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1월2일


성 대 바실리오와 나지안즈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


Saints Basil the Great and Gregory Nazianzen


 


바실리오는 330년 카파도치아 지방체사레아의 그리스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학문과 덕행에서 특출했던 그는 은둔 생활을 시작했고 370년 체사레아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아리우스 이단들과 투쟁했다.


훌륭한 저서들 특히 수도 규칙을 썼는데 오늘날까지 동방 교회의 많은 수도자들이 이수도 규칙을 따르고 있다.


가난한 이들을 돕는 데 뛰어났다.379년 1월1일 세상을 떠났다.


 


그레고리오는 같은 해인 330년 나지안즈 근처에서 태어났다. 학문을 습득하고자 여러 곳을 여행했다.


자기 동료인 바실리오를 따라 은둔 생활을 하다가 사제와 주교로 서품되었다.


381년 콘스탄티노풀리스의 주교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교구에서 발생한 분열 때문에 고향인 나지안즈로 돌아가


그곳에서 389년 또는 390년 1월 25일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웅변에 탁월하여 신학자(theologus)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나지안즈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의 강론에서


(Oratio 43, in laudem basilii Magni, 15.16-17, 19-21: PG 36,514-523)


 


우리는 두 육신 안에 하나의 영혼을 가진 것 같습니다.


 


우리는 마치 강의 지류처럼 같은 조국의 샘으로부터 학문을 추구하고자 서로 다른 행로로 떠나갔으나,


흡사 둘이서 약속이나 한 듯 하느님의 안배에 따라 아테네가 우리 두 사람을 상봉케 해주었습니다.


 


거기에 있는 동안 나는 나의 친구인 우대한 바실리오의 무게 있는 행동과


말하는 데 있어서의 슬기와 완숙함을 보고 그에 대해 깊은 존경심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이뿐 아니라 그를 모르고 있던 다른 이들에게도 나와 같은 생각을 갖도록 권고해 주었습니다.


실은 많은 이들이 그에 대한 명성을 이미 들어 존경하고 있었습니다.


 


이 결과로 아테네에 처음 유학 오는 학생들이 보통 인정 받지 못하는 처지와는 달리


바실리오만은 이러한 통례를 넘어 특별한 영예를 얻었습니다.


이것이 우리 우정의 서곡이고 상호간의 친밀성을 불붙여 준 계기였습니다.


이렇게 하여 우리 두 사람은 상호간의 사랑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우리는 서로의 친애감을 고백했습니다.


우리 두 사람 다 같은 지혜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을때 우리는 각자가 서로에게 모든 것이 되어,


같은 지붕 아래서 살게 되고, 식탁을 함께 하며, 마음까지 함께 하였습니다.


우리둘의 눈은 한 목적에 고정되고 우리의 친애감은 더욱더 깊어져 힘차게 자라났습니다.


 


우리 둘 다 학문을 추구하고자 하는 같은 소망으로 이끌려지고 있었습니다.


이런것은 대개 학생들간에 질투심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지만


우리 사이에는 질투심이 결코 없었고 경쟁을 좋은 것으로 여겼습니다.


 


그런데 이 경쟁은 누가 일등을 차지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상대방에게 그 자리를 양보할 수 있느냐 하는 경쟁이었습니다.


우리 각자는 상대방의 영광을 자신의 영광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두 육신 안에 하나의 영혼을 갖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모든 것이 모든 것 안에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말을 믿으면 안되지만


우리는 각자가 서로 안에 있고 또 서로가 함께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우리 두 사람의 유일한 과업과 갈망은 덕을 쌓고 미래 지향적인 삶을 살아가며


현세의 삶을 떠나기 전에도 여기를 떠나간 사람처럼 행동하는 것이였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목적하는 이상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생활과 행동을 하느님의 가르침의 지도에 따라 이끌어 나가면서


동시에 덕행에 대한 사랑을 서로 분발시켜 주는 것이었습니다.


이 말이 좀 지나치다고 볼지 모르겠지만 우리 자신은 서로에게 있어 선악을 식별하는 규범과 척도였습니다.


 


자기 조상들로부터 이어받은 귀족 칭호들을 갖고 있는 이들도 있고


자신의 노력과 행위로 얻은 칭호들을 갖고 있는 이들도 있지만,


우리에겐 그리스도인이라는 것과 그리스도인이라는 칭호를 갖고 있는 것을 큰 영광으로 생각했습니다.  


(가톨릭홈에서)


 



 



 


[이콘]대 바실리오(Basilios der Grosse). 중앙러시아.


1600년경.122 x 52cm.화면이 움푹 들어감.


 


이 성화는 희랍교회에서 흔리 볼 수 있는 성단 장식용 벽화의 한 부분이었다.


러시아의 성상화에 있어서 소위 이코노스타세 (Ikonostase) 라고 불리우는 제단과 신자들 사이를


구분 짓는 이 성단 장식용 벽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벽화는 정통교회 계통이 어떤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러시아 내에서는 엄격한 규율에 따라 제작되었다.


 


이미 동시대에 살던 사람들로부터 "대 바실리오"라고 불리우던 이 성자는


329년 세사레아 (Caesarea)에서 사는 지체높은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그는 356년에 세례를 받은 후 수많은 사원들을 순방하였고 금욕적인 생활을 했다.


 


그는 나지안즈 (Nazianz)에서 온 그레고리 (Gregorios) 와 함께 한 사원을 세웠다.


