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5월22일


카시아의 성녀 리타 수도자


St. Rita of Cascia


Santa Rita da Cascia Vedova e religiosa


Born:1386 at Roccaparena, Umbria, Italy


Died:22 May 1457 at the Augustinian convent at Cascia of tuberculosis


Beatified:1 October 1627 by Pope Urban VIII


Canonized:24 May 1900


Rita = accorc. di Margherita





리타는 마르게리타(Margherita)의 축약형이다.


1457년에 임종. 이탈리아 스뽈레또 교외 로까뽀레나에서 태어난 리타(혹은 리따)는 자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2세의 어린 나이로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지만, 18년 간의 결혼생활은 불행하였다.


남편은 어린 아내를 학대했을 뿐만 아니라 마침내는 싸움 끝에 살해당하였기 때문이다.


그나마 두 아들마저 죽게 되었을 때, 리타는 카쉬아의 아우구스티노회에 3번이나 입회를 신청하였지만 번번히 거절당하였으나,


1413년에는 기어이 허락을 받았다.



그녀는 지난날의 생활을 반성하고 자신처럼 불우한 삶들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철저한 고행과 기도생활에만 전념하였다.


또한 그녀는 수차례나 환시를 체험하였고, 1441년에는 가시관을 쓰신 예수님과 꼭같은 상처로 고난에 동참하기도 하였다.


그녀는 1900년에 시성되었고, 좌절하고 실망한 사람들의 수호성인이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아시시 시청 광장에 있는 원죄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마리아께 봉헌된 성당안에 있는 성녀 리타의 성상.


photo by youangela 2005.8.29.


- 이 성당은 기원전 100년경에 지어진 이오니아식 건물인 미네르바신전이었으나


후에 수바시오산 분도형제회에서 접수하였고, 현재는


TOR(율수3회:3회 회칙에 기원을 둔 수도공동체,1323년 요한22세 인준, 재속3회와 분리)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 살다간 많은 성인 중에서 기적의 열매를 항상 지니셨던 분이 바로 리타 성녀이다.


아펜니노 산맥의 골짜기를 들어가면 자그마한 산골이 나오는데 이곳이 성녀의 출생지인 카쉬아이다.


이곳은 성 프란치스코가 태어났던 아시시와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으며


오랫동안 지역 주민들끼리의 반목 때문에 사소한 분쟁과 혼란이 끊이지 않던 곳이다.



그녀가 생존해 있던 l370 년대부터 15 세기 초엽까지 교회는 혼란의 거친 풍랑을 맞는 시기였으며,


교황 그레고리오 11 세는 유럽 혼란을 피해 로마를 떠나 아비뇽으로 교황청을 옮겨갔던 때였다.





리타 성녀는 출생 전부터 기적의 화관을 쓰고 있었는데


그녀의 부모인 안토니오와 아마타는 늦게까지 아이가 없어, 비어 있는 요람으로 하루하루를 지냈다.


하루는 아마타가 열심히 기도하다 환시를 통해


"곧 너의 기도의 선물로 여자아이를 낳을 터인데 그 아이는 후에 큰 일을 하게 될 것이다"는 천사의 말을 들었으며


그 아이의 이름을 ’리타’라고 지을 것을 당부하였다 한다.


그리하여 1381 년에 태어난 리타는 그 해 5 월 22 일 유아 세례를 받았다.


세례를 받은 지 며칠 안되어 기적같은 일이 또 벌어졌다.



아기가 잘 쉴 수 있도록 부모는 요람을 들판 그늘에 놓고 일을 하는데


온갖 새들이 아기 주위에 찾아와 평화롭게 맴돌았으며,각종 짐승들이 아기와 대화하듯이 뛰놀았다 한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부모에게 절대 순종하는 효심과 깊은 신앙심이 있었다.


또한 자신을 온전히 하느님께 바치기로 결심했었다.


그러나 리타에 대한 부모의 바람은 달랐다.


그녀가 자식을 키우며 살아가는 평범한 여자가 되길 원했다.





부모의 뜻에 따라 l2 세의 어린 나이에 `파올로 디 페르디난도’란 남편을 맞게 되었는데,


그녀의 남편은 마을 사람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사람이었으며 비신자였다.


리타는 결혼시기 동안 남편으로부터 받은 온갖 고통과 굴욕을 오직 사랑으로써 극복하여 끝내는 남편을 회개시키고


결혼 18 년째 되는 해 교리반에 등록시켜 착한 그리스도의 자녀가 될 준비를 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어느날 둑을 걸어가던 리타와 페르디난도는 평소에 원한을 품고 있던 `단테지’란 사람을 만나게 되고


싸움 끝에 남편은 칼에 맞아 죽고 말았다. 그녀는 눈앞에서 죽어 가는 남편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그녀는 마음 한구석에서 일어나는 인간적인 심판과 복수심을 신앙의 힘으로 극복해 나갔다.



이어 남편을 살해한 단테지란 사람을 용서하고 그를 아들의 견진 대부로 세우게 되었다.


남편이 죽은지 일년도 안되어 두 자식도 병마에 시달리다가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그녀의 30여 년 동안의 세속에서의 생활은 언제나 좌절과 고통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매 시기마다 주님께 의지하며 극복해 내었던 것이다.


