성 그레고리오 7세 교황


St. GregoriusⅦ


Saint GREGORY VII


Pope St. Gregory VII


St. Gregory VII (Hildebrand), OSB Pope (RM)


San Gregorio VII Papa


Soana (Sorano, prov. di Grosseto), ca. 1020 - Salerno, 25 maggio 1085


(Papa dal 30/06/1073 al 25/05/1085)


Born:c.1020 as Hildebrand in Italy


Papal Ascension :1073


Died:1085


Gregorio = colui che risveglia, dal greco





힐데브란도는 1028년경 이탈리아 토스카나에서 태어났다.


로마에서 교육 받은 후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교회를 개혁하고자 노력하던 교황들의 사절로서 그들을 도왔고,


1073년경 그레고리오 7세라는 이름으로 교황이 되어 이 개혁작업을 꾸준히 수행해 나갔다.


황제 하인리히 4세의 반대에 부딪쳐 살레르노로 피신하고 그 곳에서 1085년 세상을 떠났다.





성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편지에서


(Ep. 64 extra Registrum: PL 148, 709- 710)



자유롭고 정결하며 보편적인 교회



당신의 죽음으로써 우리를 구속하신 주 예수 안에서, 우리가 그리스도교 신앙의 원수들 손아귀에서


얼마나 큰 환난과 고통을 당하고 또 무엇 때문에 당하고 있는지


여러분들이 잘 생각하고 이해해 주기를 요청하고 또 간청하는 바입니다.


어머니이신 교회가 심히 무가치한 사람인 나를, 하느님께서 잘 알고 계시는 바와 같이


그 자리를 원치도 않은 나를 하느님의 뜻에 따라 사도좌에 올린 이후부터 지금까지,


나는 하느님의 신부이고 우리 어머니이신 성교회가


자신의 참된 위치로 되돌아가 자유롭고 정결하며 보편적인 교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해 왔습니다.


그러나 옛 원수는 이 모든 것을 싫어하기에 모든 것을 전복시키고자 교회의 지체들인 우리를 거슬러 무장했습니다.



이 원수는 콘스탄티누스 대제 때부터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큰 피해를 우리에게, 특히 사도좌에 입혔습니다.


진정코 그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세월이 더 지나면 지날수록 그 옛 원수는 그리스도교 신앙을 말살하려고 더욱더 광분합니다.


사랑하는 형제 여러분, 우리가 여러분에게 말하는 것을 귀담아들어 주십시오.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을 지니고 있고 진실로 그리스도교 신앙을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전세계 누구라도


사도들의 으뜸이신 성 베드로가 모든 그리스도인의 아버지이며 그리스도 다음의 첫 목자라는 것과


거룩한 로마 교회가 모든 교회들의 어머니요 스승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또 믿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이것을 믿고 또 흔들림 없이 지지한다면,


여러분의 형제요 자격 없는 스승인 나는 전능하신 하느님의 사랑으로 청하고 명하니,


여러분이 이들을 통하여 모든 죄의 사함과 현세와 내세의 축복과 은총을 얻고자 한다면,


위에서 말한 여러분의 아버지와 여러분의 어머니를 도와주고 구출하십시오.


모든 선의 원천이신 전능하신 하느님께 여러분의 정신을 언제나 비추어 주시고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으로 열매를 맺게 해주시어,여러분이 변함없는 헌신으로써 위에서 말한


여러분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여러분에게 빚진 분들로 만들고 부끄럼이 없이 그분들과 친교를 이루게 되기를 빕니다. 아멘.


(가톨릭홈에서)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 축일:5월21일.게시판1773번.


*성 레오 9세 교황 축일:4월19일.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그레고리오 개혁]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본명이 힐데브란트(Hildebrand, 1020/25-1085)로서


그레고리오 6세(재위1045-1046)의 자문위원으로 임명되었다가 로마 교회의 암흑기 말(1046)에 교황과 함께 쾰른으로 축출되었다.


그는 클뤼니 수도원에 머물며 엄격한 수도생활 가운데 클뤼니 개혁을 체득하였다.


1049년 새로 선출된 교황 레오9세(재위1049-1054)의 요청으로 로마에 돌아온 그는 차부제품을 받고, 교황청의 재정 관리인과


로마 성 바울로 수도원의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1073년 교황에 선출되어 개혁을 통한 교권 확장에 나섰다.