370년에는 세사레아의 대주교가 되었으며 카파도키엔 (Kappadokien) 의 총주교로 임명되었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부인한 아리우스교파 (Arianismus)의 교도들과 싸웠다.


 


이 성장은 대 바실리오의 전신상으로서 십자가 무늬를 한 주교복을 착용하고 있는데


그의 어깨 위에는 오모포리온 (Omophorion) 이 걸쳐있다.


그는 손에 화려하게 장정(裝幀)된 복음서를 들고 있으며 수염이 덥수룩한 얼굴을 왼쪽으로 약간 숙이고 서있다


아름다고 부드러운 색조를 띤 작품이다.


(유럽聖畵(ICON)集에서)


 



 


성 대 바실리오 주교 학자


St. Basilius


St. BASIL the Great


San Basilio Magno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329 at Caesarea, Asia Minor (modern Turkey)


- 14 June 379 of natural causes


Name Meaning: kingly


Patronage:Cappadocia, hospital administrators, reformers, Russia


 



 


바실리오 라틴어  Basilius  


Basilius(330?-379). 성인. 축일은 1월 2일. 주교. 교회학자. ‘대(大)바실리오’로 잘 알려져 있다. 소아시아 카파도치아(Cappadocia)의 체사레아(Caesarea)에서 태어났다. 양친, 부계(父系)의 조부모, 두 형제, 누이도 모두 성인, 성녀이다. 그는 카파도치아 3교부의 한 사람이다. 누이 마크리나(Macrina)는 신앙심이 깊어, 그와 동생인 뉴사의 그레고리오에게 좋은 감화를 주었다. 카이사리아, 콘스탄티노플, 아테네에서 당시 최고의 교육을 받아 이교적 교양과 그리스도적 교양을 함께 터득하였다. 고향에 돌아가 수사학을 가르치고 있다가 누이의 권유로 수도생활에 들어가, 시리아, 이집트, 팔레스티나를 편력, 후에 358년 체사레아 부근의 이리스 강변에 은수자(隱修者)로 정주하였다. 이곳에서 나치안츠의 그레고리오와 구교(舊交)를 두텁게 하면서 함께 선교에 종사하였다. 그는 아테네 시대의 학우(學友)인 로마황제 율리아누스의 궁정으로의 초빙을 거절했으나, 당시의 교회정세가 그에게 조용한 생활을 허락치 않아, 체사레아의 주교 에우세비오의 요청에 따라 아리우스파의 황제 발젠스에 대해 정통신앙 옹호를 위해 체사레아로 갔다. 수년 후 370년 에우세비오의 후계자로 주교가 되어 그 직위로 생애를 마쳤다. 체사레아에서 교회분쟁의 와중에 뛰어든 그는 에우노미오스가 거느리는 극단적 아리우스파, 성령의 신성(神性)을 부정하는 멜레시오(Meletius)를 안티오키아의 감독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한 로마의 감독 다마소(Damasus) 1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아타나시오 등과 혹은 격렬히 논쟁하고, 혹은 일치를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박학하고 웅변·정치적 수완이 뛰어났으며, 인격도 고결하였다. 성격은 섬세하면서도 전투적이었으며, 비범한 조직력을 갖추고 있어 동방의 수도원 조직형성에 크게 공헌하였다. 체사레아 교회에 건설한 성당, 병원, 빈민보호시설 등 건물은 치밀한 계획하에 운영되었다.


 


저서 중에서 중요한 것은 서한집과 ≪성령론≫(De Spiritu Sancto), ≪에우노미스 반박론≫(Adversus Eunomium, 3권), 나치안츠의 그레고리오와의 협력에 의한 오리제네스(Origenes) 저작으로부터의 발췌 ≪Philocalia≫ 등이다. 교리면에서는 반(半)아리우스주의자와 니체아 신경을 화해시키기 위해 힘쓰고, 그들이 말하는 호모이우시오스(Homoiousios)란 말은 니체아 신경의 호모우시오스(Homoousios)와 같은 뜻을 지녔다고 역설하였다. 그가 서거한 2년 후에 열린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년)에서 아리우스 논쟁이 사실상 종료된 것은 그의 공적으로 돌려도 될 것이다. 그는 아폴리나리오(Apolinarius)와 서신교환이 있었다는 것, 저작 속에서 그리스도의 인격에 대해 양성(兩性)의 구별보다는 일치를 강조한 것 때문에 일부 지역으로부터 아폴리나리오설을 신봉한다는 혐의를 받았다.



바실리오회칙 會則  영어  The Rule of St. Basil  


성 바실리오(St. Basilius)가 폰투스(Pontus)에 있는 자기가 세운 수도원에서 사용하기 위해 쓴 수도계율로, 문답체(問答體)로 되어 있다. 이것은 55조(條)로 된 ‘대계율’(大戒律)과 313조로 된 ‘소계율’로 이루어져 있고, 주로 덕(德)과 악덕을 논하고, 수도정신, 순종, 청빈, 세속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계율은 법규적(法規的)인 것이 아니고, 바실리오 수도원에서 현재 영위하고 있는 생활양식을 보충하는 것이며, 수도생활의 구체적 조직의 여러 문제에는 언급하지 않고, 수도자의 영적(靈的) 도야에 대한 이상(理想)의 확립이 주안점(主眼點)이다. 계율의 텍스트에는 성서의 말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계율은 동방(東方)의 수도생활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면서 그리스, 트라키아, 시리아, 팔레스티나, 남이탈리아에 유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동방교회에서의 계율 중의 주류(主流)가 되고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바실리오는 부유하고 이름있는 크리스챤 가정의 출신으로, 교회의 역사상 가장 뛰어난 가문 중의 하나이다.


