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이콘]신약 성서의 삼위일체. 그리이스. 19세기초. 50 x 41cm



러시아의 모스크바 교회회의에서는 서방에서 묘사하는 것 처럼 성부를 노인의 모습으로 묘사하는 것을 금했다.


따라서 화면의 것과 같은 그림은 상당히 후대에, 그리고 숱한 진통 끝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여기에 제시된 이콘은 독생자 그리스도가 구름 위에 앉아서 그의 오른손으로 축복을 내리고 있다.


그의 왼손은 그와 성부 사이에 떠 있는 지구의 위에 얹혀 있다.



그 오른편에 흰 옷을 입고 앉아 있는 성부는 그의 왼손으로 홀을 들고 계신다.


그리고 중앙 상단에는 육각의 별 안에 성령의 상징인 비둘기가 보인다.



거룩하신 주여


당신은 높은 곳에서 겸손한 자들을 굽어 보소서.


모든 것을 살펴 보시는 당신의 눈은 만물을 살피시나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몸과 마음을 주님 앞에 굽히고 기도하나이다.


당신은 당신의 거룩한 곳에서 당신의 보이지 않는 손을 펴시어


우리를 강복하소서



우리가 알게, 모르게 지은 죄를 사하시고


우리에게 이세상에서와 다음 세상에서의 온갖 복을 주옵소서.


주님은 선하시고 자애로우시나이다.



그리스도 우리 하느님이시여.


불쌍히 여기힘과 구원하심이 당신께 달렸사오니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이제와 항상 영광이 있어지이다.



주일 조과 중.



(이콘.신비의 미.209-210쪽에서.장긍선신부편저.)







축일:5월13일


노르위치의 복녀 율리안나


Beata Giuliana di Norwich


Bl. Juliana


Bl. JULIAN of Norwich


Blessed Juliana of Norwich, OSB Hermit (PC)


Born:c.1342


Died:c.1423 of natural causes


Beatified:never formally beatified,


but considered "blessed" due to popular devotion





성녀는 공부를 제대로 하지못한 문맹자이었으나, 그래서 그녀가 쓴 저서는 속어로 된 신비서적이 많다.


이것은 언어학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반향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신비가로서 교회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녀의 교회의 가르침에 대한 충실함은 참으로 기억할만 하다.



그녀가 잉글랜드 노르위치의 성 율리안 성당벽 외곽에서 은수자가 될 때까지는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1373년, 그녀는 16 차례나 계시를 경험하였는데,


이때마다 탈혼 중에서 그리스도의 수난과 성삼위에 대한 계시를 경험하였는데,


이때마다 탈혼 중에서 그리스도의 수난과 성삼위에 대한 계시를 받았으며,


그후 20년 동안이나 계속하여 위의 두 신비를 묵상하였다.


그 결과는 "하느님의 사랑, 강생, 구속, 죄, 보속 그리고 하느님의 위로" 등에 관한 계시록이다.


이것은 영문학에서도 매우 중요시하는 글들이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All shall be well
and all shall be well
and all manner of things shall be well.
-Julian of Norwich





[icon] Crucifixion - XV c., Andrej Rublev Museum, Moscow



노리치의 줄리안의 靈性


韓 順 熙
(修女, 聖心修女會, 가톨릭大 宗敎學科 客員敎授)



목 차



I. 서론
II. 줄리안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IV. 오늘을 위한 줄리안의 영성적 지혜
1.줄리안의 생애 1. 하느님을 갈망하는 마음으로의 초대
2.줄리안이 살았던 시대상황 2. 풍요의 영성: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다.'
3.중세의 은수자의 삶 V. 결론
4. 작품의 배경
III. 줄리안의 영성
1. 줄리안의 환시 체험
2. 줄리안의 하느님 표상




I. 서 론



노리치의 줄리안(Julian of Norwich)은 14세기에 영국에서 살았던 신비가이다. 때마침 영국에는 흑사병이 나돌고 끊임없이 계속되는 전쟁으로 인해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희망이 없이 보였던 암울한 시대였다. 줄리안은 고통 가운데서도, 환시 속에서 하신 하느님의 말씀을 자주 이렇게 되풀이 하고 있다. "나는 모든 것을 잘 되게 하겠고 나는 모든 것이 잘 되게 할 것이고, 또 나는 모든 것을 잘 되게 할 수가 있다." 이 표현은 삶에 대한 그녀의 태도와 영성을 말해준다. 이는 단지 피상적인 낙관론을 피력한 것이 아니고 우리의 희망이 주님에게 뿌리를 두고 있음으로 어떠한 절망과 고통에도 불구하고 흔들리지 않는 긍정적 자세를 견지해야만 한다는 깊은 믿음을 엿보게 한다. 줄리안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그녀가 그리스도와의 행복한 일치의 체험에서 퍼내는 기쁨을 모든 그리스도인과 함께 나누기를 갈망하는 태도는 인간의 미래가 오직 하느님께 달려있다는 강한 믿음을 표명하는 삶이었다고 보인다. 줄리안은 그 당시 유럽과 영국을 휩쓸고 있던 전쟁과 흑사병으로 인해 처참하게 고통하며 절망하는 소용돌이 속에서도 끝까지 희망을 잃지 않고 긍정의 신비를 살았던 영성가이다.



그녀는 몇 차례에 걸쳐 하느님의 환시를 받았고 그 환시를 바탕으로 일상의 삶을 깊은 신심과 하느님께 대한 열렬한 사랑으로 살았던 신비주의자이다. 특히 줄리안은 자신의 신비체험을 통해 하느님의 은혜가 그 속에서 작용할 수 있게 하도록 살고 증거했기에 가톨릭 영성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토마스 머톤은 줄리안이 '영국의 위대한 신비가'라고 했으며 뉴만과 함께 영국의 위대한 신학자의 반열에 자리 매김 했다.



이 논문에서는 줄리안의 신비주의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빛을 던져주는 몇 가지 관점만을 다루고자 한다. 줄리안의 생애에 대해서는 상세히 알려진 바가 없어 여러 영성 작품 안에 부분적으로 언급된 그녀의 생애를 바탕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줄리안의 영성은 그녀의 작품,『계시, Showings』를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또한 줄리안의 영성적 지혜가 현대인에게 주는 가르침을 조명해 보려한다.



II. 줄리안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1. 줄리안의 생애


영국의 최초의 신비주의 여류작가요 영성 지도자로 활약했던 줄리안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대하게 영향을 미친 신비주의 영성가 이지만, 우리가 줄리안의 내력에 대해 구체적인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은 지극히 미미하다. 단지 그녀의 작품과 시청에 남아 있는 유언장을 통해 그녀의 생애를 엿볼 수 있을 뿐이다.



줄리안은 1342년 12 월에 노리치 시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노리치는 당시에 런던 다음으로 번창했던 큰 항구도시였다. 줄리안은 그 당시 흔히 열심한 신자가 택했던 은수자들을 위한 제 3 회원 수도생활의 양식을 살며 신앙을 증거했던 평신자이다. 줄리안은 수도 명으로 그녀가 정착하여 살았던 노리치의 줄리안 교회에서 따온 이름이다. 아무도 그녀의 정식 이름을 아는 사람은 없다. 줄리안은 칼로우(Carrow)지역에 있던 성 베네딕토 수녀원에서 교육받은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자신은 "배우지 않은 사람"이라고 쓰고 있으니 이는 라틴어를 모르던가 아니면 조금 밖에 모른다는 의미에서 한 말일 수도 있고 혹은 자신을 낮추어 말하는 당대의 관습으로 이러한 표현을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들을 한다.



1373년 5월 8일 심하게 아팠는데 그 때 주님으로부터 16 번의 "환시"를 보는 체험을 하게 되었고 이것을 기록으로 남겼다. 그 후 줄리안은 노리치 교회의 여성 은수자(anchoress)가 되어 죽는 날까지 교회에 헌신하는 삶을 살게 된다.