그레고리오 개혁은 그의 정치적 성향으로 클뤼니 개혁과는 달랐다.


클뤼니 개혁에서 교회의 자유는 세속 군주와 주교들의 외부 압력과 침해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했다.


그러나 그레고리오 개혁은 황제나 귀족들을 통해 또는 성직매매의 방법으로 주교와 수도원장이 임명되던 제도를 공격하였다.


즉 그레고리오 7세의 주요 과제는 성직매매와 평신도(황제)의 성직(주교직) 서임권(敍任權)에 투쟁하는 것이었다.



서임권 문제에 있어서 그레고리오 7세는 황제를 교회에 복종해야 하는 평신도로 보았고,


인간에게 있서 영혼이 육신 위에 위치하듯이 그리스도교 제국에 있어서 교회와 교황은 국가와 황제에 우선한다는 신학적 주장을 내세웠다.


1075년 교황은 그레고리오 개혁의 지침서가 된 27개 항묵의 ’교황의 훈령’(Dictatus Papae)을 선표하였다.


교황은 이 훈령에서 교황의 수위권과 무류권을 강조하였다.


(세계교회사에서)







그레고리오는 희랍어로 ’파수하다’ 또는 ’지키다’란 뜻이다.


10세기와 11세기 전반기는 교회의 암흑기였는데 그 이유 가운데 하나는


교황권이 몇몇 로마 가문의 꼭두각시 노릇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049년에 개혁가인 교황 레오 9세가 선출되자 사태는 변하기 시작했다.


그는 젊은 수사인 힐데브란드를 로마로 불러서 교황의 고문 겸 중요한 사명을 담당할 특사로 임명했다.


그가 바로 그레고리오 7세이다.


그 당시 세 가지 악습이 교회를 휩쓸고 있었다. 성직이나 성물을 사고 파는 성직 매매, 성직자의 불법 결혼,


왕과 귀족들이 교회의 성직자 임명을 통제하는 평신도 서임권 등이 문제였다.


이 모든 악습에 대하여 힐데브란드는 개혁의 초점을 잡았는데 처음에는 교황의 고문으로서,


다음에는(1073-1085) 교황이 되어 스스로 개혁해 나갔다.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칙서는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교회 일치를 위한 볼 수 있는 중심으로서 로마 주교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하인리히 4세와의 기나긴 투쟁으로 유명한데,


하인리히 4세는 주교와 수도원장의 선출을 마음대로 하려 했던 것이다.


그레고리오 교황은 교회의 자유에 대한 어떠한 공격에도 맹렬히 저항했다.


이 때문에 그는 괴로움을 당했고 결국은 유배지에서 죽었다.


그는 "나는 정의를 사랑하고 불의를 미워했다. 그러므로 유배지에서 죽는 것이다."하고 말했다.


30년 이후에 교회는 평신도 서임권 투쟁에서 최종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그는 1606년에 시성되었다.



그리스도교의 역사에서 이정표가 되는 그레고리오 개혁은 이 세상 통치자의 부당한 간섭에서 온 교회를 구하고


교황권을 보호하고자 애를 쓴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레고리오 교황은 특정한 지역의 불건전한 국가주의적 교회에 대항하여


그리스도께 기초를 둔 온 교회의 일치를 주장했고 로마의 주교가 성베드로의 후계자임을 강조했다.



그레고리오 교황은 사회적 또는 민족적 종교가 미묘한 요구를 해오고 있는 우리 시대에 하실 말씀이 많을 것이다.


"모든 나라에서는 가장 가난한 여인이라도 그 나라의 법률에 따라서 그리고 또 자신의 선택에 따라서 합당한 남편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악한 사람들의 욕구나 악한 행실에 의하여 하느님의 배필이고 우리 모두의 어머니인 거룩한 교회는


하느님의 율법과 자기 자신의 뜻에 따라서 지상의 배우자를 정당하게 지키는 것이 용납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성그레고리오 7세,’신자들에 대한 호소’)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그레고리오 개혁’ 영권(靈權)의 우위 확립



교황직은 그레고리오 대교황 때(590-604) 세계적 지배자로 부각되었으나 그 후로는 11세기 초까지 침체와 쇠퇴를 면하지 못했다.