홀로 된 리타는 아픔을 극복하고 그분께 결혼 전 약속했던 자신을 봉헌하기로 마음을 굳히고 카쉬아의 아우구스티노 수녀회를 찾았다.


하지만 동정녀의 모습이 아닌 그녀를 수녀원은 받아들일 수 없었다.



원장 수녀는 그녀의 깊은 신앙심을 보고 훌륭한 수도자가 될 것임을 알았으나 규칙상 과부는 입회한 전례가 없어 허락하지 못하고 있었다.


고향으로 돌아온 리타는 기도와 고행, 선한 일 등 수도자와 같은 삶을 살아가며 어떤 모습으로든지 자신이 받아들여지기만을 기다리며 간구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기도하는 리타에게 그녀의 전구를 들어주던 수호성인들이 찾아와 아무도 들어갈 수 없는


굳게 닫힌 아우구스티노 수녀원 안뜰의 지하 기도방으로 인도하는 기적이 일어났다.


그날 아침 공동기도를 위해 기도방에 내려온 수녀들은 입회가 허락되지 못했던 그 부인이 기도하고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으며,


이 사건에 대해 원장 수녀는 주님 은총의 징표임을 확신하고 수녀원 생활을 허락하게 되었다.





영신적으로 단련되어 있는 그녀에게 있어 수련기는 더욱 굳센 바탕이 되었다.


항상 고요한 곳을 찾아 묵상을 즐겼다.


그리고 인간이므로 가질 수 있는 욕망이 사라질 때까지


돼지털로 짠 거친 수도복 속에 많은 가시를 넣어 자기 몸을 찌르면서 생활하였다


수녀원 생활이 시작된 이후에도 리타 성녀에게 베풀어지는 하느님의 보살핌은 계속되었다.



그녀는 정원 한구석에 이미 말라죽은 포도나무에 물을 주기 시작했다.


매일 아침저녁으로 정성을 다해 계속 물을 주고 기도하는 것을 여러 동료 수녀들은 어리석다고 비웃기까지 했으나,


어느 화창한 날 죽어 있었던 포도나무 가지의 잎사귀가 움트고 포도가 듬뿍 열린 기적이 나타났다.





종신 서원을 받을 때에도 하늘의 징표가 내렸는데,


자신을 받아주신 하느님의 은총에 감사드리며 묵상 중에


갑자기 계단이 하늘에서 내려와 길게 놓여지더니 그 꼭대기에 예수님께서 성좌에 앉아 계셨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광채를 띤 예수님은 인자하신 모습으로 그녀를 향해 올라오라고 말씀하셨다 한다.


그후 원장 수녀가 된 리타 성녀는 수녀원의 구석 구석을 살아있는 수도원이 되게 가꾸었으며 따라서 지원자들도 많아졌다.





심신의 고통과 단식, 계속되는 보속의 생활로 인해 결국 리타 성녀는 건강을 잃게 되었고,


몸져 누워있는 동안 전혀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그녀에게 성체를 영할 수 있는 배려가 내려져 그 성체를 영하는 힘으로 간신히 생명을 지탱해 갔다.


오랜 투병생활 동안에도 그의 영혼은 견고하고 깨끗했으며 병자의 얼굴이 아닌 항상 밝은 모습을 지녔다.



그의 친척들이 마지막 작별 인사를 하기 전, 리타 성녀에게 무엇이든 부탁이 있으면 들어주겠다고 하자,


그 추운 겨울 고향에 있는 자기 집 텃밭에서 장미꽃 한 송이를 갖다 달라고 했다.


친척들은 이 겨울에 어디서 장미꽃을 구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텃밭에 가보니


과연 엄동설한에서도 한 송이 장미꽃이 의연히 피어 있었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을 세상에 보여주시고 가셨다.





l595 년 시복되고 l900 년에 시성된 리타 성녀의 유해는 현재까지도 수녀원 내부에 안치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하얀 피부를 유지하고 부패되지 않았으며


l828 년 그녀 시복 축하 축제 때 혼잡한 축제 분위기를 경고하는 듯 몸이 움직이고 눈이 떠져 현재까지 두 눈이 떠 있는 상태이다.


리타 성녀의 축일은 5 월 22 일에 지내고 있다.



그녀 스스로 과거의 절망과 아픔을 극복하였듯이, 세상 저 아래서 구원받지 못하는 가련한 이들과


매순간 한탄과 절망 속에서 헤매이는 모든 이들에게 리타 성녀는 하느님 안에서의 희망과 꿈을 가르쳐 주었다.


또한 정녕 결백하고 완전한 사랑은 아무런 보상을 기대하지 않으며 더욱더 하느님의 종임을 채찍질해야함을 가르치고 있다.








큰 계획


리타의 두 아들은 아버지가 살해되자 복수를 맹세했다.


그러나 리타는 아들들이 살인을 저지르기 전에 그들을 데려가 달라고 기도했다.


그의 소원이 이루어져서 아들들은 자신들의 뜻을 행동에 옮기기 전에 병에 걸려 죽었다.



성녀 리타는 분명히 자신이 기도했던 대로 응답을 받았다.


하느님은 우리가 ‘생각하고 원하는’ 것을 주시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주신다.


우리는 사고 영역이 아주 제한적이어서 눈앞의 좋은 것만을 구하지만, 하느님은 영원을 위해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가를 보신다.