줄리안 교회는 그 당시 400년의 역사를 가진 오랜 전통의 교회였다. 그녀의 은둔소에는 두 개의 창이 나 있었는데, 하나는 교회를 향해 있어 미사 참여와 성체를 받아 모실 수 있는 창으로 쓰였고 다른 하나는 넓은 신작로를 향해 있어서 영적인 담화를 들으러 오는 사람들과 대화하는 창으로 사용했다. 그녀의 집은 큰 길 가로 나 있어 때때로 자기 집을 찾아오는 손님들에게 영적 지도나 조언을 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줄리안은 노리치 교회에 붙어 있는 작은 "기도 집"으로 쓰이는 은둔소에 기거했으나 세상을 완전히 등지고 살았던 것은 아니었다. 줄리안의 은둔소는 단순한 구조로 지어진 집으로서, 그녀는 살림을 도와주는 여자와 함께 살며 때로는 손님이 와서 잠시 머물다 가기도 했다. 쥴리안은 높은 담을 쌓고 약간의 가축을 길렀던 것으로 보아 약간의 사유재산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녀의 생활은 대부분 기도와 관상으로 짜여진 단순한 삶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극심한 고행을 했던 것은 아닌 것 같다. 마저리 캠프(Margery Kempe)란 여성은 그녀에 대해 기록을 남겼는데, 그녀는 줄리안보다 한 세대 젊은 영국 신비가이며 전기 작가로서 줄리안을 방문하고 며칠 동안 그 곳에 머물면서 줄리안으로부터 영적인 지도를 받았다. 그녀는 그 기록에서 줄리안이 거룩하고 지혜로운 여성이라는 확신을 표명했다. 마저리는 줄리안을 존경하여 줄리안 부인(Dame Julian)이라고 불렀다.



줄리안은 두 개의 텍스트로 이루어진 『계시』라는 한 권의 저서를 남겼다. 이 저서 집필의 목적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고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것으로 삼았다. 이 작품은 길이가 짧은 텍스트(short text)로 알려진 첫 번 째 작품과 긴 텍스트로 알려진(long text) 두 번 째 쓴 작품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텍스트는 『계시』(Showings)라는 제목으로 1373년 5월 8 일에 그녀가 하느님께 받은 환시에 기초하여 쓴 것이다. 두 번째 텍스트는 줄리안이 환시를 받은 후 20년간 줄리안 교회의 은둔소에서 기도와 성찰, 신학화 작업을 거친 뒤에 그녀가 체험한 환시의 의미를 더 깊게 해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첫 번째 텍스트의 네 배의 길이로, 신학적 주석을 붙여 완성시킨 것이다. 당시의 추상적이었던 신비가들의 용어보다는 덜 난해하고 덜 조직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관상적인 통찰로서, 초기의 환시 체험에서 받은 영적 강렬함과 감정을 되살려내는 다이나믹한 상징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신비적인 그녀의 신학적 역량을 높이 평가한 주석가들은 줄리안을 아빌라의 데레사, 시에나의 가타리나에 뒤이어 교회의 세 번째 여성박사로까지 추천하였다. 또한 이 책은 영국 여성이 최초로 영어로 쓴 작품으로서 세계 영성 문학의 위대한 고전으로 간주된다. 하느님 사랑의 『계시』는 그 신학적 깊이로나 연민의 폭에 있어서 언어의 아름다움이 비할 데 없이 뛰어난 작품이다.



줄리안은 이 두 텍스트를 통해서 하느님을 모든 피조물을 사랑하시는 분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줄리안의 사후 거의 2세기 동안이나 그녀의 하느님 사랑의 『계시』는 잊혀진 채 무시되었고 17세기에 와서야 최초로 출간되었다.



1413년 그녀의 첫 텍스트『계시』의 편집자는 줄리안이 노리치 교회의 은수자였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녀의 유언장의 기록에서 우리는 그녀가 사라(Sara)와 알리스(Alice)라는 2 명의 하녀와 함께 살았음을 알 수 있다. 1416 년 그녀가 세상을 뜨기 직전까지 그녀가 소유했던 유산은 20 실링이었다.



1768년의 역사가 부름힐드(Blomefield)는 그의 역사책에서 줄리안을 가장 거룩하고 존경받는 여인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녀가 사망한 날짜를 정확히 알 수가 없다. 단지 그녀가 80 세까지 살았으리라고 추측할 뿐이다. 당시의 평균 수명보다 오래 산 것으로 보인다. 그녀의 무덤은 추적할 수가 없다. 그녀의 부모와 탄생에 대한 정확한 내력도 알 수가 없다.



2. 줄리안이 살았던 시대상황


줄리안이 살았던 시대는 흑사병(1348년부터)이 창궐하고, 백년 전쟁 (1337-1453)과 농민 혁명(1381)으로 영국 전체가 혼란했던 시기였다. 영국 역사상으로는 에드워드(Edward) 3세와 리차드(Richard) 2세가 다스렸던 시기였지만, 리차드 왕이 전쟁에서 패한 후, 퇴위 당하고 이내 사형에 처해진다. 헨리 (Henry) 4세(1399-1413)가 왕위를 강탈하고, 헨리 5세의 집권이 시작되면서 극도로 혼란한 시국을 살면서도 그녀의 작품에서는 이러한 정국에 대한 어떠한 암시도 비치고 있지 않는 점이 이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줄리안은 영국의 왕과 귀족들, 왕과 교황 사이의 주권 다툼 등에 대하여 침묵을 지키고 있다. 줄리안은 그녀가 살았던, 상업 중심지이며 주교좌 성당이 있었던 노리치 시에 대해서도 일언반구의 언급이 없다. 증대된 권력을 누리고 있었던 의회의원들과 제국 군인들을 유지하기 위해 가난한 사람들과 중간 계층 사람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던 당대의 격증하는 정치적 사회적 불안에 대해서도 침묵했다.



당시 교황들은 불란서 아비뇽(Avignon)에서 1309년부터 감금생활을 하다가 1377년이 되서야 로마로 돌아 왔다. 동시대에 살던 시에나의 카타리나는 교황이 로마로 귀환하도록 돕는데 심혈을 기울였으며 마침내 이를 성사시켰다. 줄리안은 자신의 저서에서 교황의 포로생활에 대한 비판도, 로마로 돌아온 데 대한 기쁨도 표시하지 않았다. 교회가 커다란 분열의 위기(1378-1417)를 겪었으나 줄리안은 그 모든 사건에 대하여 관여하지 않고 침묵으로 일관했다. 특히 지역 교회 책임자들의 부패 상황에 대하여도 아무 말이 없다. 그렇다고 줄리안이 무감각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단지 그녀가 책을 쓴 목적이 다를 뿐이었다. 그녀의 관심사는 무엇을 알리고, 관찰하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을 알림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하느님을 사랑하도록 하려는데 있었기 때문이다.



3. 중세의 은수자의 삶


영어의 은수자를 칭하는 용어로 남성 은수자 (anchorite)와 여성 은수자 (anchoress)는 그리스 동사 '물러가다, 은퇴하다 (to retire)'의 의미를 담고 있는 말로서 세상을 떠나서 은둔소의 봉쇄 구역에 철저하게 머무는 기도하는 삶을 사는 사람을 일컫는다. 이러한 삶은 4세기에 사막에서 은둔하며 살던 교부들에게서 유래한다. 그 목적은 하느님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함이었다. 14세기의 은수자들이 사막의 교부들과 다른 점이 있었다면, 그들은 세상 사람들의 일에 연계되어 살았다는 것과 그들을 위해 기도하며 살았다는 점이다.



중세에 은둔자들은 일반 사람들과 함께 살고 있었다. 헨리 5세가 자신의 통치가 위기에 처하게 되자 웨스트민스터(Westminster) 대성당의 수도원에 살고 있었던 은수자에게 자문하고 조언을 구했던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리치 시에는 은수자가 많이 살았고, 이런 은수자들이 많다는 것은 그 도시를 위해서 축복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시민들은 기꺼이 거룩한 남녀 은수자들을 돌보아 주었다. 은수자들의 역할은 단지 영적인 도움만으로 그치지 않고 그들의 기도와 영적 지도는 공동체 전체에 유익이 되었다. 때로는 은수자들이 기도 이외에도 다리를 점검한다던가 수리하는 일을 하였고 길을 고치고 공공 사무를 보는 등 실생활에서 도움을 주었다.