그의 할머니는 마끄리나(맏이),그의 부친은 바실리오(맏이),그의 모친은 에멜리아,그의 큰 누이는 마끄리나,


그리고 두 동생은 나싸의 그레고리오(축일:3월9일)와 세바스테아의 베드로인데,


모두가 성인품에 오른 분들이다.


그는 체사레아, 콘스탄티노블 그리고 아테네의 학교에서 교육받았으며,


이곳에서 나지안제의 성 그레고리오와 깊은 우정을 맺었다.


 


카파도치아의 세 광채:


성 대 바실리오, 니사의 성 그레고리오(축일:3월9일) 및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357년경에, 그는 동방의 주요 수도원들을 방문하였으며,


그 후부터 폰투스의 이리스 강 지역의 안네시에서 은수자로서 정착하였다.


바실리오는 불과 5년 동안을 그의 공동체와 함께 생활했을 뿐인데도,


동방 수도생활의 아버지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는 성 베네딕또와는 달리 법 제정가는 아니었지만, 그의 영향은 정교회 수도생활에 깊은 흔적을 남겼고,


주요한 원리로서 자리잡게 된 것이다.


 


사제로 서품된 후, 성 바실리오는 365년부터 체사레아 교구를 위하여 일했고,


370년에 그곳의 주교로 선임되었다.


그는 또 아리우스파 황제인 발렌스가 정통 크리스챤들을 박해할 때 용감히 맞서 싸웠고,


이 때문에 그는 지방 총독 앞에 끌려가서 자신을 변명해야 하였다.


바실리오의 태도가 너무나 당당하였기 때문에 총독은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당신같은 주교는 일찍이 본적이 없다"고 했다는 것이다. 이런 대화를 보더라도,


그의 성품을 짐작할 수 있으며,


그의 강직성 때문에 교황 성 다마소와 서방 교회 간의 관계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성 다마소 1세 교황 축일:12월11일.게시판1518번.


*니사의 성 그레고리오 축일:3월9일,게시판1752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그는 병자와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는데 매우 적극적이었고, 요양원을 짓거나


혹은 대대적으로 진료사업을 펼쳤으며, 설교가로도 명성을 얻었다.


그는 아리우스파와의 투쟁을 계속하면서 동방 정교회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발렌시 황제가 전투에서 사망한 지 불과 한 달만에 체사레아에서 1월1일에 사망하였다.


바실리오는 초대 교회의 큰 거인이었다.


비쟌틴 제국에서 아리우스파를 몰아낸 것이나 콘스탄티노블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를 단죄한 배경에는 바실리오의 영향력이 대단히 컸었음을 증명하고도 남는다.


 


그가 폰투스에서 제정한 규칙과 조직이 동방 수도생활의 기초가 되었고, 현재까지도 그 전통이 이어져 온다.


또한 바실리오는 성직 매매를 완강히 거절하였으며, 가뭄과 한발의 희생자를 대대적으로 원조하였으며,


보다 훌륭한 성직자 양성을 도모하였고,


엄격한 성직자 법규를 주장하고, 과감하게 악습을 끊어버리면서,


카파도치아에서 만연된 매춘행위 관계자들을 파문하였다.


 


그는 유식하고 정치력도 있는 사람이면서도, 성덕이 뛰어났으며,


그리스도교회의 가장 위대한 설교가 중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그의 박학한 저서들과 4백 여 통의 편지들은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성령에 관한 저서와 에우노미우스를 반박하는 세 권의 저서 그리고


그레고리오 나지안젠과 함께 편집한 필로깔리아가 그중에서도 유명하다.


그는 교회의 박사이며 동방 수도자의 아버지로 큰 공경을 받는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4세기에 이르러 그렇게도 오랫동안 계속 되어오던 로마 제국의 그리스도교 박해가 완전히 끝나고


외환을 모면하게 된 교회는 겨우 내부의 정리시대로 들어가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밝히는 동시에 이단사상을 배격하며 내우(內憂)를 없애려고 노력했는데,


이때에 하느님께서는 신자들 중에서 특별히 학식이 풍부하고


위대한 인물을 많이 나게 하셨다. 이러한 사람들은 교부(敎父)라고 칭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분들 중의 한 분은 성 바실리오 대주교이다.


 


그는 330년 소아시아의 카파도치아주의 수도 체사레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실로 복을 받은 사람들로 교회의 역사상 가장 뛰어난 가문 중의 하나이다.


아버지 바실리오와 어머니 에밀리아도 성인이고, 조부는 순교자,


조모 마크리나는 신앙으로 인해 추방된 성녀, 누님 마크리나도 성녀이고,


두 동생 즉 니사의 주교 그레고리오와 세바스테아의 주교 베드로 성인,


이러한 식으로 마치 성인, 성녀만으로 이루어진 가정과 같았다,


그러한 가정의 한 사람이었으므로 바실리오도 어려서부터 선량한 감화를 받고 경건하게 자랐는데,


수사학(修辭學)을 가르치던 아버지에게서는 주로 일반학문을 배웠고,


종교의 지식은 거의 조모 마크리나에게 배웠다.


