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3월3일


성녀 구네군다 황후 동정


Saint Kunegunda,(Kinga)


Sta. Cunegundis, V


Santa Cunegonda Imperatrice


Died:1040.buried at Bamberg, Bavaria near Saint Henry


Patronage:Lithuania, Luxembourg, Poland


Cunegonda = che combatte per la stirpe, dall’antico tedesco





성녀 구네군다는 부친 스그프리드와 모친 헤드비그로부터 아주 어릴적부터 신심교육을 받았다.


그녀는 바바리아의 공작인 성 헨리꼬와 결혼하였는데,


이때 헨리꼬는 동방의 어느 목수가 제작한 십자가를 선물했고, 이것이 지금도 뮨헨에 보존되어 있다.



*성 헨리코 축일:7월13일.게시판1272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어느 전기작가는 그들 부부는 결혼식날에 동정서원을 발했다고 하는데 이것이 사실로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당시의 황제 오토 3세가 서거하자, 헨리꼬는 로만스의 왕으로 추대되었고,


그의 대관식은 마인쯔에서 성 빌리지스에 의하여 성대히 거행되었다.


또 1013년에는 그들이 로마로 가서 교황 베네딕또 8세로부터 황제관을 받았다.



이러한 구네군다였지만 그녀는 얼마 뒤에 중상자들의 희생물이 되었고,


남편마저 일시적이나마 아내를 의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확고히 항변해야 할 입장에 선 그녀는 불에 의한 시죄법 적용을 허용해 달라고 청할 정도였다고 한다.


이때 헨리꼬는 자신의 의혹을 풀고, 마음으로 일치하여 살았으며,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선정을 베풀었고, 국내의 신앙 전파를 위하여 헌신적으로 일하였다.





구네군다는 황제에게 청을 들여서 밤베르그 대성당을 비롯히여 수많은 성당과 수도원을 짓게 하였고,


교황 성하가 직접 오시어 축성하도록 주선하였다.


그러던 중에 그녀가 중병을 앓게 되었는데,


그녀는 병이 나으면 까셀 근교 카우푼겐 성당을 수 차례나 방문하고,


미사 때 복음을 봉독한 뒤에, 그녀는 원래의 십자가 일부를 제대에 봉헌하였다.



그 후 그녀는 주교로부터 수녀복을 받고,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하는 수도자의 삶을 살았다.


그녀는 지난날의 황녀로서 모든 부귀영화를 잊고 비천한 환경과 초라한 수도원에서 기꺼이 살았으며,


하느님 앞에 흠 없는 삶을 살았다고 주위 사람들이 높이 칭송할 정도였다고 한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독실한 신자는 신분의 귀천이나 빈부 여하에 불구하고


하느님의 은총의 도움으로 영혼에 아름다운 열매를 맺게 된다.


성녀 쿠네군다는 독일의 황후라는 높은 지위에 올랐을 뿐 아니라, 그의 양친도 왕후의 가정이었다.


황제나 황후로서 공경 받는 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성녀 쿠네군다는 특별히 세상에 알려진 성녀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열심한 그리스도교 신자인 부모의 교육을 받아 경건하게 자랐고,


또한 왕후의 여식으로서의 적합한 교육을 받았다.


나이가 차서 쿠네군다는 바바리아 왕의 원의로 그의 황후가 되어 성대한 결혼식도 거행했다.


이때 하인리히(헨리코)는 동방의 어느 목수가 제작한 십자가를 선물했는데,


이것이 지금도 뮨헨에 보존되어 있다.



그녀가 전부터 동정의 서원을 발하고 있었던가는 확실치 않지만,


결혼식 후 남편인 왕에게 하느님께 정결한 마음으로 봉사하기 위하여


일생을 동정으로 지내겠다고 청했다는 것이다.


이 말에 의외에도 남편은


“실은 나도 그런 희망을 갖고 있다. 그러면 앞으로 우리는 남매와 같이 사이좋게 지내자.


그래도 세상에는 이를 끝까지 감추어 두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하고 대답했다 한다.