그간 니콜라오 1세(858-867)를 제외하면 별로 뛰어난 교황이 없었다.


뿐만 아니라 카롤링 왕조가 멸망하지 교황직은 강력한 황제들의 후견을 받지 못함으로써 무방비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때 교황직은 로마 귀족들의 파벌 싸움의 노리개가 되어, 점차 그 보편성을 잃고 일개의 평범한 교구로 전락했다.


후세의 역사가는 이 시기를 ’암흑의 세기’로 부르게 되었는데 그것은 카롤링 왕조가 멸망한 880년부터 교회가 자율을 되찾으려고


자각하기 시작하는 1046년까지 계속되었다. 여교황 요한나도 실은 이런 암흑세기와 관련되어 만들어진 전설이다.



그 사이에 교황직보다 황제직이 먼저 재기했다. 즉 962년 오토대제의 등장으로 신성 로마제국이 탄생하고 잇달아 뛰어난 황제들이 나타났다.


그들은 교황과 주교들이 하는 일에 마구 간섭했다. 이러한 속권의 우세는 1046년에 그 절정에 이르렀다.


그러나 정점은 동시에 전환점을 의미하였으니, 이때부터 영권이 우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1046년부터 국가의 간섭으로부터 교회의 자주와 자유를 수호하려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먼저 수도회에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수도원과 수도생활을 주교나 제후들의 부당한 압력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운동이었으니, 클뤼니 수도회가 이 운동의 주도적 역할을 했다.



수도회에서 일어나 교회 개혁운동은 곧 교황청으로 파급되어, 이른바 그레고리오 개혁을 낳게 했다.


그레고리오 개혁이란 성 그레고리오 7세(1073-1085)의 교황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실제로 그는 교황이 되기전 클뤼니 수도회의 수도자로 있을 때부터 이 운동을 주로 했었다.


그에게는 국왕도 단순한 평신도였고 그래서 교회에 순종해야 했다.


그래서 그레고리오 개혁은 교회를 세속의 권세가들의 간섭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을 최고의 목적으로 삼았다.


그레고리오는 교황이 된 후 그의 유명한 ’교황령’에서 이러한 원칙을 이론화했다. ’교황령’에 의하면 교황은 그리스도교 세계 최고의 권위자이다.



그는 모든 주교들의 권리에 간섭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또한 영적인 최고권의 소유자로서 제왕들보다 높고, 따라서 종교적원리적 견지에서 필요한 때엔 제왕을 파면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독일황제 하인리히 4세는 도리어 영권을 구속하려 했다. 그는 왕인 동시에 사제임을 부인했다.


속권과 영권을 둘러싸고 이와 같이 대립된 견해는 대결하지 않을 수 없었고, 결국 그것은 속인에 의한 성직서임의 폐단을 제거하려는


소위 임직권(任職權) 논쟁에서 구체화되었으며 카노사에서 결판을 내리게 되었다.



성그레고리오 7세는 하인리히 4세가 밀라노 주교 선거에 간섭하려 하자, 임직권을 엄금하고 그것을 어길 경우 파문도 불사할 것을 선언했다.


하인리히는 교황의 그러한 선언에 개의하지 않을뿐더러 교황의 폐위를 선언했다.


교황은 하인리히에게 파문으로 응수했다. 어떻게 판결이 날것인가. 온 세계가 숨을 죽였다.



상황은 하인리히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독일 제후들은 하인리히편을 들지 않았고, 만일 1년 이내에 교황으로부터 파문의 해제를 받지 못하면 새 왕을 선출할 것을 선고했다.



하인리히는 하는 수 없이 교황을 찾아 가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로마로 가려면 알프스를 넘어야 했고,


거기서는 하인리히를 반대하는 제후들이 있어서, 알프스를 쉽게 넘을 수가 없었다.


부득이 하인리히는 가족을 이끌고 에페닌 산맥의 북쪽에 있는 카노사 성으로 갔다. 그 때가 1077년 1월 아주 추운 겨울이었다.


여기서 하인리히 황제는 참회자로서 참회복을 입고 그레고리오 교황에게 사죄를 간청하게 되었다.



그레고리오 교황은 처음에 사죄를 거부했다.