이 성스로운 조모의 훌륭한 모범과 교훈은 그의 어린 마음에 깊은 인상을 심어 주어


그 후 일생 동안 잊은 때가 없었다고 한다.



 


Saint Basil with Scenes from His Life.


16c.Moscow school.Tempera on wood panel.42.6x32.5cm


 


바실리오는 고향의 학교를 졸업한 후 수도 콘스탄티노플에 올라가


유명한 학자 리바니오에게 수사학 등을 배우고


다시 그당시 학문의 서울이라 불리우던 그리스의 수도 아테네에 유학했다.


후에 나지안조의 주교 성 그레고리오를 알게되어 친분을 맺고 서로 격려하며


학문을 배우려는 학생들이 다투어 가며 그의 산하에 모여들게 되어


그의 명성은 삽시간에 부근 일대에 퍼졌다. 그런데 누님인 마크리나는


바실리오가 현세의 명예 같은 것에 빠져 인생의 참된 목적을 망각하지나 않을까 염려하고


자신이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하기전에 그에게도 수도자가 될 것을 열심히 권유했기 때문에


바실리오는 그 지성에 감동되어 아직 받지 않았던 세례도 받고 또, 수도연구를 위해


이집트의 데바이스 광야로 운수자들을 방문하고 그들의 지도를 따르면서 같이 성스러운 생활을 했다.


 


이런 귀중한 체험에 의해 수도의 신성함을 깨달은 바실리오는 돌아가서


고국에도 은수자의 생활을 소개, 장려해 보려고 하던 차에 의외로 그의 부재중에,


어머니와 누님이 여자 수도원을 세우고 부인들을 모아 기도와 고행의 생활을 시작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바실리오도 그 수도원과 개울 하나 사이에 둔 곳에 남자 수도원을 세워


이곳 저곳에 살고 있던 은수자들을 모으고 재산은 빈민에게 희사하고


예전에 데바이스의 수사들에게 배운 수도 생활을 하기로 하고 형제들을 위해


영적 지도서를 쓰기도 하고 회칙을 편찬하기도 했다.


이 모임은 지금도 그리스 교회에 유명한 바실리오 수도원의 시초이며,


그들의 목적하는 바는 자신의 수덕 외에 다른 사람들의 영혼 구원을 도모하는데 있었고,


그 수단으로서 수도원 부속학교를 설치해 아동 교육을 담당하고 병원 등을 열어 사회사업에 공헌했던 것이다.


 


당시의 체사레아 대주교 디아네오는 아리우스파로 기울어 졌다고 소문이 난 자로


평생 바실리오하고는 교제도 안했었는데, 임종시에는 그를 초대해


니체아 신경에 의한 가톨릭 신앙을 선언하고,  바실리오의 깊은 위로 중에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그의 후계자 에우세비오는 그를 사제로 서품하고 체사레아에 머물게 하도록 했으나,


바실리오의 수도 생활에 대한 동경은 억제할 수 없어 사퇴하고 본 수도원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바렌스 황제가 아리우스파의 이단에 기울어져 가톨릭의 세력을 말살시키려고


체사레아에 자기 파의 주교를 임명했다는 소식을 듣자 바실리오는 그냥 있을 수 없어다시 그곳으로 가서


붓과 혀로 그리스도료를 옹호 했으므로 도시(都市)의 신자들도 이단에 빠지지 않고 무사했다.


바실리오가 시민을 위해 진력한 것은 그것 뿐이 아니다.


이듬해 대흉년이 들었을 때에 가난한 자의 구제에도 눈물겨운 활동을 했다.


그리하여 그가 체사레아 시의 사람들에게 아버지와 같이 존경을 받고 370년


그 곳의 대주교의 서거 후 일반 교우에게서 그 후임이 되어 주기를 열망 받은 것도 결코 신기한 일이 아니다.


 


그가 맡은 대교구는 50개의 교구를 포함한 극히 광범위한 교구로서 이를 다스리는 대주교의 임무도


따라서 매우 중했지만 고결한 인격과 학식이 높은 바실리오가


그 직에 오른 것을 보고서 바렌스 황제는 어떻게든지 인망이 높은 그를 아리우스파에 끌어 들이려고


총독 모데스토로 하여금 그에게 권고케 했다.  


그러나 그러한 유혹에 걸려 진리를 떠날 바실리오가 아니었다.


한마디에 거절당한 총독은 "그렇다면 어쩔 수 없이 재산의 몰수나, 매질이나, 귀양이나, 사형이나


그중의 하나는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고 위협했지만,


대주교는 조금도 안색을 변하지 않고 "그러한 것이라면 추호도 무서울 것 없습니다.


나는 수도자이므로 몰수당할만한 재산도 없고, 고행에 익숙되었기 때문에


매질도 그다지 어려울 것없고 참된 고향은 천국 외에 없으므로 어디로 귀양 보내도 별 문제점이 없고


사형에 처한다면 즉각 천국에 갈 수있으므로 도리어 그것을 원하는 바입니다.."라고 태연히 대답했다.


이에 총독 역시 어쩔 줄을 몰라 "바실리오의 신앙의 견고함에는 어떻게 할 수 없습니다"라고


보고했으므로 황제도 그 용기와 인내에 감탄하고 친히 그를 만나 벌을 주기는 커녕


그의 자선 사업의 보조로 체사레아 부근의 별장지까지 하사했다.