그때 쿠네군다의 즐거움이 어떠했는가는 이루 표현키 어려웠을 것이다.



이와 같이 두 사람은 정결한 생활을 계속하며 서로 격려하며 각각 덕행의 길로 매진했다.


쿠네군다는 모든 상류 부인의 전형으로 공경을 받고


남편인 하인리히(Heinrich, 성 헨리코, 축일 7월13일)는 또한 오토(Otto)대제의 사후 바바리아 뿐 아니라


전 독일을 다스리는 황제로 추대되어 마인쯔에서 대주교의 손으로 왕관을 받았다.





대관식 후 황제는 곧 어떤 전쟁에 충전하지 않으면 안 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 국내를 시찰하면서 다닌 뒤 비로소 황후가 기다리고 있는 바데르보룬에 돌아왔다.


그러나 쿠네군다도 그동안 한가하게 지낸 것은 아니었다.


한편으로는 국모의 책임을 완수하며, 다른편으로는 기도나 빈민, 병자의 방문등 쉴 새가 없었다.


그녀는 국경일에는 화려한 의상으로 사람들과 연회를 같이 했지만,


홀로 되면 검소한 의복으로 갈아입고 엄한 단식재를 지켰다.


그리고 겸손한 마음에서 선행도 할 수 있는 한 남몰래 행하려고 했지만 덕의 광채는 숨기지 못하고


그로 말미암아 한층 더 백성들의 존경을 받게 되었다.



1114년에 황제와 같이 로마를 방문하고 성 베드로 대성정에서 교황의 손에서 다시 독일 황제의 관을 받았다.


하인리히는 교회에 복종하는 표시로써 그것을 또한 성 베드로 제대에 봉헌하고


아울러 종교에 충실하고 교회를 보호할 것을 맹세했다.


쿠네군다는 아주 기쁜 마음으로 이 예식에 참여하고 진심으로 자기 나라를 위해 기도했다.


그 기도가 허락되었음인지 사실 하인리히 황제가 다스리던 시기는 평화로운 나날들이었다.





귀국하자 황제는 밤베르크(Bamberg)에 크나 큰 성당이 붙은 한 수도원을 건립했고


틈이 있을 때마다 그 수도원을 방문하고 그곳에서 지내기를 좋아했다.


이 수도원은 지금도 남아 있으며 경건했던 황제를 사모하는 유일한 기념으로 되어 있다.


그 건축에는 쿠네군다도 자기의 재산을 희사하며 할 수 있는 데까지 원조를 했고,


황제의 도움을 얻어 카우푼겐에 한 여자 수도원을 건설하고 황금보석과 귀중품 전부를


제단의 장식품으로 바침으로써 성체 안에 계신 주님을 공경하는 정성을 표시했다.



이렇게 두 성인은 기쁨 속에 살아가고 있었으나


무슨 영문인지 황제의 마음에 그녀의 정결을 의심하는 마음이 일어나


지금까지 그녀를 존경하고 있었던 만큼 그의 번민도 보통 이상의 것이었다.


그리하여 당시의 습관대로 하느님께 직접 그 정결의 진부(眞否)를 결정해 줄 것을 간청하게 되었다.


그 방법은 장기 열두 개를 불에 벌겋게 달게 해 놓고 쿠네군다에게 맨발로 그 위를 건너게 하여


화상을 입으면 죄가 있는 것이고 무사하면 죄가 없는 것으로 여기는 것이었다.





황후도 몸의 정결함을 밝히기 위해 이를 원하고


잠시 하느님께 기도를 바친 후 맨발로 한창 달은 쇠의 장기 앞에 섰다.


황제를 위시하여 입회인들은 결과의 여하를 심각한 표정으로 바라다보고 있었다.


쿠네군다는 천천히 맨발로 뜨거운 쇠 위를 걷기 시작했다.


한 발 두 발 이렇게 벌겋게 달은 쇠 위를 걸어갔어도 기적으로 아무런 상처를 입은 데는 없었다.


끝끝내 열 두 개를 전부 걸어갔다.


사람들은 저절로 소리를 지르게 되었다. 그녀의 결백은 충분히 증명된 셈이다.