은수자로서의 줄리안의 소명을 이해하는 데는 당대 어떤 사람들이 은수자의 길을 걸었는지 알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은수자가 되기 위해서는 본인이 원한다고 해서 누구나 은수자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지원자는 우선 주교나 수도회 장상에게 그 뜻을 알려서, 은수자로서의 소명을 식별하기 위해 주교나 수도회 장상의 면접을 받아야했다. 지원자는 무엇보다 물질적인 협조를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 했고 자세한 조사를 받은 후에 공적 승인과 함께 은둔소에 들어가서 엄격한 삶을 살았다. 대부분의 은수자들은 일생 동안 은수자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그들 모두가 공식서약을 하는 것은 아니었고 그렇게 하기를 권장하는데 지나지 않았다. 은수자는 협정 규칙(Ancrene Riwle)에 따라 은수자로서 사는데 필요한 단련과 영적 지도를 받도록 했고 이 규칙은 은수자의 삶에 필요한 통찰력을 제시하기도 했다.



은수자들은 두 명의 하인을 둘 수 있었는데 이는 사치가 아니라 필요성 때문이었다. 그들은 은둔 생활을 방해하는 외부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하였으며 생활 전반에 걸쳐 필요한 일을 거들고 협력했다. 줄리안도 그녀의 은수자 생활을 도와주는 여성과 함께 살았다. 오늘 날 에는 이들을 관리인이라고 부른다. 은수자는 우선적으로 독신과 정결의 삶을 살고자 서원한 사람이다. 갈멜 수도자와 같은 당대 수도자들은 수도원 내에서 살았으나 평신도로서 은수자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수도원이나 교회에 인접해 있는 은둔처에서 살도록 허용되었다.



줄리안의 은둔소에는 두 개의 방이 딸려있었는데, 이 집은 줄리안 교회의 종탑 근처에 있어서 교회의 벽과 인접해 있었다. 이 집은 두 개의 창문이 나 있어 하나는 사제가 제대 위에서 미사 집전하는 것이 보였기 때문에 용이하게 미사에 참석하며 일 개월에 한 번 정도로 성체를 모셨던 것 같다. 외부 손님들의 출입은 제한되었고 무질서하게 대화하는 것을 규칙으로 금하고 있었다.



줄리안이 살던 시대로부터 50년 전만 해도 50명 내지 그 이상의 은수자들이 노리치 시의 다른 장소나 교회에 살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16세기까지 5명의 은수자들이 줄리안이 살았던 은둔소에서 줄곧 살고 있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현대인에게는 기도하는 소명이 특수한 부르심으로 예외적인 삶처럼 보일 수가 있겠으나 줄리안이 살던 당시에는 기도와 관상으로 일생을 헌신하며 사는 삶이란 그 어떤 형태의 삶보다도 으뜸가는 소명으로 보았다.



대교구 참사 위원이었던 올킨(A. M. Allckin)은 이렇게 증언하고 있다. "그녀는 주교좌 성당을 중심부가 되게 했던 한 시민이었다. 이 성당은 예술적인 작품으로 건축된 것이 아니고 기도와 예배를 인간의 활동 중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필요한 인간의 활동으로 생각했던 당대 사람들의 가치관에 따라 지어진 것이다."



이미 언급한 바이지만, 당대의 은수자들은 현실적인 면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했다. 은수자들에게는 세상을 향한 창구가 열려있어서, 그들은 오늘날의 사회사업가, 결혼 상담가, 정신과의사, 사제와 같은 영적 지도자들이 하는 일의 일부분을 맡아서 했다.



4. 작품의 배경


영국의 신비주의는 14세기 말경에 절정에 달한다. 리챠드 롤(Richard Rolle, AD. 1290-1391)은 자신의 신비 체험을 적었고 특히 시로 썼던 신비가이다. 그의 『사랑의 불』은 쥴리안에게도 알려졌을 것이다. 어거스틴 수도회의 워터 힐톤(Walter Hilton, 1395-1896)은 쥴리안과 같은 시대의 가장 영향이 컸던 수도승으로 심오한 내용을 담은 영적 담론을 썼다. 쥴리안의 책 이외에 당대에 큰 영향력을 미쳤던 또 하나의 영적 서적으로는 저자 미상의『무지의 구름』이 있다.



영국에서 14 세기에 신비주의가 성행하고 환영받았던 이유를 질의하고 숙고해 본다면, 이는 역사적 질문이기 보다 수사학적 질문이 될 것이다. 이 시대에는 영어가 크게 발달했다. 초서(Geoffrey Chaucer)는 줄리안과 동시대 사람으로 영어로 글을 발표했다. 줄리안은 단 하나의 작품만을 남겼지만 그녀의 문장은 매우 우아하고 명료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 시대는 개인의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는 것이 성행했고 종교적 사고도 표현할 수 있었다. 특히 줄리안이 살던 놀포크는 반 교회적 움직임이 대단히 활발한 지역이었다. 게다가 교회의 권위자들은 신자들의 요청에 성의 없고 더디게 응답했다. 이 지역 갈멜회의 토마스 네터(Thomas Netter)는 콘스탄쓰 공의회에 참석하며 죤 휴스(John Huss)가 불에 타죽는 것을 목격한 사람이다. 그는 공의회에서 교회 땅에 나쁜 씨가 자라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가 줄리안의 『계시』를 읽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하느님의 구원하시는 일을 위해 줄리안이 계속해서 글을 쓰도록 허용했다. 씨. 에스. 루이스(C. S. Lewis)는 줄리안이 안고 있는 위험을 경고했는데 네터(Netter)가 줄리안을 파문할 수도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존 위클리프와 그의 추종자들은 교회의 개혁을 부르짖다가 이단으로 몰려 화형을 당했고 그들 중에 몇몇 사람은 줄리안의 은둔소 앞 큰길에서 처형당하기도 했다. 비록 줄리안이 담 안에 머물러 있었지만 이러한 위기의 사태를 모두 감지하고 있었으리라고 추정된다.



III. 줄리안 노리치의 영성


줄리안은 신비가이다. 신비가란 하느님에 대한 높은 지각을 가진 사람으로서 하느님으로부터 눈에 보이는 메시지를 직접 받은 사람이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신비가들을 보통 사람과 분리시켜서 특수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이상한 사람, 초월적인 인간들이 아니다. 신비는 모든 사람의 내면에 내재해 있어서 이를 민감하게 지각하고 주의 깊게 의식한다면 누구나 모두 하느님을 알고 하느님의 사랑에 접할 수 있는 신비체험에 불림을 받게 될 것이다.



줄리안의 하느님 체험은 시간적으로 즉각적이고 공간적으로 밀착하여 경험했다는 사실이다. 줄리안은 스스로 자신의 종교 체험의 권위를 주장한다. 여기서 참된 종교체험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말하는 에브린 언더힐(Evelyn Underhill)의 평가기준을 들어보기로 하자. 종교체험은 우선 자기가 속한 신앙 공동체의 신앙전통 안에서 발생하고 지지를 받아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 종교체험은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이기심이 없는 행동을 하도록 사랑스럽게 마음의 권유를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하며, 하느님에 대한 확신이 내적인 권위로부터 흘러나와야만 한다는 것이다.



1. 줄리안의 환시 체험
줄리안이 환시를 본 것은 교회의 전통에서 신비가들이 하느님 체험을 했던 다음의 세 가지 방법에 의해서이다.
첫째, 신체의 비전을 통해서 보는 환시이다,


즉 그녀는 자신의 감각을 통해 알았다. 즉 보고 듣고 때로는 냄새로 알았다.
둘째, 영적 비전을 통해 보는 환시이다.


영적 비전이라는 것은 그녀의 영혼에 직접적으로 말 해주는 환시이다.
셋째, 지적 조명을 통해서 보는 환시이다.


그녀의 지성이 빛에 의해 조명되어 하느님을 이해하는 환시이다.



신비가들은 일반적으로 자기의 체험을 알리는 일을 절실하게 열망한다. 줄리안의 경우 자신의 체험을 알리고자 하는 강박관념이 그 체험의 본질처럼 보인다. 즉 하느님의 사랑을 알고 난 후, 그녀가 받은 환시를 사람들에게 널리 알릴 필요성을 절감한 것이다. 줄리안은 자신의 환시를 기록하면서 계속하여 메시지의 절박성을 강하게 느낀 것 같다. 그녀의 말이 한 번에 전달되기를 열망했는데도 그 말들이 깨지고 부셔져나가면 그녀는 그 말들이 주게 되는 무게를 인내심을 가지고 이겨내야만 했다.