그래서 바실리오는 곧 그땅에 벼원, 고아원, 양로원 등을 세워 한층 더 자선 사업에 노력했다.


이곳은 그 후 큰 읍내처럼 되어 사람들에게 바실리아스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아리우스파 교도들은 이를 못마땅히 생각한 나머지 자꾸 황제에게 그에 대해 무고했으므로


드디어 황제도 이에 기울어져 그를 유배에 처하려고 그 영장에 서명하려 하자 세번이나 펜이 부러지고


게다가 그 밤부터 황태자가 갑자기 몹시 앓아 위독하게 되었다.


황후는 마음이 불안해져 "이것은 죄도 없는 바실리오를 귀양보낸 천벌이 아니고 무었입니까?"


라고 부르짖어, 그를 귀양가는 도중에서 다시 불러들여


태자를 위해 기도를 청했던 바 그처럼 위독하던 병도 깨끗하게 씻은듯이 완치되었으므로


황제도 결국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그를 귀양에서 면하게 해 주었다.


 


바실리오는 호교에, 사목(司牧)에, 저작에 눈부신 활약을 했는데


무엇보다도 가난한 이들의 구제를 낙으로 삼고


말년에는 당신 거처를 바실리아스라 칭하는 자선소 내에 두기에 이르렀다.


그는 이처럼 많은 사목을 하던 중에 병을 얻어 1379년 1월 1일, 60세를 일기로 고요히 잠들었다.


(대구대교구홈에서)


 



 


 



 


Saint Gregoire de Nazianze 15c (Icons De Tver에서)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


St. GREGORY Nazianzen


San Gregorio Nazianzeno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St. Gregory of Nazianzus, Bishop and Theologian
Nazianzo, attuale Nemisi in Turchia, 330 – 25 gennaio 389/390
Born: 330 at Arianzus, Cappadocia, Asia Minor
Died: 25 January 390


 


나치안츠의 성그레고리오(G. Nazianzenus, 329?~389/90). ‘카파도치아 3교부’의 한 사람. ‘크리스천 데모스테네스’로 불린 웅변적 설교가. 동방교회 4대학자의 한사람(다른 세 사람은 아나스타시오, 크리소스토모, 치릴로). ‘신학자’로 호칭된 정통파 교부. 부친도 같은 이름으로 카파도치아 나치안츠의 주교였다. 그는 카파도치아의 카이자리아, 팔레스티나의 카이자리아 알렉산드리아, 아테네 등지에서 면학(356/357년), 아테네 시절의 학우로 대(大)바실리오, 배교자 율리아누스 황제(355년)가 있었다. 귀향 후에 수도사가 되고 싶었으나 부친의 교회에 장로로 취임하게 되었다(362년). 이것이 싫어서 도망했다가 돌아와 ≪도피의 변명서≫를 썼다.
바실리오에 의해 사시마(Sasima)의 주교로 추대되었으나(372/73년), 사양하였고 부친이 죽은(374년) 뒤 나치안츠의 주교직을 계승했으나 이것도 곧 그만두고 은수(隱修)생활에 들어갔다. 아리우스파(派)인 발렌스 황제(재위 : 364~378)의 사후, 아리우스파의 아성인 콘스탄티노플로부터 압박당하고 있던 니체아 소수파의 강력한 요망에 따라 수도로 갔다(379년). 그의 웅변은 데오도시우스 1세의 공동신앙 신봉령(380년)과 아울러 마침내 정통파 신앙을 승리로 이끌었다.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년)에서 정식으로 주교에 취임했으나 반대에 부딪쳐 사임하고, 네크타리오스(Nektarios)가 그 자리를 계승하였다.
그레고리오는 귀향 후 은수생활을 하면서(384년) 니체아 신앙의 완성을 위해 진력하였다. 그는 일세를 풍미한 웅변가이긴 했으나 바실리오와는 달리, 교회정치가는 아니었다. 은수사적인 경건함과 시적인 휴머니즘에 넘치는 신학자로서 성서와 전승(傳承)에 철저히 입각하였다. 신관(神觀)에 있어서는 삼위일체론의 완성에 공헌하였다.
‘아버지는 태어나지 않은 것’, ‘자식은 태어난 것’, ‘성령은 발생된 것’이라는 3자의 규정은 오늘날에도 답습되고 있다. 특히 성령의 규정과 그 신성 증시(神性證示)에 공헌하였다. 그리스도론에 있어서는 아폴리나리오스(Apollinarios)가 그리스도의 안에서의 인간 이성 또는 영혼의 존재를 부정한 데 반대하여,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人性, 영혼체)을 주장하였으며, ‘하나의 인격에 있어서의 신성(神性)과 인성의 결합’을 강조하여 칼체돈 그리스도론의 선구(先驅)가 되었다.
저작에는 45편의 강연, 설교집(아리우스파 · 마케도니오스파 · 에우노미오스파를 반박한 것, 니체아 신앙을 옹호한 것), 244통의 서한, 약 400편의 시집이 남아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나지안젠의 주교로 45년 간 봉직했던 성 그레고리오 나지안젠(맏이.축일:1월1일)과


성녀 논나(축일:8월5일)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카파도치아의 나지안젠이 고향이고, 카파도치아의 체사레아에서 공부하던 중에 성 바실리오를 만났고,


그 후 팔레스티나의 체사레아 수사학교를 다녔으며,


아테네에서는 10여 년을 성 바실리오와 미래의 황제 율리안 배교자와 함께 공부하였다.