그것을 목격한 황제는 달려가서 그녀 앞에 머리를 숙이고 이유 없이 의심한 점에 대해 용서를 청했다.


쿠네군다도 쾌히 남편을 용서해 주고 두 성인의 마음은 전과 같이 명랑해졌다.



두 사람은 많은 선행을 하다가 1024년 황제가 먼저 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세상을 떠나기 전날 밤 황제는 친우, 중신, 사제들을 병석에 부르고


국정(國政)에 관해 세밀하게 유언을 한 후 비로소 쿠네군다와 같이 평생 동정을 지킨 사실을 말했다.


일동은 경탄하며 다시금 황제, 황후의 성덕에 탄복하며


또한 이전에 쿠네군다의 무죄를 밝힌 기적이 우연이 아니었음을 알았다.


황제를 여읜 쿠네군다는 하느님만을 위해서 살았다.


그녀는 잠시 평화로이 나라를 다스리다가 친척인 콘라도 1세에게 국정을 양도하고,


그 후는 기도와 자선 사업으로 날을 보냈다.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1년이 지나서 그녀는 손수 설립한 카푸친의 여자 수도원에 들어가기로 정해


예수 십자가의 한 조각을 거룩한 유물로 그곳에 헌납하고 아름다운 의복은 전부 버리고


그 대신 친히 만든 누추한 옷을 입고 발을 하고 주교께서 축성한 수건을 썼다.


그리고 나서 즐거이 수덕에 힘쓰며 이전의 고귀한 신분도 잊어버린 듯이 아무리 천한 일도 실어하지 않았다.


그녀는 손재주가 있었기 때문에 성당을 장식하는 여러 물품을 만드는 것을 좋아했고


예전과 같이 병자 방문 등도 기꺼이 계속했다.



수도 생활을 한 지 15년 후 그녀도 마침내 주님의 부르심을 받아 천국으로 떠났다.


유해는 유언에 의해 밤베르크의 성당에 운반되어 그녀가 늘 오빠라고 부르던 배우자


성 헨리코(하인리히) 옆에 매장하게 되었는데,


행렬 도중 그녀의 덕울 사모한 백성들이 사방에서 모여와 길 옆에 무릎을 꿇고 경의를 표했다고 한다.


(대구대교구홈에서)



* 성녀 쿠네군다 수도자(2회, +1292년)축일:7월23일,게시판1285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Fratello Sole e Sorella Luna-Claudio Baglioni


(Brother sun, sister moon)




Fratello Sole, Sorella Luna



Dolce sentire come nel mio cuore
ora, umilmente, sta nascendo amore.
Dolce capire che non son piusolo
ma che son parte di un’immensa vita,
che generosa risplende intorno a me:
dono di Lui, del Suo immenso amor.



Ci ha dato il cielo e le chiare stelle,
fratello Sole e sorella Luna;
la madre Terra con frutti, prati e fiori
il fuoco, il vento, l’aria e l’acqua pura,
fonte di vita per le Sue creature:
dono di Lui, del Suo immenso amor,
dono di Lui, del Suo immenso amor.



Sia laudato nostro Signore
che ha creato l’universo intero.
Sia laudato nostro Signore
noi tutti siamo Sue creature:
dono di Lui, del Suo immenso amor,
beato chi Lo serve in umilta



