환시를 받기 이전에 줄리안은 하느님께 세 가지의 은혜를 선물로서 주실 것을 청했다. 첫째는 그리스도의 수난에 실제로 동참하여 그 고통에 깊이 참여할 수 있는 은혜였다. 줄리안은 마리아 막달레나처럼 십자가 밑에서 주님의 수난에 동참하며 그리스도의 고통을 증거하기를 원했다. 둘째로 죽기까지 신체적인 병을 앓을 수 있는 것으로, 줄리안은 신체적 병과 더불어 모든 종류의 신체적 영적 고통을 청했다. 이런 태도는 당대에 유행했던 일반적인 신심행위 중의 하나였다. 셋째로 하느님의 선물로써 세 가지의 상처를 경험할 수 있는 은혜였다. 세 가지의 상처란 줄리안이 일생동안 느끼게 될 통회의 상처, 연민의 상처, 하느님을 갈망하는 지향으로부터 느끼게 될 상처였다. 그녀는 처음 두개의 은혜는 조건적으로 청원했고 세 번째의 은혜는 조건 없이 청하였다고 술회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녀의 신심 생활이 극도로 진지했음을 알 수 있다. 줄리안의 이러한 청원은 그녀가 그리스도의 구원을 위한 수난에 동참함으로써 하느님과 깊이 일치하는 은혜를 소망했다고 보여진다.



1373 년 5월 8일, 부활 제 3주일은 그녀가 삼십살 육 개월 되던 해로 그토록 소원하던 기도의 청이 들어졌다. 그녀는 칠일 동안 심한 병으로 죽도록 아팠다. 그녀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그녀가 다시 소생할 수 없으리라고 판단했다. "나 또한 세상을 떠날 것이라고 거의 확신하고 있었다.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했다." 줄리안은 젊은 여성으로 하느님께 더 잘 봉사하며 살기를 원했다. 그러나 죽음을 목전에 두고 두려움 없이, "나는 마음을 다하여 내 뜻을 하느님의 뜻에 맡겨드렸다"고 적고 있다. 줄리안이 본당 신부님에게 마지막 병자성사를 받는 순간, 사제는 십자가를 들고 그녀에게 십자가를 보도록 명하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나는 당신의 창조주이며 구원자의 상징을 당신께 가져왔으니 이것을 보고 힘을 얻으십시오." 줄리안이 한 동안 죽음의 심연 속으로 빠져드는 것 같아 보였으나 그녀의 생명은 놀랍게도 회복되었다. "별안간 나의 모든 고통이 사라지고 경련이 일었다. 그리고 나는 전보다 좋아졌다."



새벽 4시, 새벽의 빛이 창문을 통해 들어올 때, 첫 번째 환시를 체험했다. 죽어가던 줄리안은 눈을 그리스도의 십자가상에 고정시키고 있었는데, 뜻밖에 예수의 가시관에서 흘러나오는 성혈을 보았다.
같은 환시에서, 갑자기 성삼위께서 내 마음을 커다란 기쁨으로 가득 채워주셨고 나는 하느님 나라에 가면 거기에 오는 사람들이 모두 그렇게 끝없는 기쁨을 체험할 것이라고 깨달았다. 삼위일체는 하느님이요, 하느님은 삼위일체이시다. 삼위일체는 우리를 창조하셨고, 우리를 돌보시며, 우리를 영원히 사랑하시며, 우리의 끝없는 축복이자 기쁨이다. 우리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그리고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 이후 새벽 4시부터 오후 3시까지 15차례의 환시를 보았으며 낮에는 정지되었다. 그 날 밤에 1차례의 환시를 또 보았다. 이 환시는 그녀가 주님께 요청한 대로 선물로서 받았고, 그녀가 기도한 대로 받았던 것이다. 이것이 마치 하느님의 뜻인 것같이, 즉 그녀가 꼭 받아야 하는 하느님의 뜻인 것같이 주어졌다.



줄리안의 글에서 기록하기를 그녀가 고통을 당할 때 그녀의 어머니가 침대 곁에 있었다고 했다: "나의 어머니는 다른 사람들과 같이 거기에 있었고, 그녀의 손을 들어 나의 눈을 감겨 주었다. 사람들은 그 순간 마치 내가 이미 죽었거나 또는 죽어 가는 줄 알았을 것이다. 이것이 나의 슬픔을 더 크게 하였다. 이러한 나의 육체적 고통에도 불구하고 그분을 위한 나의 사랑 때문에 (그리스도)를 보는 것을 방해받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구절을 통해 줄리안이 환시를 받는 순간 의식이 깨어 있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어둠인데도 불구하고 그녀의 눈앞에 있는 십자가상이 보였고 희미한 불빛에서 십자가를 볼 수 있었다. 이때 그녀는 5시간 동안이나 탈혼 상태에서 15차례의 환시를 보았다. 사람들을 사랑하시는 하느님의 다가오심과 십자가 위에서 죽기까지 고통을 당하시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관한 환시였다. 그 때 그녀의 의식은 깨어있었고 자신이 병고에서 벗어난 것을 알아차렸다. 다음 밤, 그녀가 본 다른 환시 속에서 이미 본 환시들에 대한 의미가 상세히 설명되어 명확하게 해주었다. 이 16 차례의 환시를 기록한 것이 오늘 날 우리에게 알려진 『짧은 텍스트』이다. 이 환시는 주로 성 삼위와 예수의 수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유의 할 점은 줄리안이 은수자로서 기도하며 고독한 삶을 살기로 결심한 것이 언제였나 하는 점이다. 그것은 아마도 줄리안이 환시를 본 후에 주님이 보여주신 엄청난 신비를 묵상하면서, 일생동안 주님과 친밀한 영적 삶을 살기로 결심한 것 같다.




2. 줄리안의 하느님 표상
줄리안의 작품을 해설하는 학자들은, 신학자로서의 줄리안의 특성은 뛰어난 상상력에 있음에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줄리안은 그녀의 영성에서 이와 같은 특징을 현저하게 드러내고 있다. 줄리안은 삼위일체에 관한 상징에서 어머니이신 하느님, 예수의 모성을 현저히 드러내는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바로 이 점이 현대 신학의 쟁점이기도하다. 또한 그녀의 창조신학의 감성은 교회 안에서 소홀하게 다루어 온 생태신학의 감수성을 일깨워 주고 있어 환경이 날로 피폐해 가고 있는 지구의 보존을 염려하는 현대인들에게 생명을 낳고 보존하며 양육하는 모성적인 지혜를 가르쳐주고 있다.



1) 어머니이신 하느님과 어머니이신 예수님의 표상


남녀평등의 움직임이 활발해져가고 있는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줄리안은 하느님의 아버지 표상에 대한 패러다임을 재고해 보도록 하는 초대를 하고 있다. 줄리안 작품의 핵심적인 요소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놀랍게도 하느님의 여성성에 대한 강조로서, 하느님은 우리의 아버지일 뿐 아니라 우리의 어머니라는 점이다. 하느님의 모성 통찰에서 선구적이었던 줄리안은, 모성을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개념으로 규정한다. 그녀에게 있어 하느님의 모성은 감싸고, 안고, 반기고, 포용하고, 우주적이고, 확장적인 특성으로 나타난다. 중세 문화 전통에서 가정 안에서의 아버지는 권위, 벌, 두려움의 상징이며, 어머니는 친절, 온순, 자비, 보호의 상징으로서, 먹이고, 옷을 입혀주는 자의 대명사와 직결되었다. 줄리안은 전통적인 가르침의 폭을 넓혀서 하느님의 모성적인 표상을 당당하게 표현하였고 특히 예수 그리스도를 모성적 표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보면 줄리안은 창조 영성의 신비가 중에서 모성적 개념을 가장 풍요롭게 개발한 분이다. 그리스도께서는 그의 다정한 가슴으로 우리를 먹이고 기르신다. 이러한 비유는 구약과 신약 성서에도 가끔 나오는 표현이다. 예수 자신도 하느님 나라에 대해 가르치실 때, 누룩을 넣어 빵을 만드는 여자라든가, 잃어버린 은전을 찾는 여인의 이야기로 여성을 비유 속에 끌어들이고 있다. 심지어는 자기 자신을 병아리를 날개 밑에 모아서 품고 있는 암탉으로까지 표현하였다. 가부장적 교회 안에서 이러한 은유들이 계속하여 발전되지는 않았지만, 줄리안은 이런 표상들을 통해 우리의 영적 삶에서 하느님과의 관계가 얼마나 풍요로워질 수 있는가 하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기에 아버지이자 어머니로서의 하느님의 삼위 일체적 속성에 대한 줄리안의 신학은 현대의 페미니스트 신학자들에게 새롭게 영감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 줄리안은 하느님의 모성을 삼위일체의 속성의 일부로 보고 있다. 여성성은 하느님의 부성을 조화롭게 보완해주며 모성은 삼위일체이신 성부, 성자, 성령의 각 위격에도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하느님의 모성적이고 여성적인 표상은 성서만이 아니라 오랜 유대교 전통의 일부였다. 또한 가부장적인 중세 신학자들도 어머니로서의 하느님을 가끔 언급했지만 줄리안은 특별히 성체를 통하여 성자의 모성적(母性的)인 측면을 그 어떤 신학자들보다도 더욱 풍요롭게 발전시켰다. 성체는 우리를 먹이시고 기르시고 새로 나게 하시며 그리스도의 모성과 결부된다. 긴 책의 52장에서 62장까지 11 개의 장에서 그녀는 하느님 안에 있는 부성, 모성, 주권이 하나로 합일되어 이루는 삼위일체의 일치에 관해 다루고 있다. 긴 책 58장과 59장에서 하느님의 모성성과 예수의 모성성의 표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구절을 살펴보기로 하자.