 


30세 때에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즉시 바실리오와 함께 이리스 강변에서 은수생활을 하다가,


2년 후부터 부친을 도우던 중, 362년에 사제로 서품되고,


372년경에는 사시미의 주교로 임명받았다. 이 교구는 아리안 지역이었으므로 분쟁이 끊이질 않았다.


그러므로 주교로 축성은 되었으나 부임하지는 못하였다.


 


발렌스 황제가 죽고 정통교회에 대한 박해가 수그러들게 될 때, 일단의 주교들이 그를


콘스탄티노블로 초정하여 아리안계 지역에서 정통교회의 활성화를 도모케하였다.


이리하여 그는 아나스따시아 교회에서 설교를 시작하여 수많은 개종자를 얻었다.


이때 그는 아리안계인 막시모와 격렬한 논쟁을 일으켰고,


388년경에는 새로 입교한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그의 가르침을 정통교리에 인정하고


아리안계 지도자를 축출하는 칙서를 발표케 하였다.


이리하여 그는 콘스탄티노블의 총주교가 되었다. 그의 임명은 굉장한 파문을 일으켜


381년에 콘스탄티노블 공의회까지 열려 문제가 심상치 않게 발전하므로


그는 교회 내의 평화를 위하여 주교직을 사임하였다. 그는 엄격한 은수생활을 하다가 고향 땅에서 운명하였다.


그는 정통교회의 수호에 큰 공적을 남겼고, 또 니체아 공의회의 선언문에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박사"로 불린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Porte Saint, Saint Jean Chrysostomo, Saint Basile le Grand(Icons De Tver에서)


 


옛날 소아시아의 동북부에 있는 카파도치아에서는 대단히 많은 순교자와 성인을 배출했다.


그 중에도 4세기에 나온 세 명의 교회 학자, 즉 성 대 바실리오, 니사의 성 그레고리오(축일:3월9일) 및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는 카파도치아의 세 광채라고 불리며 세상에서 유명하다.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는 329년 나지안조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논나이며


그녀 역시 성인품에 오른 경건한 부인이었다.


아버지는 처음에는 신자가 아니었으나 다년간 시장의 중직에 있었던 근엄한 덕망가로서 후에


아내의 인도로 입교해 노후에는 세상의 명예와 지위를 버리고 나지안조의 주교가 되었다.


 


그레고리오는 이러한 부모님의 영향으로 어렸을 때부터 이미 수덕의 생활을 배웠다.


그에게는 누님 한 분과 남동생 하나가 있엇는데, 동생 가이사리오는 후에 정부의 요직에서 일했고


누님 고르고니아는 역시 성인품에 오른 분이다.


 


그레고리오는 소년 시절부터 카파도치아의 가이자리아, 팔레스티나의 가이자리아, 알렉산드리아 그리고


아테네 등 그 당시 학문의 중심지로 유명하던 각 도시에 유학하고


고향 찬구 바실리오와 절친한 사이를 이루어 함께 기거하고 서로 면려(勉勵)하여 도회지(都會地)의


많은 위험한 향락에는 조금도 물들지 않고 열렬한 마음으로 공부와 수덕 생활에 골몰했다.


 


몇년 후 그는 당시의 추억을 "우리는 다만 두 길밖에 알지 못했다.


그것은 학교에 가는 길과 교회에 가는 길이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그들이 얼마나 진실하고 선량한 학생이었는지 알 수 있다.


 


30세에 학문을 마친 그레고리오는 바실리오와 이별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수도원을 꾸미고 그곳에서


공부와 수덕 생활에 골몰하려고 했으나 일을 시작하기도 전에 바실리오가 은둔 생활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그를 따라 함께 은둔 생활을 했다.


 


한편 주교직에 있기는 하지만 깊은 신학 연구도 없었던 그의 아버지는 갑자기 아리우스파의 이단에 미혹되어'


나지안조의 신자들에게 악표양이 될만할 일까지 하게 되엇다.


이것으로 그들 사이에 큰소란이 일어나 그레고리오는 급히 달려가서 이들을 진정시켜 겨우 무사할 수 있었다.


 


아버지는 그를 떠나 보래려고 하지 않고 신자들도 또한 머물러 있기를 간청해 그레고리오는 할 수 없이


성품 성사를 받고 사제가 되었으나  그 직책의 중대함과 사진의 부당함을 느낀 나머지 마음이 불안하여


남몰래 친구인 바실리오에게로 떠났다.


그러나 그 이후에 바실리오의 권고로 다시 돌아와 아버지를 도와 열심히 성무에 임했다.


 


바실리오는 가이자리아의 대주교가 된 후 그레고리오를 주교로 삼아


사시마 신 교구를 위탁하려는 생각이 있었으나 그레고리오는 나지안조시에 머무르며


아버지의 보좌역을 했고 374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주교대리로서 나지안조 교구를 다스렸다.


 


379년 아리우스파를 보호하고 있던 바렌스 황제가 세상을 떠난 후 왕위에 오른 사람은


열심한 가톨릭 신자 테오도시오였다


그래서 이전에 아리우스파의 압박에 시달리던 콘스탄티노플 교회 신자들은 지금이야말로


교회 부흥 시기라 생각하고 교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그레고리오를 초빙했고,


그는 그곳에 가서 박학과 웅변으로 이단에 빠진 사람들을 무수히 개종시켰다.