그러나 하인리히의 대부인 클뤄니 수도원장과 카노사를 포함한 변경의 태수 부인의 간청으로 독일 제후들의 분쟁에 있어서


교황의 판결을 수락한다는 조건하에 하인리히를 파문으로부터 풀어 주었다.



하인리히는 패배했다. 그레고리오가 강자임이 드러났다.


속권이 영권에 굴복함으로써 서구 세계의 헤게모니가 황제에게서 교황한테로 넘어갔다.


독일 왕권은 소위 ’카노사의 굴욕’으로 앞으로 재가가 거의 불가능한 정도로 심한 타격을 받았다.


이처럼 카노사의 사건은 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그후 모든 제왕들에게 굴욕적인 상징으로 남게 되었다.


1872년 문화투쟁의 주인공인 비스 마르크는 독일의회에서 교황과의 문제가 나오자


"우리는 카노사로 가지는 않을 것이다"고 선고함으로써 의원들의 박수갈채를 받았다고 한다.



성 그레고리오 7세 교황과 하인리히 4세 황제와의 관계는 곧 다시 악화되었다.


그레고리오는 다시 하인리히를 파문하고 폐위시켰다.


하인리히는 대립교황을 세움으로써 그레고리오에게 응수할뿐더러, 직접 로마 공격에 나섰다.


그레고리오 교황은 부득이 이탈리아 남쪽으로 피신했다. 그는 거기서 1085년 5월에 사망했다.


그는 죽으면서 "나는 정의를 사랑하고 불의를 미워했다. 이로 인해 나는 귀양살이에서 죽는다"는 마지막 말은 남겼다고 한다.


그것은 역사적으로 확실하다. 이 말은 시편(44)에 나오는 말이다.



그레고리오는 시편의 ’이로 말미암아 하느님은 너를 기쁨의 기름으로 발랐다’는 말을 ’이로 말미암아 나는 귀양살이에서 죽는다’는 말로 바꾸었을 뿐이다.



지금까지 사람들은 이 말을 패배자의 표현으로 해석했다.


즉 하느님이 의로운 그레고리오에게 그의 공적으로 보답하기를 거절했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그 해석을 다르게 하고 있다.


즉 그 말은 오히려 그레고리오의 순교자적 고백을 나타낸 것으로서, 세상이 하느님의 사자인 그레고리오를 유배시킴으로써,


세상이 하느님이 주신 구원을 배척했음을 입증하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죽음은 패배 같이 보였으나 실제로는 승리였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우리 주 예수께서 성 베드로와 그의 후계자들에 대해 "잘 들어라. 너는 베드로(반석)이다.


내가 이 반석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죽음의 힘도 감히 그것을 누르지 못할 것이다"


(마태 16,18)라고 말씀하신 예언은 우리를 속이지 않는다.



외부로부터의 압박과 박해, 내부에서의 분쟁과 소란도 없지는 않았지만 많은 폭풍우 속에서도


로마의 성좌는 천고의 바위와 같이 높고 뚜렷하게 솟아 있어 그 위에 서있는 교회를 태산과 같이 안전하게 지탱했다.



그 뿐 아니라 하느님께서는 교회라는 작은 배가 큰 파도에 휩쓸려 금방이라도 침몰될 위기에 처할 것 같으며


반드시 훌륭한 분을 선두에 내세워 교회를 위험에서 하셨다.


여기에 수록할 성 그레고리오 7세도 교회의 위기에 하느님께 특별히 선택되신 위대한 교황 중의 한 분이셨다.



힐데브란트(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전 이름)는


1020년에서 1025년 사이에 이탈리아 토스카니아 지방 소아나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가정은 가난했지만 본당 사제가 그의 영리함을 보고 로마에 유학시켜 고등교육을 받게 했다.


그 후 수도 생활을 시작했고 클뤼니 수도원과도 연관이 있는 듯하다.



1045년, 가르침을 받은 바 있는 은사 그레고리오 6세 교황에게 초청되어 로마에 갔다.


그레고리오 6세 교황은 이듬해 세상을 떠났으나 그 뒤 5대에 걸친 교황들에게 봉사하며 로마에서 중책을 맡았다.



성 레오 9세 교황은 그의 열렬한 신앙심을 인정해 그에게 로마의 한 베네딕토 수도원의 개혁을 의뢰했다.