당신이 정말로 원하는 직장을 구하기 위해 면접을 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곳이 월급을 많이 주는 직장이라면 당신은 꼭 채용되게 해 달라고 간청할 것이다.


그러나 하느님은 당신이 그 직업을 갖지 않기를 바라실 수도 있고,


그 일이 당신의 영혼에 해악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당신을 떨어뜨리실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하느님이 우리를 위해 더 좋은 계획을 갖고 계시다는 것을 믿는 것이다.



자신의 기도가 응답을 받지 못했다고 생각될 때, 우리를 잘못된 판단에서 구해 주셨음을 믿고,


앞으로 주실 축복에 대해서 하느님께 감사드리자.


당신이 원했던 것을 받지는 못했지만 그것이 오히려 큰 축복이 되었던 경험은 없는가?


내게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 하느님은 알고 계신다.


(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서재의 聖 아우구스티누스-Alessandro Botticelli


1480.Fresco. 피렌체 옹니생티 성당 소장. ltaly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영성


한마음 한뜻(Anima Una et Cor Unum)으로 대표되는 수도회의 영성은,


먼저 자기 자신과의 일치 그리고 이웃과의 일치, 형제들과의 일치,


더 나아가 하느님과의 일치를 추구하는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회원의 정신을 함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성 아우구스띠노의 정신과 은수적인 전통에서 유래된 아우구스띠노 수도회의 영성은 다음과 같이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요약할 수 있다.



1. 내향성(內向性, Interiority):


아우구스띠노회의 영성은 산란한 마음으로 인한 혼란과 불안을 떨쳐버리고 "자신으로 돌아가라"는 부르심으로 시작한다.


성 아우구스띠노는 "너 자신으로 돌아가라. 진리가 인간 내면 안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일 네 마음이 변덕스럽다고 생각되면, 너 자신을 넘어서 … 이성의 원천이신 하느님께로 다다르라"고 말씀하셨다.


여기에서 우리는 기도와 관상이 아우구스띠노회의 수도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신께서는 당신 스스로를 위해 우리를 지으셨으니, 오, 주여, 우리 마음이 당신 안에 안식을 얻기까지 우리의 맘은 쉼이 없나이다. (고백록 1권, 1장)



2. 공동체:


"우리의 제일의 사도직은 공동체 생활입니다"라고 아우구스띠노회 회원들을 말하고 있다.


이것은 아우구스띠노 수도회 공동체가 형제애의 정신과 개인에 대한 관심으로 특징지어짐을 나타낸다.


물론 이 말이 우리 이웃에 대한 사도적 봉사와 사랑의 봉사의 중요성을 격감시키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이러한 봉사의 기초를 보다 명확히 하려는 것이다.


이는 회헌의 다음 구절에 잘 표현되어 있다. "아우구스띠노회 공동체는 개개인의 개성을 잃게 하지 않는다.


공동체는 서로간의 충실함과 신뢰, 성실함과 상호 이해를 돕고 유지하도록 하는 우정의 산물이므로 오히려 개성을 더 발전시킬 수 있다.


우정은 우리고 하여금 그리스도 안에 함께 모이도록 한다." "다양성 안의 일치"란 이 영성을 달리 표현한 것이다.


우선적인 관심을 공동선(共同善)에 둔다고 해서 개인의 권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 아우구스띠노회 초기의 신학자인 로마의 애지디오(Giles of Rome)는 "신앙에 위배되지 않는다면,


반대 의견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아무도 막을 권리가 없다"고 말했다.



3. 그리스도 중심의 삶:


물론 예수 그리스도는 수도생활의 궁극적인 모범이며 삶의 표본이다.


우리가 그리스도적 형제애로 공동체를 이룰 때 하느님 안에서 생활하는 공동체 생활을 함께 누릴게 될 것이다.


"여럿인 우리가 단 하나의 마음을 가질 때, 그분은 우리를 그런 일치에로 이끌어 주실 것입니다.(설교 103. 3,4)


성 아우구스띠노는 그리스도의 모든 점, 특히 겸손과 봉사의 모습을 닮으라고 사람들을 끊임없이 고무시켰다.


"다른 사람의 짐을 나눠 지라"고 간곡히 권한 성 아우구스띠노의 말은 형제, 자매들에 대한 관심에서 나온 것이다.



4. 교회에 대한 봉사:


아우구스띠노 수도회는 초창기부터 교회의 필요에 응해 왔다.


성 아우구스띠노 자신도 연구와 성찰하는 자신의 개인 시간에 크게 가치를 두었으나,


활동과 교육에 있어서 사도직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그 자신을 결코 아끼지 않았다.


그의 편지 중에 "교회의 필요에 응하기보다 자신의 평화로운 여가 시간을 더 좋아하면 안 된다.


만일 생명을 준 교회에서 봉사하는 사람이 없다면, 생명의 근원을 발견할 길이 없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수도회의 규칙서


다양한 아우구스띠노의 규칙서의 필사본들이 중세기 동안에 지속되던 규칙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우구스띠노의 규칙서는 그보다 120여 년이나 지난 뒤에야 저술된 성 베네딕도의 규칙서에 의해 그 빛을 잃고 말았다.