테오도시오 황제는 아리우스파에게 빼앗겼던 하기아 소피아 성당을 그에게 반환하도록 했으며,


그는 시에서 열린 주교회의의 결과로 그곳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하기아(아야) 소피아 성당:성녀 소피아 축일:9월30일.게시판1395번


 


많은 사람들은 이를 듣고 진심으로 기뻐하며 축하했지만 그중에는 반대하는 자들도 있었기에


그레고리오는 교회의 평화를 위해 은퇴할 결심을 하고 요나가 말한


 ’이 재난이 나 때문에 일어났으면 나를 버려라" 하는 말을 인용해 고별사로 하고 고향 나지안조로 돌아왔다.


부친의 후계자로 아우렐리오를 주교로 추천하고 자신은 본집에 돌아와서 다년간 갈망하던


수도 생활에 골몰하기를 약 10년, 드디어 그곳에서 389년에 고요히 세상을 떠났다.


때는 그의 나이 61세였다.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는 생존 시에 수많은 서적을 저술했으며,


그 중에서 중요한 것은 강론, 시, 서간 등을 한데 모은 것이다.


아리우스의 이단자들은 알아듣기 쉬운 시로써 교리의 보급을 도모했다.


그리하여 그레고리오도 호교의 작시(作詩)에 전력을 기울여 그로써 시문을 좋아하는 청년들을


이단과 타락에서 구한 일도 적지 않았다.  (대구대교구홈에서)


 


 



 


[이콘]세명의 기독교 교육자. 러시아. 19세기. 40.5 x 34cm


   


이 성화에서는 대부분 함께 그려지는 세 명의 기독교 교육자들을 볼 수 있는데


그들을 경배하는 것이 그리스 정교회에서는 하나의 통례로 되어 있다.


세 명의 총주교들은 모두 제복(祭服)을 차려입고 정면을 향해서 나란히 서있다.


그들의 오른손은 축복을 내리며 왼손에는 복음서를 들고 있다.


 


사람들은 세사레아(Casarea)의 주교였던 대 바실리외 (330-379) 학식과 맑은 정신을 숭배한다.


사람들은 콘스탄티노플의 총주교였던 나지안즈(Nazianz)에서 온 그레고리 (Gregorios)의


빛나는 웅변술과 그의 비상한 어법을 경탄하였다.


사람들은 콘스탄티노플의 신학자이며 총주교였던 요한 크리소스토모스(Johannes Chrysostomos)


(354-407)가 저술한 책의 아치(雅致)를 따를 자가 없다고 생각했다.


세 명의 성자 위에 있는 두 개의 작은 화면에는 그리스도의 초상이 그려진 무명수건(Mandylion)과


포차엡스카야 (Potchajevskaja)의 성모상을 그려 넣었다.


(유럽聖畵(ICON)集에서)


 


 


 



 


♬8.Canto Gregoriano-Kyrie XI A


update 2007.1.1.


 


 


 


 


 


 


 


 


 


 


 


 


 


 


 


 


 


 


 


 


 


 


 


 


 


 


 


 


 


 


 


 


 


 


 


 


GREGORY of Nazianzen


 


Also known as


the Christian Demosthenes; the Theologian


Memorial


2 January


Profile


Son of Saint Gregory of Nazianzen the Elder and Saint Nonna. Brother of Saint Caesar Nazianzen, and Saint Gorgonius. Spent an itinerent youth in search of learning. Friend of and fellow student with Saint Basil the Great. Monk at Basil’s desert monastery.


 


Reluctant priest, feeling himself unworthy, and fearing that the responsibility would test his faith. Assisted his bishop father to prevent an Arian schism in the diocese. He opposed Arianism, and brought its heretical followers back to the fold. Bishop of Caesarea in c.370, which put him in conflict with the Arian emperor Valens. The disputes led his friend Basil the Great, then archbishop, to reassign him to a small, out of the way posting at the edge of the archbishopric.


 


Bishop of Constantinople 381-390 following the death of Valens. He hated the city, despised the violence and slander involved in these disputes, and feared being drawn into politics and corruption, but he worked to bring the Arians back to the faith; for his trouble he was slandered, insulted, beaten up, and a rival "bishop" tried to take over his diocese. Noted preacher on the Trinity. When it seemed that the faith had been restored in the city, Gregory retired to live the rest of his days as a hermit. Wrote theological discourses and poetry, some of it religious, some of it autobiographical. Father of the Church. Doctor of the Church.


 


Born


330 at Arianzus, Cappadocia, Asia Minor


Died


25 January 390


 


Readings


God accepts our desires as though they were of great value. He longs ardently for us to desire and love him. He accepts our petitions for benefits as though we were doing him a favor. His joy in giving is greater than ours in receiving. So let us not be apathetic in our asking, nor set too narrow bounds to our requests; nor ask for frivolous things unworthy of God’s greatness.


 


Saint Gregory Nazianzen


 


 


 


San Gregorio Nazianzeno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2 gennaio - Memoria


Nazianzo, attuale Nemisi in Turchia, 330 ? 25 gennaio 389/390


 


Condivise con l’amico Basilio la formazione culturale e il fervore mistico. Fu eletto patriarca di Costantinopoli nel 381. Temperamento di teologo e uomo di governo, rivelo nelle sue opere oratorie e poetiche l’intelligenza e l’esperienza del Cristo vivente e operante nei santi misteri. (Mess. Rom.)