HENRY II



Also known as


Heinrich, Duke of Bavaria; Good King Henry


Memorial


13 July





Santa Cunegonda Imperatrice



3 marzo


Etimologia: Cunegonda = che combatte per la stirpe, dall’antico tedesco




Le fonti relative a Cunegonda sono costituite da notizie sparse, fornite da alcuni cronisti contemporanei, come Tietmaro di Mersburgo e e Rodolfo il Glabro, e da una vita composta da un canonico di Bamberga piu di un sec. dopo la morte. Quest’ultima composizione e in connessione con il culto che prese particolare incremento verso burgo e la madre, Adesvige, diedero alla figlia, dai primi anni, profondi insegnamenti cristiani. A vent’anni circa, ella sposo il duca di Baviera, che nel 1002 fu incoronato re di Germania e nel 1014 imperatore. Su questo matrimonio sono sorte, specie al principio del nostro sec., molte polemiche: in alcuni testi antichi, tra i quali la bolla di Innocenzo III, si narra che i due coniugi fecero voto di perpetua verginita, per cui vissero sempre come fratello e sorella. Si parlo cosi di "matrimonio di s. Giuseppe" e per questo fatto in alcuni testi si da a Cunegonda il titolo di vergine. Secondo altri autori moderni una simile qualifica non corrisponde alle narrazioni di contemporanei (come Rodolfo il Glabro). I fatti, in realta, sarebbero andati in questa maniera: Enrico si accorse che la moglie era "sterile" e in casi consimili il matrimoniale germanico, tollerato da Roma, ammetteva il ripudio. L’imperatore non volle usare questo diritto per la grande pieta e santita che riscontrava nella moglie e preferi vivere assieme a lei anche senza speranza di prole. Il fatto di non aver figli e la santita dei coniugi pote, in seguito, far nascere la leggenda del "matrimonio di s. Giuseppe".


Nella Vita e nella bolla pontificia si legge che Cunegonda fu oggetto di una grande calunnia di infedelta coniugale ed Enrico, per provarne l’innocenza, volle sottoporla alla prova del fuoco. Cunegonda accetto tale prova e, a piedi nudi, passo indenne sopra vomeri infuocati. L’imperatore chiese perdono alla sposa per aver troppo creduto agli accusatori e da quel momento visse in stima e piena fiducia nella virtu della sposa. Non sappiamo quanta validita storica abbia questo episodio.


Gli avvenimenti piu importanti della vita di Cunegonda sono i seguenti: a Paderborn nel 1002 (10 agosto) fu incoronata regina; nel 1014 si reco a Roma ove ricevette, assieme al marito, la corona imperiale da papa Benedetto VIII (14 febbraio). La vita dell’imperatrice fu un mirabile esempio di virtu: carita, umilta, mortificazione la caratterizzarono in molteplici manifestazioni. Svolse una mirabile attivita costruttrice, assecondata dallo stesso imperatore. Fra le sue realizzazioni vanno segnalate l’erezione del duomo di Bamberga (1007) e del monastero di Kaufungen (1021), fondato in seguito ad un voto fatto durante una gravissima malattia da cui era uscita pienamente ristabilita. Proprio in questo monastero benedettino ella volle ritirarsi dopo la dolorosa perdita del marito (1025). Nel giorno anniversario della morte di Enrico fece radunare molti vescovi per la dedicazione della chiesa di Kaufungen, alla quale dono una reliquia della Croce. Dopo la lettura del Vangelo, Cunegonda si spoglio delle insegne e degli abiti imperiali, si fece tagliare i capelli e si vesti di rozzo saio. Il suo patrimonio servi (come aveva gia fatto in precedenza) a fabbri care monasteri, a decorare chiese, a sostentare i poveri. Nella vita monastica visse dimentica della passata dignita, in completa umilta. Passava gran parte della giornata in orazione o nella lettura dei sacri testi; non disdegnava nemmeno i lavori manuali o i piu umili servizi. Un ufficio che gradi sommamente fu la visita alle ammalate per confortarle e assisterle. Si distinse anche per le severe pratiche di penitenza: prendeva il cibo indispensabile per vivere, rifiutando quello che poteva solleticare in qualche maniera il gusto. Condusse questa vita per molti anni.


Sull’anno di morte non c’e concordanza: generalmente viene preferito il 1033, anziche il 1039, mentre nessuna discussione si riscontra sul giorno e sul mese: 3 marzo. Cunegonda fu sepolta presso il marito nella cattedrale di Bamberga. Nei primi anni non fu oggetto di grande culto, ma nel sec. XII la venerazione crebbe grandemente superando quella data in precedenza ad Enrico. La causa di canonizzazione fu iniziata sotto Celestino III ma solo Innocenzo III, con bolla del 29 marzo 1200, ne approvo il culto. Nella diocesi di Bamberga nel sec. XV c’erano ben quattro solenni celebrazioni: il 3 e il 29 marzo (canonizzazione), il 9 settembre (traslazione delle reliquie), il 1o agosto (commemorazione del primo miracolo). Oggi nell’arcidiocesi di Bamberga si celebra il 3 marzo e il 9 settembre, ma la memoria della canonizzazione ricorre il 3 aprile.