아우구스띠노 규칙서가 다시 빛을 발하게 된 것은 11세기 유럽의 수도원 개혁과 대성당 참사회의 기초가 되면서였다.



파리에 있는 성 빅토르 대수도원과 로벨또 수도회(Canons Regular of Premontre)의 법규로, 그리고 라테란 공의회의 교회법에 인용되었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은수자들의 공동체, 예를 들어 1225년 선한 요한 수도회(John the Good)와 1244년 투스칸의 은수자들에게 주어졌다.


’아우구스띠노 규칙서’는 수도생활 초기에 씌어진, 본문이 10여 쪽에 불과한 짧은 저서이다.


그러나 서방의 수도생활 저서들 가운데서 이 저서와 비교할 만큼 영향을 미친 저서도 드물 것이다.


’아우구스띠노 규칙서’는 현재 서방 세계의 가장 오래된 수도 규칙서로써,


’베네딕도 규칙서’보다 약 120년 전에 그리고 ’프란치스코 규칙서’보다 약 800년 전에 씌어졌다.



’아우구스띠노 규칙서’가 여러 시대를 거쳐오면서 그 중요성을 지녀 왔으며,


그리스도교의 수도생활의 초석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이 규칙서가 지니고 있는 영적인 풍부함 때문이다.


이 규칙서에 내포되어 있는 인간 본성에 관한 통찰과 깊은 사상 그리고 사랑이라는 그리스도교적 완덕의 고원한 이상을 향해 나아가는 수도생활,


이 모든 것들은 여러 시대를 거쳐오면서 계속 이 규칙서에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


규칙서에는 아우구스띠노 자신의 카리스마적 개성, 즉 하느님과의 친교, 형제 자매들에 대한 사랑, 사도적 가난과 헌신, 봉사와 친절의 마음 등을 반영하고 있다.



’아우구스띠노 규칙서’에서는 수도생활 순서와 생활양식에 대한 세세한 점이나 외적 구조 문제들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이 점에서 수도원 안에서의 모든 일상생활의 세부사항을 규정하려 하는 ’베네딕도 규칙서’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우구스띠노는 본질적 요소들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는 공동체 안에서 실현되고 오로지 그리스도의 복음에 의해서 영위되어야 하는 수도생활의 주된 골자들을 서술하고 있다.


그가 우리 세기에 가깝게 느껴지는 것은 본질적 요소들에 대한 이러한 관심 때문일 것이다.


’아우구스띠노 규칙서’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먼저 성서에 철저하게 그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10여 쪽에 불과한 규칙서의 내용 중에서 적어도 35번 성서를 언급(구약 8번, 신약 27번)하고 있다.


그리고 짧은 문장이라 하더라도 기본적인 영감은 성서를 바탕으로 하여 성서의 여러 구절을 조합하여 저술한 것이 많다.


즉, 규칙서의 확고한 구성은 바로 성서적 그리고 복음적 토대에 의지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세기와 문화의 변화 속에서도 규칙서가 그 가치를 이어올 수 있었던 원동력인 것이다.



또한 규칙서의 근본적인 이상은 사도행전(4,31-5)에 묘사된 초기 예루살렘 공동체를 그 모델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무도 개인 소유를 주장하지 않고 공동의 것으로 하며, 한마음 한뜻에 되었다"라는 성서의 말씀은


그가 수도 공동체를 설립하면서 추구하였던 이상 -친애하는 형제들이여, 무엇보다 먼저 하느님을 사랑하고 그 다음 이웃을 사랑할지니,


이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첫째가는 계명이기 때문이다.(규칙서 1장 1절)


우리가 하나로 모여있는 첫째 목적은 화목하게 살며, 하느님 안에서 한마음과 한뜻이 되는 것입니다.(규칙서 1장 3절 ; 사도 4,32)


- 과 가장 잘 부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이라고 한다면, 금욕주의(Asceticism)를 강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우구스띠노에게 있어서 청빈과 금욕의 의미는 물질의 포기뿐만이 아니라, 그것들을 원하는 마음까지도 포기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자발적인 검소한 삶이 내적인 해방과 동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입술의 찬양과 마음의 찬양, 외면과 내면, 이론과 실천, 이상과 현실이 일치된 삶을 궁극적인 수도생활의 목적으로 여긴 것이다.



현재 아우구스띠노의 규칙서를 사용하는 수도회로는,’ 아우구스띠노 수도회(Order of Brothers of Saint Augustine’,


’아우구스띠노 참사수도회(Canons Regular of St. Augustine)’, ’레골렉트 아우구스띠노회(Augustinian Recollects)’, ’성모 승천회(Assumptionists)’,


’성 도미니코 수도회’,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 ’성 노벨또 수도회(Norbertines : Canons Regular of Premontre)’, ’아우구스띠노 관상 수녀회’,


’성 도미니코 수녀회’, ’성 우르술라회(Ursulines)’, ’빌라노바의 성 토마스 수녀회’, ’성녀 리따 수녀회’, ’성녀 모니카 수녀회’, ’착한 목자 수녀회’,


’샤르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티 없으신 마리아 성심 수녀회’, ’마리아 종 수녀회’ 그리고 방인 수도회로는 ’영원한 도움의 성모 수녀회’,


’성가 소비녀회’ 등의 수 많은 남녀 수도회에서 규칙서로 사용하고 있다.