전능하신 하느님께서 우리의 사랑 넘치는 아버지가 되시고, 모든 지혜이신 하느님께서 우리의 사랑스런 어머니가 되시며, 성령의 사랑과 전선하심이 융합하여 이 모두가 어우러져 한 분이신 하느님, 한 분이신 주님이시다... 더욱이 나는 우리의 두 번째 위격에서 우리의 어머니이신 사랑스런 어머니의 실체를 보았고 이제 그 위격은 감각적으로도 우리의 어머니가 되신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실체로서, 또 감각을 가진 존재로 만드셨다. 우리의 실체는 보다 높은 차원에서 우리의 아버지이신 전능하신 하느님으로부터 이 실체를 받았다. 그리고 두 번째 위격은 본성적인 차원에서 우리의 어머니이시다. 우리의 실체를 창조하는데 기초와 근원이 되시는 분으로, 우리의 감각을 취하게 해주신 자비로운 어머니이시다. 그러므로 이 어머니는 우리 안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일하시며, 그 분 안에서 우리가 부분들로 나누이지 않고 온전하게 존재한다. 우리의 어머니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큰 덕을 입고 성장한다. 그 분은 자비로 우리를 변혁시키고 회복시키며, 그 분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의 힘을 통해서 우리 자신을 우리의 실체와 하나 되도록 도와준다. 그러므로 이 자비로운 어머니는 우리의 실체 안에 머물며, 그의 사랑을 받으며 순종하는 모든 자녀들을 위하여 일하신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는 악과 대치하는 선하신 우리의 어머니이시다. 우리는 그분의 원형을 지니고 있으며, 영원히 지속될 모든 감미로운 사랑과 더불어 그곳에서 모든 모성성의 기반이 시작된다. 하느님께서 참으로 우리의 아버지이신 것처럼 하느님께서는 참으로 우리의 어머니이시다.



로즈매리 류터는 하느님의 모성에 대한 줄리안의 탐구가 그녀의 신학의 핵심을 이룬다고 말한다. 특히 삼위일체의 위격적 하느님은 상호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인간과 더불어서 역동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인간은 창조되었고 구원되었으며, 아버지이고 어머니이신 주 하느님과의 상호관계 안에서 온전하게 인간성을 회복했다. 이 두 번째 위격과 줄리안이 지혜로써 동일화되는 순간을 성서에서 기록하고 있는 여성적 상징과 결부시키고 있다, 줄리안은 그리스도를 우리가 다시 낳음을 받아 새롭게 탄생하고 양육될 표본으로 본다. 그녀가 그리스도를 자신의 자궁으로부터 출산한 아이를 자신의 몸으로 키워내는 어머니로 바라보기 위하여 그리스도 교의 전통적인 세례와 성체 성사를 인용한다.



줄리안이 하느님을 아버지이며 어머니의 표상으로 이해하는 것은 하느님의 모성적 사랑에 대해 깊이 있고 폭 넓은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 "하느님의 신비가 얼마나 넓고 길고 높고 깊은지를 깨달아 알게 한다"(에페 3,18). 노리치의 줄리안이 모성을 통해 얻게 된 결론은 '섬김'에 있다. "어머니의 섬김은 가장 가깝고 가장 즐거우며 가장 확실하다. 모성적 섬김이 자연스럽기에 가장 가깝고, 사랑스럽기에 가장 즐거우며, 진실하기에 가장 확실하다." 그것은 여성의 출산에서 오는 고통과 모험과 용기를 내포하고 있다. 줄리안이 말하는 섬김은 자비의 섬김으로 모성의 '자비와 은총'에 관한 것이다. 하느님의 모성적 측면으로 돌아감은 바로 삶의 길인 자비로 되돌아감을 뜻한다. 그러기에 어머니이신 하느님은‘모든 지혜의 원천'이므로 현대인의 영적 목마름과 메마름을 풀어주고 살릴 수 있는 길은 모성적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께로 돌아가는 것이다. 생명을 살리는 어머니의 섬김을 맛보는 것은 나를 살리는 길이요, 이웃을 살리고 더 나아가 지구를 살리고 우주를 살리는 길이 될 것이다.



2) 창조의 전일적인 영성: 하느님의 사랑과 선하심의 표현


줄리안은 피조물 안에서 하느님을 만났고 만물이야말로 창조하시는 하느님의 선하심과 사랑의 표현임을 이해했다."하늘과 땅과 만물이 위대하고 넉넉하며 아름답고 선하다.... 하느님의 선하심이 만물과 모든 복된 일을 가득 채우며 끝없이 흘러 넘친다... 하느님은 모든 선이고 모든 것 안에 있는 선은 하느님으로부터 온다.... 나는 하느님과 우리의 실체 사이에서 아무런 차이도 보지 못한다. 이를테면 모두가 하느님이다. …하지만 하느님은 하느님이시고, 우리의 실체는 하느님 안의 피조물이다."



줄리안은 인류와 창조계, 몸과 영혼, 하느님과 감성의 경이로운 결합을 '직조'라는 말로 표현한다. 땅스러운 인간과 하느님과의 관계, 몸과 혼의 '영광스러운 결합'에 대해 말하며, 우리의 거룩한 감성이 바로 창조의 순간에 시작된다고 밝힌다. "우리의 감성은 자연과 자비와 은총에 바탕하고 있고 우리의 감성 안에 하느님이 계신다. 하느님으로 인해서 우리의 실체와 감성이 결코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다." 하느님은 우리의 감각에 의해서 차단되기는커녕 '우리의 감각 안에 계신다'. 우리는 우리의 감각과 땅스러움을 온정 깊게 대하고 조화시키며, 하느님은 실제로 피조물인 우리의 온전함을 회복하도록 구원해주고 지켜주는 힘이다. 줄리안은 우리의 땅스러움이 곧 거룩함이라고 명명하면서 거룩함을 추상화하지 않는다. 목욕과 같은 '우리 몸의 극히 단순한 자연적 움직임'이 하느님의 창조에 동참하게 되는 온전함의 영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느님이 당신을 닮도록 창조해주신 우리 넋을 사랑하시므로 우리 몸의 어떤 단순한 자연적 기능 안에서나마 우리를 섬기기를 천시하시지 않는다." 중세의 이원론적인 사고에 젖어 살면서도 영과 몸을 분리시키지 않는 전일적(全一的)인 사고를 할 수 있었던 줄리안에게서 현대인은 통합된 세계관을 배우게 되고 그녀의 진취적인 의식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줄리안은 "우리는 땅에 속해 있기보다 더욱 하늘에 속해 있다"고 말한다. 이 지상에서는 우리가 그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할 대상을 전혀 발견하지 못한다는 그녀의 기록에서 하늘과 땅을 가르는 중세의 이원론적 영성을 드러내는 일면이 없지 않음을 발견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녀의 종말론적 기대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녀는 하느님께서 우리가 이 땅에서보다는 하늘에 있기를 원하신다고 보았고 이 세상에서 해방되기를 원했다. 관상가들은 창조된 모든 피조물을 가치 없는 것으로 본다고도 쓰고 있다.