Autore: Gian Domenico Gordini





CUNEGUNDES



Also known as


Cunnegunda; Kinga; Kunegunda


Memorial


3 March


Profile


Daughter of Sigfrid, Count of Luxemburg. Received a religious education, and took a private vow of virginity. Married Saint Henry, Duke of Bavaria, who agreed to honour her vow. On the death of Emperor Otho III, Henry was chosen King of the Romans, and Cunegundes was crowned queen at Paderborn in 1002. Holy Roman Empress in 1014, receiving the crown from Pope Benedict VIII.



At one point, gossips accused her of adultery, but she proved her innocence by asking for God’s help, then walking over pieces of flaming irons without injury.



During his time as emperor, Henry gave away the bulk of his wealth in charity; when he died in 1024, Cunegundes was left relatively poor. On the 1025 anniversary of his death, which coincided with the dedication of a monastery she had built for Benedictine nuns at Kaffungen, Cunegundes took the veil, and entered that monastery, spending her remaining 15 years praying, reading, and working beside her sisters.


Died


1040; buried at Bamberg, Bavaria near Saint Henry


Patronage


Lithuania, Luxembourg, Polan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444 프란치스칸 성인 2월28일[이콘]성녀 헤드비가 황녀♬Christus Factus Est 안젤라 2010-02-24 3556
443 프란치스칸 성인 2월28일 피렌체의 복녀 안토니아(3회)♬Brother Sun and Sister Moon 안젤라 2010-02-24 18645
442 프란치스칸 성인 사순제2주일 주님의 거룩한 변모(축일:8월6일)/감각과 초월 안젤라 2010-02-25 8623
441 프란치스칸 성인 3월1일 성 알비노 주교 축일♬salve regina - monastic chants 안젤라 2010-02-28 6120
440 프란치스칸 성인 3월1일 웨일스의 성 다윗(드위) 주교♬한 많은 슬픔에 안젤라 2010-02-28 4530
439 프란치스칸 성인 3월2일(1월25일) 복자 하인리히 소이에(수소)♬Christus factus est 안젤라 2010-02-28 21360
438 프란치스칸 성인 3월2일 프라하의 성녀 아네스 동정(2회)♬Jesu,joy of mans desiring 안젤라 2010-02-28 6889
» 프란치스칸 성인 3월3일 성녀 쿠네군다 황후 동정(3회)♬Fratello Sole e Sorella Luna 안젤라 2010-02-28 5168
436 프란치스칸 성인 3월4일 성 가시미로♬Ave Maria-Gregorian Chant 안젤라 2010-03-04 6260
435 프란치스칸 성인 3월5일 십자가의 성 요한 요셉수도자♬십자가 지고 가시는 안젤라 2010-03-04 4159
434 프란치스칸 성인 3월6일 성 크로데강 주교♬Christus Factus Est Pro Nobis 안젤라 2010-03-04 5571
433 프란치스칸 성인 3월7일 성녀 페르페투아와 성녀 펠리치타스 순교자♬Christus Factus Est Pro Nobis 안젤라 2010-03-04 5430
432 프란치스칸 성인 3월8일 천주의 성 요한 수도자♬AME DU CHRIST 안젤라 2010-03-04 6201
431 프란치스칸 성인 3월9일 로마의 성녀 프란치스카(프란체스카 로마나)♬평화의 기도 안젤라 2010-03-09 17479
430 프란치스칸 성인 3월9일(5월6일)성 도미니코 사비오♬Be Still My Soul 안젤라 2010-03-09 7071
429 프란치스칸 성인 3월9일 니사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Canto Gregoriano-Kyrie XI A 안젤라 2010-03-09 5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