(성아우구스티노 수도회홈에서)





당신은 내 안에 계셨으나 나는 밖에서 당신을 찾았으며,


당신의 피조물 안에서만 구했습니다.


당신은 나와 함께 계셨으나


난 당신과 함께 있지 않았습니다.


이 사물들이 당신께 멀리하게 하며


당신께서 그들을 창조해 주시지 않았으면


존재조차 없는 이 것들이"(고백록X,27,38)


-성 아우구스티노-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축일:8춸28일.게시판1336번





♬4.Canto Gregoriano-Gloria XV


update 2007.5.21.
















































RITA of Cascia



Also known as


Margarita of Cascia; Rita La Abogada de Imposibles


Memorial


22 May


Profile


Daughter of Antonio and Amata Lotti; known as Peacemakers of Jesus, they had Rita late in life. From her early youth, Rita visited the Augustinian nuns at Cascia, and showed interest in a religious life. However, when she was twelve, her parents betrothed her to Paolo Mancini, an ill-tempered, abusive individual who worked as town watchman, and was dragged into the political disputes of the Guelphs and Ghibellines. Disappointed but obedient, Rita married him when she was 18, and was the mother of twin sons.



She put up with Paolo’s abuses for eighteen years before he was ambushed and stabbed to death. Her sons swore vengeance on their father’s killers, but through Rita’s prayers and interventions, they forgave the offenders.



Upon the deaths of her sons, Rita again felt the call to religious life. However, some of the sisters at the Augustinian monastery were relatives of her husband’s assassins, and she was denied entry for fear of causing dissension. Asking for the intervention of Saint John the Baptist, Saint Augustine of Hippo, and Saint Nicholas of Tolentino, she managed to bring the warring factions together, not completely, but sufficiently that there was peace, and she was admitted to the monastery of Saint Mary Magdalen at age 36.



Rita lived 40 years in the convent, spending her time in prayer and charity, and working for peace in the region. She was devoted to the Passion, and in response to a prayer to suffer as Christ, she received a chronic head wound that appeared to have been caused by a crown of thorns, and which bled for 15 years.



Confined to her bed the last four years of her life, eating little more than the Eucharist, teaching and directing the younger sisters. Near the end she had a visitor from her home town who asked if she’d like anything; Rita’s only request was a rose from her family’s estate. The visitor went to the home, but it being January, knew there was no hope of finding a flower; there, sprouted on an otherwise bare bush, was a single rose blossom.



Among the other areas, Rita is well-known as a patron of desperate, seemingly impossible causes and situations. This is because she has been involved in so many stages of life - wife, mother, widow, and nun, she buried her family, helped bring peace to her city, saw her dreams denied and fulfilled - and never lost her faith in God, or her desire to be with Him.


Born


1386 at Roccaparena, Umbria, Italy


Died


22 May 1457 at the Augustinian convent at Cascia of tuberculosis


Beatified


1 October 1627 by Pope Urban VIII


Canonized


24 May 1900


Patronage


abuse victims, against loneliness, against sterility, bodily ills, desperate causes, difficult marriages, forgotten causes, impossible causes, infertility, lost causes, parenthood, sick people, sickness, sterility, victims of physical spouse abuse, widows, wounds


Representation


nun holding a crown of thorns; nun holding roses; nun holding roses and figs; nun with a wound on her forehead





Santa Rita da Cascia Vedova e religiosa



22 maggio - Memoria Facoltativa


Roccaporena, presso Cascia, Perugia, c. 1381 - Cascia, Perugia, 22 maggio 1447



La tradizione ci racconta che, portata alla vita religiosa, fu data in sposa ad un uomo brutale e violento che, convertito da lei , venne in seguito ucciso per una vendetta. I due figli giurarono di vendicarlo e Rita, non riuscendo a dissuaderli, prego Dio farli piuttosto morire. Quando cio si verifico, Rita si ritiro nel locale monastero delle Agostiniane di Santa Maria Maddalena. Qui condusse una santa vita con una particolare spiritualita in cui veniva privilegiata la Passione di Cristo. Durante un’estasi ricevette una speciale stigmata sulla fronte, che le rimase fino alla morte. La sua esistenza di moglie di madre cristiana, segnata dal dolore e dalle miserie umane, e ancora oggi un esempio.



Patronato:Donne maritate infelicemente, Casi disperati


Etimologia: Rita = accorc. di Margherita




Fra le tante stranezze o fatti strepitosi che accompagnano la vita dei santi, prima e dopo la morte, c’e ne uno in particolare che riguarda s. Rita da Cascia, una delle sante piu venerate in Italia e nel mondo cattolico, ed e che essa e stata beatificata ben 180 anni dopo la sua morte e addirittura proclamata santa a 453 anni dalla morte.


Quindi una santa che ha avuto un cammino ufficiale per la sua canonizzazione molto lento (si pensi che sant’Antonio di Padova fu proclamato santo un anno dopo la morte), ma nonostante cio s. Rita e stata ed e una delle piu venerate ed invocate figure della santita cattolica, per i prodigi operati e per la sua umanissima vicenda terrena.


Rita ha il titolo di “santa dei casi impossibili”, cioe di quei casi clinici o di vita, per cui non ci sono piu speranze e che con la sua intercessione, tante volte miracolosamente si sono risolti.