줄리안의 저서는 작은 호도(hazelnet)의 비전을 담고 있다. 줄리안은 그녀의 환시에서 하느님의 표상으로 '친밀함', '집과 같은 느낌', '공손함'을 들었고, 강렬한 개인적인 사랑을 체험하였다. 동시에 줄리안은 하느님께서 만드시고 사랑하시고 보존하시는 호도의 은유에서 창조물의 선함을 관상했다. 즉 하느님은 모든 것을 창조하셨고 모든 것을 사랑하신다.



하느님께서 나의 손바닥에 공같이 둥글고 호도보다 크지 않은 작은 것을 놓아 주셨다. 나는 그것을 쳐다보며, '이것이 무엇일까?'하고 생각하고 이해하려 했다. 하느님께로부터 '그것은 피조물이다'라고 대답하시는 말씀을 들었다. 이것이 너무 작아서 한 순간에 사라져 버릴 것만 같았다. 나는 그것을 바라보면서 하느님의 사랑으로 존재하는 호도가 영원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이해했다. 모든 피조물은 하느님의 사랑에 의해서 같은 방법으로 존재한다... 이 작은 호도는 세 개의 고유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첫째 하느님이 그것을 만드셨으며, 둘째 하느님이 그것을 사랑하고 계시고, 셋째, 하느님께서 그것을 돌보신다는 것이다. 그런데 만드신 분, 돌보시는 분, 사랑하는 분은 내게 참으로 어떤 분인가? 내가 그분과 하나의 실체로 합일될 때까지, 내가 완전한 안식과 참된 행복을 누릴 수 있게 될 때까지는 그것에 대해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 때는 내가 하느님과 너무도 밀접하게 일치되어 있어서 하느님과 나 사이에 어떤 피조물도 끼어 들 수 없을 것이다.



이 비전은 대부분의 그리스도인 신비가들이 이미 체험했던 내용을 힘있게 강조하고 있다. 하느님은 창조된 피조물의 아주 작은 알갱이까지도 만드시고, 사랑하시고, 보호해주신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하느님은 인간의 무한한 갈망에 의해서만 만족해하신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창조된 모든 것을 아무 것도 아닌 것으로 무시할 수 없다



그리스도인은 동시에 모든 것을 사랑해야 하고 어느 것도 사랑의 대상에서 제외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기에 아주 작은 것 안에서도 하느님을 보아야 하고 모든 것 안에 하느님께서 현존하고 계시다고 확신해야만 한다. 줄리안은 모든 피조물 안에서 하느님을 보는 은혜로운 비전에 의해 압도당했다. 하느님은 사랑으로 만물을 창조하셨다. 줄리안은 만물 안에 내재하는 하느님의 선하심을 그녀의 전 생애를 통해 관상했다."하느님은 자연의 참 아버지요 어머니이시다.... 전능하신 하느님은 우리의 사랑하는 아버지요 전지하신 하느님은 우리의 사랑하는 어머니이시다".



이러한 이유에서 줄리안의 창조 영성이 제시하고 있는, 우리 자신 안에 잠재해 있는 하느님을 닮은 보석과 같은 모성을 발전시킬 중대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고 영성 신학자들은 역설하고 있다.




IV . 오늘을 위한 줄리안의 영성적 지혜



1. 하느님을 갈망하는 마음에로의 초대


극도로 물질적이고 회의적이며 무신론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줄리안과 같은 신비가에게 끌리는 매력은 무엇일까? 그녀 안에 내재하고 있던 깊은 갈망으로서 하느님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하느님의 모성으로써 이웃에게 봉사하려는 강렬하고도 무한히 확산되는 열망이 우리에게 전수되기 때문이 아닐까? 줄리안에게 있어 예수의 수난에 동참한다 함은 단지 수난사의 구절을 읽으며 회상하는 차디차고 추상적인 묵상의 반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수의 수난과 죽음에 동참함으로써 그 분의 고통을 함께 나누기를 갈망하는 사랑이다. 창검에 찔린 예수의 마음과 그 분이 선호하는 관심에 애정을 가지고 일치하고자 하는 갈망이다. 그리스도 교 역사상, 삶의 증거를 통해서, 순교를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했던 사람들이 소원했듯이, 줄리안도 그리스도와 함께 고통받기를 청했다.



고통을 없애는 약들이 범람하는 시대, 아픔을 피하기 위해 지나치게 약물을 남용하는 약물중독의 시대에, 줄리안이 죽을 때까지 신체적 병을 간절히 소망했던 태도는 현대인을 아연케 하며 혼란스럽게 하는 논지이다. 하느님을 증거하는 삶에 인생을 건다는 것은 세상 사람들의 가치와는 상반된 어리석음의 지혜일지 모른다. 십자가의 죽음으로 세상을 구원한 예수의 어리석음의 지혜와 같은 논리이다. 그녀는 몸소 어리석음의 지혜를 체험함으로써 고통을 통해 하느님의 현존을 드러내려는 삶을 선택한 것이다.



여기서 줄리안은 우리들로 하여금 현실의 일상성 안에서 우리 내면의 깊은 곳으로 들어감으로써 일상의 지평을 넘어서려는 용기, 더 깊이 들여다보고 더 깊이 느끼고 더 풍성하게 나누고 사랑하려는 용기, 하느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알려는 용기에 도전하도록 우리를 초대하고 있다. 하느님과의 관계에서나 이웃과의 관계에서 하느님을 닮는 용기를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줄리안은 환시를 본 후 20년 동안이나 그 신비에 대하여 묵상하였고 은수자의 삶을 살아냄으로써 하느님과의 깊은 관계를 사는 용기를 보여주며 하느님을 갈망하는 마음을 갖도록 우리를 독려한다.



2. 풍요의 영성 :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다'
줄리안이 살던 중세는 죄, 저주, 죽음과 같은 부정적인 주제에 강박 되어 묶여 있었다. 줄리안은 이 비관론에 대해 하느님의 선하심, 사랑, 자비로 대응했다. 줄리안은 수년간 자신이 체험한 하느님의 조건 없는 사랑에 대해 심판이나 영원한 벌이라는 두려움이 야기하는 이율배반적인 모순을 괴로워했다. 그러나 줄리안은 용맹스럽게도 교회의 가르침에 대해 전적인 신앙을 고백하면서 자신의 갈등을 서서히 풀어나갔다.



하느님에 대한 줄리안의 신뢰는 절대적 믿음의 차원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녀의 영성의 핵심은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라는 낙관적 메시지로 집약 될 수 있다. 그녀는 삶의 태도와 신앙의 전망에서 매우 긍정적이고 자유로운 자세를 보여준다.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지속적인 사랑이 모든 악들 위에서 승리를 거둘 것이라는 확신이 '모든 것이 다 잘 될 것이다'라는 하느님께 대한 절대적인 신뢰로 집약되고 있다.



죄에 대한 줄리안의 태도는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가르침이 되고 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죄에 대해 너무 강박되어 있기 때문에 때로는 죄가 은총보다 더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죄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강박관념은 은총보다 오히려 죄에 큰 비중을 두는 경향 마저 있다. 하느님의 계시를 통해 줄리안이 강조하고 있는 점은 하느님의 크신 사랑에 대한 전폭적인 신뢰이다. 우리가 우리의 결핍이나 죄와 같은 부정적인 요소에 너무 집착하기보다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에 기초하여, 특히 하느님의 사랑과 은총에 큰 신뢰와 희망을 두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풍요의 영성이라고 해서 세계 공동체와 개인의 삶이 직면하고 있는 어두운 측면을 부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지 내 삶을 충만하게 살려면 우선 내가 서 있는 현장에서 새로운 시작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내 주변에 난무하는 사회악에 나도 몸을 담그고 있고 내 안의 상처에 대해서는 나에게도 책임이 있음을 시인해야만 한다. 현실 속의 초라한 나를 솔직하게 인정할 때에 하느님께서 부족한 우리의 마음을 참으로 가득히 채워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V. 결 론



역사는 중세를 암흑의 시기라고들 한다. 그러나 애벌레가 나비가 되기 위해서는 번데기의 과정을 거쳐야 하듯이, 중세는 우리가 빛의 세계에 들어가기 위해 필연적으로 통과해야만 했던 어둠의 과정이다. 신앙적인 측면에서 풍성한 영성적 가치들을 발굴해 내었던 많은 위대한 신비가들이 바로 이 어둠의 세기에 살았다는 사실이 그 좋은 증거이다. 특히 노리치의 줄리안이 체험했던 환시를 담고 있는 하느님 사랑의 『계시』는 오늘 날의 현대인에게 밝고 따뜻한 빛을 선사하고 있다.