그 회 수사들은 사기가 퇴폐되고 수도 생활의 열심도 놀랄 만큼 식어져 있었다.


그레고리오는 늘어진 인심을 가다듬고 그들의 열심을 일으키기 위해


말보다는 실천으로 모범을 보여 예상외로 빠리 수도회를 쇄신 할 수 있었다.


이 비상한 수완은 그가 나중에 행한 바 있는 전 교회에 걸친 혁혁한 혁신의 성공을 미리 약속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성 레오 9세 교황은 "등불을 켜서 그릇으로 덮어 두거나 침상 밑에 두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누구나 등경 위에 얹어 놓아 방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그 빛을 볼 수 있게 할 것이다"(루가 8, 16-17)하신 성서 말씀대로


이처럼 훌륭한 그레고리오를 추기경에 오르게 하고, 프랑스 주재 교황 사절로 임명했다.


그 후 그레고리오는 독일의 교황 사절이 되어 황제 하일히 4세와 여러가지 절충에 노력했는데


언제든지 그의 직무에 대한 감탄할 만한 열심과 출중한 인격 등은 만족한 결과를 가져오곤 했다.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다.


1073년 알렉산데르 2세 교황이 서거하자 추기경, 주교 사에,


평신도 등 모든 방면의 삶들에게 교황 취임을 의뢰받게 된것도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전승에 의하면 고화의 장례식을 마친 후 어떤 사람이 "힐데브란트 경이야 말로


베드로의 성좌에 오르실 부니다"라고 절규하자 모든 사람이 이에 합해 폭풍우와 같이 환호하며


그레고리오를 들고 교황의 옥좌에까지 모시고 갔다 한다.


여기에서 그는 이것이 하느님의 성의라는 것을 깨닫고 이 중책을 받아들여 기뻐하기보다는


오히려 책임의 중대함을 통감하고 하느님의 도우심을 청했다 한다.



당신 교회내에는 슬프게도 성직 매매의 폐풍이 유행하고있었고, 성직자의 타락도 우려할 만한 것이어서


단호히 개혁하지 않으면 전 교회를 부패의 병독(病毒)에서 구할 수없으리라고 평소부터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유감된 일이지만 독일 황제 하인리히 4세도 성직 매매에 관계가 있었으므로 전대의 교황에게 파문당한 일도 있었다.


그래서 그레고리오는 등극 후 바로 로마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위와 같은 폐단의 방지책으로


새로이 엄중한 규칙을 정하고 많은 회칙을 교회의 각 지방에 보내 이를 개혁하는 데 힘썼다.





오랜 인습에 젖은 성직자들 중에는 그레고리오 7세의 개혁을 좋아하지 않고


그의 훈계를 따라가지 않는 자도 있었다.


독일 황제 하인리히 4세는 1075년 이와같은 불만의 주교들을 모아놓고 보름스에서 회의를 열어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폐위를 기도하고 무례한 결의문을 그에게 보냈다.



그는 우리 주 예수와 같이 진심으로 원수들을 용서할 뿐만 아니라 곁에 있던 로마 귀족이 분개해


결의문을 가지고 온 사신을 죽이려고 했을 때도 그를 보호해 주기까지 했다.


그러나 교회 질서를 어지럽힌 황제 등을 그대로 내버려 둘 수없었으므로 그는 눈물을 머금고 그들을 파문했다.



하인리히 4세 황제는 크게 분노하며 우트레히트의 주교에게 그를 살해하라고 했다.


그러나 바로 그 시각부터 주교좌 성당이 벼락을 맞아 전기가 끊기는 등 천벌이라고 할 만한 여러가지 불행이 닥쳤고,


독일 국민은 황제를 배반해 하인리히는 곤궁에 빠졋다.


그래서 할 수없이 독일의 제후들의 트리부르 회의에 참석한 교황을 카노사(Canossa)성에서 방문하고


자기 죄의 용서를 청해 겨우 파문은 벗어났으나 진심으로 회개한 것은 아니었다.



하인리히 4세는 다시 포악한 태도로 교황을 괴롭혀 다시 한번 파문을 내리자 그는 교황에 대해


갖은 욕설을 퍼부었을 뿐만 아니라 군대를 인솔하고 이탈리아에 침입해 로마를 포위하고


교황을 포로로 삼으려고 해서 교황은 할 수 없이 살레르노(Salerno)로 피신했다.