Nacque intorno al 1381 a Roccaporena, un villaggio montano a 710 metri s. m. nel Comune di Cascia, in provincia di Perugia; i suoi genitori Antonio Lottius e Amata Ferri erano gia in eta matura quando si sposarono e solo dopo dodici anni di vane attese, nacque Rita, accolta come un dono della Provvidenza.


La vita di Rita fu intessuta di fatti prodigiosi, che la tradizione, piu che le poche notizie certe che possediamo, ci hanno tramandato; ma come in tutte le leggende c’e alla base senz’altro un fondo di verita.


Si racconta quindi che la madre molto devota, ebbe la visione di un angelo che le annunciava la tardiva gravidanza, che avrebbero ricevuto una figlia e che avrebbero dovuto chiamarla Rita; in cio c’e una similitudine con s. Giovanni Battista, anch’egli nato da genitori anziani e con il nome suggerito da una visione.


Poiche a Roccaporena mancava una chiesa con fonte battesimale, la piccola Rita venne battezzata nella chiesa di S. Maria della Plebe a Cascia e alla sua infanzia e legato un fatto prodigioso; dopo qualche mese, i genitori, presero a portare la neonata con loro durante il lavoro nei campi, riponendola in un cestello di vimini poco distante.


E un giorno mentre la piccola riposava all’ombra di un albero, mentre i genitori stavano un po’ piu lontani, uno sciame di api le circondo la testa senza pungerla, anzi alcune di esse entrarono nella boccuccia aperta depositandovi del miele. Nel frattempo un contadino che si era ferito con la falce ad una mano, lascio il lavoro per correre a Cascia per farsi medicare; passando davanti al cestello e visto la scena, prese a cacciare via le api e qui avvenne la seconda fase del prodigio, man mano che scuoteva le braccia per farle andare via, la ferita si rimargino completamente. L’uomo grido al miracolo e con lui tutti gli abitanti di Roccaporena, che seppero del prodigio.


Rita crebbe nell’ubbidienza ai genitori, i quali a loro volta inculcarono nella figlia tanto attesa, i piu vivi sentimenti religiosi; visse un’infanzia e un’adolescenza nel tranquillo borgo di Roccaporena, dove la sua famiglia aveva una posizione comunque benestante e con un certo prestigio legale, perche a quanto sembra ai membri della casata Lottius, veniva attribuita la carica di ‘pacieri’ nelle controversie civili e penali del borgo.


Gia dai primi anni dell’adolescenza Rita manifesto apertamente la sua vocazione ad una vita religiosa, infatti ogni volta che le era possibile, si ritirava nel piccolo oratorio, fatto costruire in casa con il consenso dei genitori, oppure correva al monastero di Santa Maria Maddalena nella vicina Cascia, dove forse era suora una sua parente.


Frequentava anche la chiesa di S. Agostino, scegliendo come suoi protettori i santi che li si veneravano, oltre s. Agostino, s. Giovanni Battista e Nicola da Tolentino, canonizzato poi nel 1446. Aveva tredici anni quando i genitori, forse obbligati a farlo, la promisero in matrimonio a Fernando Mancini, un giovane del borgo, conosciuto per il suo carattere forte, impetuoso, perfino secondo alcuni studiosi, brutale e violento.


Rita non ne fu entusiasta, perche altre erano le sue aspirazioni, ma in quell’epoca il matrimonio non era tanto stabilito dalla scelta dei fidanzati, quando dagli interessi delle famiglie, pertanto ella dovette cedere alle insistenze dei genitori e ando sposa a quel giovane ufficiale che comandava la guarnigione di Collegiacone, del quale “fu vittima e moglie”, come fu poi detto.


Da lui sopporto con pazienza ogni maltrattamento, senza mai lamentarsi, chiedendogli con ubbidienza perfino il permesso di andare in chiesa. Con la nascita di due gemelli e la sua perseveranza di rispondere con la dolcezza alla violenza, riusci a trasformare con il tempo il carattere del marito e renderlo piu docile; fu un cambiamento che fece gioire tutta Roccaporena, che per anni ne aveva dovuto subire le angherie.


I figli Giangiacomo Antonio e Paolo Maria, crebbero educati da Rita Lottius secondo i principi che le erano stati inculcati dai suoi genitori, ma essi purtroppo assimilarono anche gli ideali e regole della comunita casciana, che fra l’altro riteneva legittima la vendetta.


E venne dopo qualche anno, in un periodo non precisato, che a Rita morirono i due anziani genitori e poi il marito fu ucciso in un’imboscata una sera mentre tornava a casa da Cascia; fu opera senz’altro di qualcuno che non gli aveva perdonato le precedenti violenze subite.


Ai figli ormai quindicenni, cerco di nascondere la morte violenta del padre, ma da quel drammatico giorno, visse con il timore della perdita anche dei figli, perche aveva saputo che gli uccisori del marito, erano decisi ad eliminare gli appartenenti al cognome Mancini; nello stesso tempo i suoi cognati erano decisi a vendicare l’uccisione di Fernando Mancini e quindi anche i figli sarebbero stati coinvolti nella faida di vendette che ne sarebbe seguita.