중세의 영성의 특성 중의 하나는 그리스 철학에서 비롯된 이원론의 대립으로 몸과 마음을 분리시킬 뿐만 아니라 이성과 감성, 정신과 물질, 남성과 여성을 분리시키며 상하의 체계를 구별하는 구조적인 폐단이 당대의 모든 가치체계를 지배했다. 이런 가부장적 가치관의 전통 속에서 줄리안은 어머니이신 하느님과 어머니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열렬히 거론했다.



'신은 죽었다'고 체념하며 스스로 신이 되기를 자처하는 현대인들, '감싸줄 사람'이 없이 혼자 자립하고자 발버둥치는 오만하고 고독한 현대인들에게 줄리안은 하느님의 모성을 명상하도록 초대하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의 내면에서 잠자고 있는 모성을 일깨워 하느님은 아버지이자 어머니임을 깊이 깨달음으로써 생명을 살리고 보존하시는 하느님의 창조사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우리 시대는 삶의 의미를 찾는데 목말라한다. 또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를 갈구하고 있다. 그런데 줄리안은 하느님 사랑의 『계시』를 통해 현대 인류에게 삶의 의미는 사랑에 있다고 가르친다. 줄리안의 가르침은 하느님의 무조건적 사랑을 통해 우리가 하느님께 되돌아감으로써 인간으로서의 온전성을 회복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온전성을 회복하는 길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는 모든 것이 잘 되게 하실 것'이라는 믿음에 절대적인 신뢰를 두고 믿음과 희망, 기도와 관상, 회심과 연민을 생활화하는 사랑의 삶을 사는 데 있다.

출처 : http://songsim.catholic.ac.kr/~cwrik/lab1.html







♬salve regina coelitum -성바오로딸






































Beata Giuliana di Norwich



13 maggio


m. 1423 c.



Di questa beata si ignorano il nome di Battesimo e quello della sua famiglia. Oltre al libro delle Rivelazioni, sulla sua esistenza ci e giunta solo un’altra testimonianza coeva, che e stata recentemente scoperta nella singolare autobiografia di Margery Kempe, altra santa donna del tempo. Ella, nel 1413, si era recata, nel romitaggio di Norwich, a visitare "Madonna Giuliana" per averne consigli e direttive spirituali. "Madonna Giuliana" o "signora Giuliana", e il nome sotto il quale la beata era conosciuta in vita e che poi le e rimasto; potrebbe averlo adottato in onore di s. Giuliano, patrono della chiesa presso cui trascorse gran parte della sua vita, chiesa che apparteneva al monastero di Benedettine dei SS. Maria e Giovanni a Carrow, dentro la citta di Norwich. Si e avanzata l’ipotesi, ma senza prove valide, che Giuliana fosse una monaca di quel priorato.


Tutto cio che realmente e noto su Giuliana, che si dice "una semplice creatura che non conosce le lettere", simile in cio a s. Caterina da Siena, pure illetterata, sono le notizie che si possono trarre dal suo notevole libro, pervenuto in due distinte versioni: "testo lungo" e "testo breve". Attualmente si concorda generalmente nel considerare la versione "breve" come la piu antica, sebbene sia stata la "lunga" ad essere edita per prima, nel 1670, a cura del benedettino Serenus Cressy, dal ms. di Parigi. Tra le numerose riedizioni, seguiamo qui quella del 1901, annotata da Grace Warrack. Il "testo breve" e stato edito per la prima volta da D. Harford nel 1911, da un ms. del British Museum, ed e stato riedito da A. M. Reynolds nel 1958. In questo secolo sono stati scoperti altri due mss., uno per ogni versione.


In tempi recenti sono stati pubblicati molti studi sulle Rivelazioni di Giuliana, alla quale si riconosce universalmente una personalita fuori del comune.


Ella e la prima scrittrice che usi il volgare, cosa questa che aggiunge uno speciale interesse linguistico al suo libro e, come mistica, Giuliana occupa davvero un posto eminente. Preliminarmente meritano di essere ricordate le sue continue dichiarazioni di lealta verso l’insegnamento della Chiesa. Per misurare adeguatamente ]a sua statura, e fondamentale la conoscenza degli autori che hanno scritto di lei in questi ultimi tempi, soprattutto il gesuita Paolo Molinari (1958).


La data cruciale nella vita di Giuliana fu l’8 o il 13 maggio 1373: i mss. non concordano sul giorno del mese. Della sua vita precedente, sappiamo solo che ella era teneramente devota alla madre e che era una donna molto pia. Questa seconda caratteristica si delinea in rapporto alle affermazioni della beata secondo cui, in un tempo non specificato, ma anteriore alle sue "visioni", ella aveva chiesto a Dio tre doni e cioe: una "veduta materiale" della Passione di Cristo, cosi da partecipare alle sue sofferenze come Maria e l’esperienza di una "malattia del corpo", perche fosse purificata da ogni amore per le cose terrene. La terza grazia concerneva tre "ferite" (wounds): di dolore per il peccato, di sofferenza con Cristo e di brama di Dio. Le prime due grazie erano chieste con la condizione "se questa e la volonta di Dio", ma la terza senza alcuna riserva. Tutto cio presuppone una insolita disposizione dell’anima, preparata a ricevere straordinarie grazie mistiche.


La malattia che aveva chiesta la colpi quasi all’improvviso nel giorno cui si e gia accennato. Non e detta l’esatta natura del male, ma che fosse molto grave lo prova il fatto che giunse in punto di morte. "Io giacqui tre giorni e tre notti e la quarta presi tutti i sacramenti della Santa Chiesa e pensai che non avrei vissuto fino all’alba. E dopo cio, io languii per due giorni e due notti e la terza notte pensai di essere per morire e cosi pensarono quelli che erano con me...E essendo ancora giovane, pensai esser molto doloroso morire...ma consentii in pieno, con tutta la volonta del mio cuore ad essere alla merce di Dio...Si mando a cercare il mio curato perche assistesse alla mia fine. Egli mise la croce dinanzi al mio volto e disse: "Ti ho portato l’immagine del tuo Creatore e Salvatore; guardala e siine confortata"". Giuliana si sforzo di assecondarlo e vi riusci, ma "non seppe come". L’immagine sembro diventare viva, col sangue che gocciava giu dal volto del Salvatore. Poco dopo, quando ella pensava di essere proprio morta "tutto ad un tratto la mia pena fu rimossa da me e io fui cosi come ero prima". Quindi Giuliana ricordo il desiderio di sperimentare sul suo corpo le sofferenze della Passione di Nostro Signore (cap. XVII) "la quale visione delle pene di Cristo mi empi di pena. Perche io sapevo bene che Egli aveva sofferto una sola volta, ma era come se Egli volesse mostrarmelo e riempirmi col pensiero, come avevo prima richiesto. Cosi pensai: io sapevo ben poco che pene fossero quelle che io chiesi, e, come una disgraziata, mi pentii, pensando: se io avessi saputo cio che era stato, ci avrei pensato a chiederlo. Perche mi parve che le mie pene avessero oltrepassata la pena corporea. Io pensai: c’e qualche pena come questa? E mi risposi nella mia ragione: l’Inferno e un’altra pena, perche non c’e speranza.


Ma di tutte le pene che guidano alla salvezza, questa e la maggiore, vedere il tuo Amore soffrire...".


Questa fu la prima delle quindici Rivelazioni, riferita quella mattina dopo la sua mi steriosa malattia e improvvisa guarigione. "La prima cominao la mattina presto, circa le quattro, e continuo la visione con processo pieno, chiaro e netto, una di seguito all’altra fino a oltre le nove del giorno". L’ultima manifestazione ebbe luogo la notte successiva, e quando fini le tornarono i sintomi della malattia, e Giuliana comincio a nutrire dubbi sulla realta della sua esperienza e spesso desidero "di conoscere che significato desse il Nostro Signore a tutto quello". Ella dovette aspettare quindici anni e piu prima di ricevere una risposta diretta: "Volevi conoscere il disegno del tuo Signore in questa cosa? Amore. Imparalo bene: Amore era il Suo disegno. Cosa ti mostro? Amore. Perche te lo mostro? Per Amore. Tienilo dentro e imparerai e conoscerai di piu insieme...Cosi fu che pensai che Amore era il disegno di Nostro Signore".