그곳에서 교황은 병을 얻어 1085년 5월 25일 귀양살이와 같은 적적한 생애였지만


주님과 함께 살았던 자로서의 고요한 최후를 맞았다.


전설에 의하면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은 마지막으로 이런 말을 남겼다고 한다.



"이 몸은 정의를 사랑했다. 그랬던 만큼 추방되어 이 유배지에서 죽는 것이다."


(대구대교구홈에서)





♬7.Canto Gregoriano-SalveRegina[Solemne]











































Pope GREGORY VII



Also known as


Hildebrand


Memorial


25 May


Profile


Educated in Rome. Benedictine. Monk. Advisor to Popes. Pope. Fought against lay investitue, and strengthened the interior life of the Church. Driven from Rome by emperor Henry IV, and died in exile.


Born


c.1020 as Hildebrand in Italy


Papal Ascension


1073


Died


1085


A


Readings


Now, my dearest brothers, listen carefully to what I tell you. All those throughout the world who are numbered as Christian and who truly acknowledge the Christian faith know and believe that the blessed Peter, the prince of the apostles, is the father of all Christians and, after Christ, the first shepherd, and that the holy Roman Church is the mother and teacher of all the churches. Therefore, if you believe this and hold to it without hesitation, I ask you and enjoin upon you by Almighty God - I your brother and unworthy teacher as I am - to support and assist your father and your mother if you wish to have, through them, the remission of all your sins, along with blessings and grace in this world and in the life to come.



May almighty God, from whom all good things come, continually enlighten your minds and fill them with love for him and for your neighbor, so that by your devotion you may deserve to make this father and mother of whom I have spoken your debtors and enter without shame into their company. Amen.


from a letter by Pope Saint Gregory VII








San Gregorio VII Papa



25 maggio - Memoria Facoltativa


Soana (Sorano, prov. di Grosseto), ca. 1020 - Salerno, 25 maggio 1085



(Papa dal 30/06/1073 al 25/05/1085)


Idelbrando di Soana fu monaco a Cluny e, anche per acclamazione popolare, divenne pontefice. Credette fermamente in una Chiesa gerarchicamente organizzata con al vertice il pontefice, garante dell’unita e della fede. Cosciente delle alte responsabilita di successore di Pietro, nel 1074 indisse il primo grande Concilio riformatore. Denuncio l’ingerenza del potere civile nelle nomine dei vescovi, degli abati e degli stessi pontefici mettendo le premesse della ’lotta per le investiture". L’umiliazione di Enrico IV a Canossa fu uno dei piu drammatici episodi di questa lotta. Si occupo di molti problemi della sua epoca ma il suo grande merito e stata la riforma della Chiesa e la lotta contro la simonia e la rilassatezza dei costumi del clero.



Etimologia: Gregorio = colui che risveglia, dal greco



La riforma detta “gregoriana” non e solo opera di Ildebrando di Soana, poi papa Gregorio VII. Ma lui la soffre piu di tutti, dopo aver aiutato pontefici riformatori per trent’anni. Di origine toscana, forse monaco, studia al Laterano, diventa cardinale con Alessandro II e nel 1073 gli succede. Riformare significa espellere tutti quelli ? vescovi, abati, preti ? che hanno mercificato la fede comprando cariche e facendo negozio dei sacramenti. Contro di essi si sono sviluppati dal basso movimenti di riforma (non sempre esenti da violenza). Con Gregorio, e il vertice che compie il massimo sforzo per cacciare gli indegni. E si scontra con i loro famelici parentadi, con gli interessi coalizzati, e con molte casate aristocratiche, da tempo abituate a scegliersi vescovi e preti. Papa Niccolo II (1059-61) ha gia tolto ai sovrani e alla nobilta romana l’ingerenza nelle elezioni papali. Ora Gregorio vieta su tutta la linea al potere laico di conferire i poteri spirituali (Sinodo del 1075). E poco dopo, con un documento detto Dictatus papae, codifica la sua visione di una Chiesa fortemente accentrata sul pontefice, come capo assoluto e diretto di ciascun vescovo, e col potere anche di destituire l’imperatore, esonerando i sudditi dall’obbedienza.