Narra la leggenda che Rita per sottrarli a questa sorte, abbia pregato Cristo di non permettere che le anime dei suoi figli si perdessero, ma piuttosto di toglierli dal mondo, “Io te li dono. Fa di loro secondo la tua volonta”. Comunque un anno dopo i due fratelli si ammalarono e morirono, fra il dolore cocente della madre.


A questo punto inserisco una riflessione personale, sono del Sud Italia e in alcune regioni, esistono realta di malavita organizzata, ma in alcuni paesi anche faide familiari, proprio come al tempo di s. Rita, che periodicamente lasciano sul terreno morti di ambo le parti. Solo che oggi abbiamo sempre piu spesso donne che nell’attivita malavitosa, si sostituiscono agli uomini uccisi, imprigionati o fuggitivi; oppure ad istigare altri familiari o componenti delle bande a vendicarsi, quindi abbiamo donne di mafia, di camorra, di ‘ndrangheta, di faide familiari, ecc.


Al contrario di s. Rita che pur di spezzare l’incipiente faida creatasi, chiese a Dio di riprendersi i figli, purche non si macchiassero a loro volta della vendetta e dell’omicidio.


S. Rita e un modello di donna adatto per i tempi duri. I suoi furono giorni di un secolo tragico per le lotte fratricide, le pestilenze, le carestie, con gli eserciti di ventura che invadevano di continuo l’Italia e anche se nella bella Valnerina questi eserciti non passarono, nondimeno la fame era presente.


Poi la violenza delle faide locali aggredi l’esistenza di Rita Lottius, distruggendo quello che si era costruito; ma lei non si abbatte, non passo il resto dei suoi giorni a piangere, ma ebbe il coraggio di lottare, per fermare la vendetta e scegliere la pace. Venne circondata subito di una buona fama, la gente di Roccaporena la cercava come popolare giudice di pace, in quel covo di vipere che erano i Comuni medioevali. Esempio fulgido di un ruolo determinante ed attivo della donna, nel campo sociale, della pace, della giustizia.


Ormai libera da vincoli familiari, si rivolse alle Suore Agostiniane del monastero di S. Maria Maddalena di Cascia per essere accolta fra loro; ma fu respinta per tre volte, nonostante le sue suppliche. I motivi non sono chiari, ma sembra che le Suore temessero di essere coinvolte nella faida tra famiglie del luogo e solo dopo una riappacificazione, avvenuta pubblicamente fra i fratelli del marito ed i suoi uccisori, essa venne accettata nel monastero.


Per la tradizione, l’ingresso avvenne per un fatto miracoloso, si narra che una notte, Rita come al solito, si era recata a pregare sullo “Scoglio” (specie di sperone di montagna che s’innalza per un centinaio di metri al disopra del villaggio di Roccaporena), qui ebbe la visione dei suoi tre santi protettori gia citati, che la trasportarono a Cascia, introducendola nel monastero, si cita l’anno 1407; quando le suore la videro in orazione nel loro coro, nonostante tutte le porte chiuse, convinte dal prodigio e dal suo sorriso, l’accolsero fra loro.


Quando avvenne cio Rita era intorno ai trent’anni e benche fosse illetterata, fu ammessa fra le monache coriste, cioe quelle suore che sapendo leggere potevano recitare l’Ufficio divino, ma evidentemente per Rita fu fatta un’eccezione, sostituendo l’ufficio divino con altre orazioni.


La nuova suora s’inseri nella comunita conducendo una vita di esemplare santita, praticando carita e pieta e tante penitenze, che in breve suscito l’ammirazione delle consorelle. Devotissima alla Passione di Cristo, desidero di condividerne i dolori e questo costitui il tema principale delle sue meditazioni e preghiere.


Gesu l’esaudi e un giorno nel 1432, mentre era in contemplazione davanti al Crocifisso, senti una spina della corona del Cristo conficcarsi nella fronte, producendole una profonda piaga, che poi divenne purulenta e putrescente, costringendola ad una continua segregazione.


La ferita scomparve soltanto in occasione di un suo pellegrinaggio a Roma, fatto per perorare la causa di canonizzazione di s. Nicola da Tolentino, sospesa dal secolo precedente; cio le permise di circolare fra la gente.


Si era talmente immedesimata nella Croce, che visse nella sofferenza gli ultimi quindici anni, logorata dalle fatiche, dalle sofferenze, ma anche dai digiuni e dall’uso dei flagelli, che erano tanti e di varie specie; negli ultimi quattro anni si cibava cosi poco, che forse la Comunione eucaristica era il suo unico sostentamento e fu costretta a restare coricata sul suo giaciglio.


E in questa fase finale della sua vita, avvenne un altro prodigio, essendo immobile a letto, riceve la visita di una parente, che nel congedarsi le chiese se desiderava qualcosa della sua casa di Roccaporena e Rita rispose che le sarebbe piaciuto avere una rosa dall’orto, ma la parente obietto che si era in pieno inverno e quindi cio non era possibile, ma Rita insiste.


Tornata a Roccaporena la parente si reco nell’orticello e in mezzo ad un rosaio, vide una bella rosa sbocciata, stupita la colse e la porto da Rita a Cascia, la quale ringraziando la consegno alle meravigliate consorelle.


Cosi la santa vedova, madre, suora, divenne la santa della ‘Spina’ e la santa della ‘Rosa’; nel giorno della sua festa questi fiori vengono benedetti e distribuiti ai fedeli.