Queste visioni dovevano essere per Giuliana come semi celesti piantati da Nostro Signore stesso nella sua anima e essi si svilupparono interiormente nel corso della vita. Tutto il libro non e altro che un commentario su cio che le fu mostrato durante quelle poche ore nel suo letto di malata, nel trentunesimo anno della vita. Ella visse a lungo, chiusa nel suo romitorio presso la chiesa di S. Giuliano a Norwich, curata negli ultimi anni da due donne che provvedevano alle sue necessita. La Giuliana fu visitata da molte persone di ogni rango e grado, che venivano a lei per aver un consiglio nelle loro pene. Il suo amore per Nostro Signore ispiro quello per i suoi evenchristians, come li chiamava.


Il libro deve essere stato dettato a qualche chierico competente che, nel frattempo, deve averle reso familiari i migliori scritti spirituali dei santi Padri e Dottori cattolici. Ci sono anche ragioni per pensare che le lettere della sua piu giovane contemporanea, s. Caterina da Siena, debbano esserle state portate a conoscenza, ma nessuna influenza esterna adultero l’originalita della sua sapienza "data da Dio" (God-given): il libro che alla fine ella scrisse, rimane la piu dolce esposizione clel. l’amore divino che sia mai stata scritta nella lingua inglese. Alcuni dei suoi capitoli possono essere descritti solo come "sublimi", con un messaggio per ogni generazione di devoti cristiani, in tutto il mondo.


Non c’e alcuna traccia cdi una eventuale beatificazione di Giuliana, e nemmeno di culto pubblico: tuttavia ella e talvolta chiamata beata e ricordata il 13 o il 14 maggio.


Autore: John Stephan






JULIAN of Norwich



Also known as


Juliana of Norwich


Memorial


13 May


Profile


Almost nothing is known of her early life; we don’t even know if she was from Norwich or chose to move there. Recluse under the direction of Benedictines in Norwich, England. Mystic, visionary, and writer. Her book, Revelations of Divine Love, which contains sixteen revelations she received while in an ecstatic trance, is still in print. Meditated on, spoke on, and wrote on the power of love of evil, Christ’s Passion, and the nature of the Trinity. In her early 60s she shut herself in complete seclusion at Conisford, Norwich, and never left again.


Born


c.1342


Died


c.1423 of natural causes


Beatified


never formally beatified, but considered "blessed" due to popular devotion



Readings


All shall be well


and all shall be well


and all manner of things shall be well.



-Julian of Norwich






Blessed Juliana of Norwich, OSB Hermit (PC)
Born c. 1342; died in Norwich, England, c. 1423; she has never actually been beatified.
Among the English mystics none is greater than the Lady Julian, who lived near Norwich, England, in a three-roomed hermitage in the churchyard of Conisford. Absolutely nothing is known of her life before becoming an anchorite. In fact, we do not even know her name; she has been given the name of the church where she had her cell. An old English historian writes: "In 1393, Lady Julian, the anchoress here was a strict recluse, and had two servants to attend her in her old age. This woman was in these days esteemed one of the greatest holiness."


She lived in an age of startling and confusing contrasts. It was the time of the Black Death, the Peasants' Revolt, Piers Plowman and Wat Tyler, when the old social patterns were breaking down. But none of this is reflected in her quiet and retired life or in the pages of her spiritual autobiography, Revelations of Divine Love, which is the most sublime of all expositions of its kind in English. Her masterpiece encompasses the love of God, the Incarnation, redemption, sin, penance, and divine consolation.


"These revelations," she writes, "were shown to a simple creature unlettered, the year of our Lord 1373, the eighth day of May." She desired above all to know the suffering of our Lord--what she called "the mind of His Passion"--and that nothing might stand between herself and God. She tells us that when at the age of 30 she was at the point of death and the curate was sent for to administer the last rites, "he set the Cross before my face and said: 'I have brought you the Image of thy Maker and Savior: Look thereupon and comfort yourself with it.'"


She spent the next 20 years meditating upon the 16 revelations that followed in a state of ecstasy, of Christ's Passion and the Trinity. She saw the red blood flow from under the Crown of Thorns; she saw the Virgin, a young and simple maid; she saw our Lord a 'homely loving.' Then God showed her a little thing--a hazel nut in the palm of her hand. She thought: what may this be? and was answered: "It is all that is made. God shaped it. God gave it life. God maintains it."


Thus, she learned the goodness of God, in which is our highest prayer and which "comes down to our lowest need." And still regarding the Crucifix, she saw the stream of God's mercy falling like showers of rain, and looked upon the tokens of His Passion. She saw our Lord dying and underwent the torments and agony of His suffering. "And thus I saw Him, and sought Him; I had Him and I wanted Him." It seemed, she said, as if He were seven nights dying, so outdrawn was His anguish, suffering the last pain, seven nights dead, continually dying, in a cold dry wind. "Thus was I taught to choose Jesus for my Heaven, whom I saw only in pain at that time . . . to choose only Jesus in good times and bad. . . . He shall make all well that is not well. . . . Prayer unites the soul to God."


In this way, this remarkable book pursues its course, full of deep insight and feeling: "In Christ our two natures are united." "Our soul can never have rest in things that are beneath itself." "God can do all that we need." "I knew well that while I beheld in the Cross I was surely safe." And its last word is: "Love was our Lord's meaning." At the time of her death she had a far-spread reputation for sanctity, which attracted visitors from all over England to her cell (Benedictines, Delaney, Gi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316 프란치스칸 성인 5월6일 성 요한 사도 라틴 문전 수난♬Ave Maria-J.S Bach 안젤라 2010-05-05 4605
315 프란치스칸 성인 5월7일 성녀 로사 베네리니와 3월25일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 안젤라 2010-05-05 4671
314 프란치스칸 성인 5월8일 성 빅토르 마우로 순교자, 7월12일 성 나보르와 성 펠릭스 순교자 안젤라 2010-05-05 5007
313 프란치스칸 성인 5월8일 성 미카엘 대천사 발현♬Laudate Dominum-Mozart 안젤라 2010-05-05 6789
312 프란치스칸 성인 5월9일[아빠스]성 파코미오 아빠스♬Ave Maria-schubert 안젤라 2010-05-05 4853
311 프란치스칸 성인 5월9일(3월9일)볼로냐의 성녀카타리나동정(3회)♬태양의 찬가 안젤라 2010-05-05 4594
310 프란치스칸 성인 5월10일 글로리아GLORIA 축일♬시편 71(72) 안젤라 2010-05-05 4372
309 프란치스칸 성인 5월10일 성 안토니노 주교 학자♬Ave Maria-schubert 안젤라 2010-05-05 4600
308 프란치스칸 성인 5월10일 아빌라의 성 요한 사제 영적 지도자♬Ava Maria-Guarani 안젤라 2010-05-05 3756
307 프란치스칸 성인 5월10일 성조 욥.하느님은 하느님이시다♬Ave Maria-Pastori 안젤라 2010-05-05 4222
306 프란치스칸 성인 5월11일 라코니의 성 이냐시오 수도자(1회)♬Ave Mundi Spes Maria 안젤라 2010-05-10 4429
305 프란치스칸 성인 5월12일 성 네레오와 성 아킬레오,성녀 도미틸라순교자♬Salve Regina 안젤라 2010-05-10 5260
304 프란치스칸 성인 5월12일 성 판크라시오 순교자♬Ave Maria-caccini 안젤라 2010-05-10 9962
303 프란치스칸 성인 5월12일 만디츠의 성 레오폴드 사제(1회)♬성 프란치스코의 기도 안젤라 2010-05-10 5383
302 프란치스칸 성인 5월13일[계시]파티마의 복되신 동정마리아 축일♬가톨릭성가 270번 안젤라 2010-05-15 5025
» 프란치스칸 성인 5월13일 노르위치의 복녀 율리아나.♬salve regina coelitum 안젤라 2010-05-15 15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