L’imperatore e il tedesco Enrico IV, 25 anni, re in Germania e in Italia, che si scontra col papa facendo eleggere a Milano un vescovo di sua fiducia. Alta protesta di Gregorio; ma Enrico replica, sostenuto da 30 vescovi tedeschi riuniti a Worms, dichiarando deposto il papa ("il falso monaco Ildebrando", dice il documento). Gregorio VII scomunica Enrico, che ora rischia il trono; vescovi e principi tedeschi gli impongono infatti di riconciliarsi col papa, in un incontro a Worms previsto nel febbraio 1077. Ma Enrico gia in gennaio e a Canossa davanti al papa, in saio da penitente. E ottiene il perdono di Gregorio VII promettendogli di "sottostare al suo parere". Salva cosi il regno senza prendere impegni precisi. Poi continua come prima a nominare vescovi e abati. Nuovamente scomunicato, nel 1080 fa eleggere a Bressanone un antipapa (Clemente III). E fa occupare dalle sue truppe Roma.


Chiuso in Castel Sant’Angelo, il papa e poi liberato dal normanno Roberto il Guiscardo che viene dal Sud. Ma viene con mercenari predatori e assassini, che si fanno odiare dai romani per le loro atrocita. E l’odio ricade anche su Gregorio VII, che gli stessi romani nel 1073 avevano acclamato papa, prima ancora dell’elezione. Finisce i suoi giorni a Salerno, in una desolazione ben espressa dalle famose parole che gli sono attribuite: "Ho amato la giustizia e detesto l’iniquita: percio muoio in esilio". Dice di lui lo storico Muratori: "Pontefice onorato da Dio in vita e dopo morto da vari miracoli, e percio registrato nel catalogo de’ santi". Papa Paolo V ne autorizzera il culto nel 1606.




Autore: Domenico Agasso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284 프란치스칸 성인 5월22일 코르시카의 성녀 율리아♬Puer Natus Est Nobis 안젤라 2010-05-17 135106
283 프란치스칸 성인 5월22일 복자 요한 포레스트 순교자(1회)♬가난함을 주소서 안젤라 2010-05-17 4328
282 프란치스칸 성인 5월22일 카시아의 성녀 리타 수도자♬Gloria XV 안젤라 2010-05-17 5445
281 프란치스칸 성인 5월23일 성 요한 밥티스트 로시 사제♬Veni Sancte Spritus 안젤라 2010-05-17 5961
280 프란치스칸 성인 [이콘]성령강림 대축일♬임하소서 성령이여 안젤라 2010-05-17 5162
279 프란치스칸 성인 5월24일 아씨시의 성프란치스코 대성당 봉헌 축일♬태양의 노래 안젤라 2010-05-23 5167
278 프란치스칸 성인 5월24일 성녀 요안나 거룩한 부인♬성모님께 드리는 노래 안젤라 2010-05-23 4324
277 프란치스칸 성인 5월25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데 파치 동정♬De Profundis 안젤라 2010-05-23 4334
» 프란치스칸 성인 5월25일[그레고리오개혁]성 그레고리오 7세 교황♬Salve Regina 안젤라 2010-05-23 4321
275 프란치스칸 성인 5월25일 성 베다 사제 학자♬시편102(103) 안젤라 2010-05-23 20666
274 프란치스칸 성인 5월25일 성녀 막달레나 소피아 바라 동정♬예수 마음 안젤라 2010-05-23 20785
273 프란치스칸 성인 5월26일(3월14일)복녀 에바동정과 4월5일(4월6일)코르닐롱산의 복녀율리아나동정♬Salve Festa 안젤라 2010-05-26 4786
272 프란치스칸 성인 5월26일 성 필립보 네리 사제(3회)♬salve regina coelitum 안젤라 2010-05-26 4762
271 프란치스칸 성인 5월27일 켄터베리의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Kyrie XI A 안젤라 2010-05-26 17252
270 프란치스칸 성인 5월28일빠레데스의 성녀 마리아안나동정(3회)♬4.LA PAIX OUI LA PAIX 안젤라 2010-05-26 5472
269 프란치스칸 성인 5월29일 피사의 성녀 보나♬Puer Natus In Bethlehem-Canto Gregoriano 안젤라 2010-05-26 10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