Il 22 maggio 1447 Rita si spense, mentre le campane da sole suonavano a festa, annunciando la sua ‘nascita’ al cielo. Si narra che il giorno dei funerali, quando ormai si era sparsa la voce dei miracoli attorno al suo corpo, comparvero delle api nere, che si annidarono nelle mura del convento e ancora oggi sono li, sono api che non hanno un alveare, non fanno miele e da cinque secoli si riproducono fra quelle mura.


Per singolare privilegio il suo corpo non fu mai sepolto, in qualche modo trattato secondo le tecniche di allora, fu deposto in una cassa di cipresso, poi andata persa in un successivo incendio, mentre il corpo miracolosamente ne usci indenne e riposto in un artistico sarcofago ligneo, opera di Cesco Barbari, un falegname di Cascia, devoto risanato per intercessione della santa.


Sul sarcofago sono vari dipinti di Antonio da Norcia (1457), sul coperchio e dipinta la santa in abito agostiniano, stesa nel sonno della morte su un drappo stellato; il sarcofago e oggi conservato nella nuova basilica costruita nel 1937-1947; anche il corpo riposa incorrotto in un’urna trasparente, esposto alla venerazione degli innumerevoli fedeli, nella cappella della santa nella Basilica-Santuario di S. Rita a Cascia.


Accanto al cuscino e dipinta una lunga iscrizione metrica che accenna alla vita della “Gemma dell’Umbria”, al suo amore per la Croce e agli altri episodi della sua vita di monaca santa; l’epitaffio e in antico umbro ed e di grande interesse quindi per conoscere il profilo spirituale di S. Rita.


Bisogna dire che il corpo rimasto prodigiosamente incorrotto e a differenza di quello di altri santi, non si e incartapecorito, appare come una persona morta da poco e non presenta sulla fronte la famosa piaga della spina, che si rimargino inspiegabilmente dopo la morte.


Tutto cio e documentato dalle relazioni mediche effettuate durante il processo per la beatificazione, avvenuta nel 1627 con papa Urbano VIII; il culto prosegui ininterrotto per la santa chiamata “la Rosa di Roccaporena”; il 24 maggio 1900 papa Leone XIII la canonizzo solennemente.


Al suo nome vennero intitolate tante iniziative assistenziali, monasteri, chiese in tutto il mondo; e sorta anche una pia unione denominata “Opera di S. Rita” preposta al culto della santa, alla sua conoscenza, ai continui pellegrinaggi e fra le tante sue realizzazioni effettuate, la cappella della sua casa, la cappella del “Sacro Scoglio” dove pregava, il santuario di Roccaporena, l’Orfanotrofio, la Casa del Pellegrino.


Il cuore del culto comunque resta il Santuario ed il monastero di Cascia, che con Assisi, Norcia, Cortona, costituiscono le culle della grande santita umbra.




Autore: Antonio Borrelli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284 프란치스칸 성인 5월22일 코르시카의 성녀 율리아♬Puer Natus Est Nobis 안젤라 2010-05-17 135105
283 프란치스칸 성인 5월22일 복자 요한 포레스트 순교자(1회)♬가난함을 주소서 안젤라 2010-05-17 4327
» 프란치스칸 성인 5월22일 카시아의 성녀 리타 수도자♬Gloria XV 안젤라 2010-05-17 5444
281 프란치스칸 성인 5월23일 성 요한 밥티스트 로시 사제♬Veni Sancte Spritus 안젤라 2010-05-17 5960
280 프란치스칸 성인 [이콘]성령강림 대축일♬임하소서 성령이여 안젤라 2010-05-17 5159
279 프란치스칸 성인 5월24일 아씨시의 성프란치스코 대성당 봉헌 축일♬태양의 노래 안젤라 2010-05-23 5166
278 프란치스칸 성인 5월24일 성녀 요안나 거룩한 부인♬성모님께 드리는 노래 안젤라 2010-05-23 4322
277 프란치스칸 성인 5월25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데 파치 동정♬De Profundis 안젤라 2010-05-23 4334
276 프란치스칸 성인 5월25일[그레고리오개혁]성 그레고리오 7세 교황♬Salve Regina 안젤라 2010-05-23 4320
275 프란치스칸 성인 5월25일 성 베다 사제 학자♬시편102(103) 안젤라 2010-05-23 20661
274 프란치스칸 성인 5월25일 성녀 막달레나 소피아 바라 동정♬예수 마음 안젤라 2010-05-23 20784
273 프란치스칸 성인 5월26일(3월14일)복녀 에바동정과 4월5일(4월6일)코르닐롱산의 복녀율리아나동정♬Salve Festa 안젤라 2010-05-26 4786
272 프란치스칸 성인 5월26일 성 필립보 네리 사제(3회)♬salve regina coelitum 안젤라 2010-05-26 4760
271 프란치스칸 성인 5월27일 켄터베리의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Kyrie XI A 안젤라 2010-05-26 17251
270 프란치스칸 성인 5월28일빠레데스의 성녀 마리아안나동정(3회)♬4.LA PAIX OUI LA PAIX 안젤라 2010-05-26 5470
269 프란치스칸 성인 5월29일 피사의 성녀 보나♬Puer Natus In Bethlehem-Canto Gregoriano 안젤라 2010-05-26 10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