 


Patronato:Poeti


 


Etimologia: Gregorio = colui che risveglia, dal greco


Emblema: Bastone pastorale


 


Nato come S. Basilio - che gli e unito nel ricordo liturgico - nel 330, S. Gregorio Nazianzeno sopravvisse una decina d’anni all’amico, morto nel 379. Uomo di studio e poeta, per la sua eccellente dottrina ed eloquenza ricevette l’appellativo di "teologo". Celebre e il suo appassionato "Discorso d’addio", pronunciato quando dovette abbandonare Costantinopoli per le mene dei suoi avversari. "Tutto e instabile", egli scrisse nei suoi Poemi morali, "affinche portiamo amore alle cose stabili".


 


 


 


 


 


 


 


 


 


 


BASIL the Great


 


Also known as


Father of Eastern Monasticism


Memorial


2 January


Profile


Nobility by birth. His mother, father, and four of his nine siblings were canonized, including Saint Gregory of Nyssa. Grandson of Saint Macrina the Elder. As a youth he was noted for organizing famine relief, and for working in the kitchens himself, quite unusual for a young noble.


 


Studied in Constantinople and Athens with his friend Saint Gregory Nazianus. Ran a school of oratory and law in Caesarea. He was so successful, so sought after as a speaker, he was tempted by pride. Fearful that it would overtake his piety, he sold all that he had, gave away the money, and became a priest and monk.


 


Founded monasteries and drew up rules for monks living in the desert; he is considered as key to the founding of eastern monastcism as Benedict was to the west. Bishop and Archbishop of Caesarea. Conducted Mass and preached to the crowds twice each day. Fought Arianism. Greek Doctor of the Church. Father of the Church.


Born


329 at Caesarea, Asia Minor (modern Turkey)


Died


14 June 379 of natural causes


Name Meaning


kingly


Patronage


Cappadocia, hospital administrators, reformers, Russia


 


Readings


O sinner, be not discouraged, but have recourse to Mary in all you necessities. Call her to your assistance, for such is the divine Will that she should help in every kind of necessity.


 


Saint Basil the Great


--------------------------------------------------------------------------------


By the command of your only-begotten Son we communicate with the memory of your saints...by whose prayers and supplications have mercy upon us all, and deliver us for the sake of your holy name.


 


Basil: Liturgy of Saint Basil, 373AD


--------------------------------------------------------------------------------


The bread which you use is the bread of the hungry; the garment hanging in your wardrobe is the garment of him who is naked; the shoes you do not wear are the shoes of the one who is barefoot; the acts of charity that you do not perform are so many injustices that you commit.


 


Saint Basil


--------------------------------------------------------------------------------


Let us raise ourselves from our fall and not give up hope as long as we are free from sin. Jesus Christ came into this world to save sinners. ’Come, let us adore and prostrate ourselves and weep before him’ (Psalm 95:6). The Word calls us to repentance, crying out: ’Come to me, all you who labor and are heavily burdened and I will refresh you’ (Matthew 11:28). There is, then, a way to salvation if we are willing to follow it"


 


from a letter of Saint Basil the Great


--------------------------------------------------------------------------------


Envy is a gnawing pain which springs from the success and prosperity of another; and this is the reason why the envious are never exempt from trouble and vexation. If an abundant harvest fills the granaries of a neighbor, if success crowns his efforts, the envious man is chagrined and sad. If one man can boast of prudence, talent, and eloquence; if another is rich, and is very liberal to the poor, if good works are praised by all around, the envious man is shocked and grieved.


 


The envious, however, dare not speak; although envy makes them counterfeit gladness, their hearts are sore within. If you ask him what vexes him, he dare not tell the reason. It is not really the happiness of his friend that annoys him, neither is it his gaiety that makes him sad, nor is he sorry to see his friend prosper; but it is that he is persuaded that the prosperity of others is the cause of his misery.


 


This is what the envious would be forced to acknowledge, if they spoke the truth sincerely; but because they dare not confess so shameful a sin, they, in secret, feed a sore which tortures them and eats away their rest.


 


As the shadow ever accompanies the pedestrian when walking in the sun, so envy throws its shadow on those who are successful in the world.


 


Saint Basil, from "De Individia"


--------------------------------------------------------------------------------


Thy fame has gone forth into all the earth, which has received thy word. Thereby thou hast taught the Faith; thou hast revealed the nature of created things; thou hast made a royal priesthood of the ordered life of men./ Righteous Father Basil intercede with Christ our God that our souls may be saved.


 


troparion of Saint Basil the Great


--------------------------------------------------------------------------------


Thou wast an unshaken foundation of the Church and didst give to all mortals an inviolate lordship which thou didst seal with thy doctrine, O righteous Basil, revealer of the mysteries of heaven.


 


kontakion of Saint Basil the Great


 


 


San Basilio Magno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2 gennaio - Memoria


Cesarea di Cappadocia, attuale Kaysery, Turchia, 330 ? 1 gennaio 379


 


Vescovo della sua citta natale (370), fu una delle figure piu significative della chiesa nel sec. IV: geniale guida dei suoi fedeli, difensore tenace della fede e della liberta della chiesa, instauratore di nuove forme di vita comunitaria, creatore di istituzioni caritative, promotore di liturgia (vedi l’anafora che porta il suo nome) e autore fecondo nel campo ascetico (Le Grandi e Piccole Regole), teologico e omiletico. (Mess. Rom.)


 


Etimologia: Basilio = re, regale, dal greco


Emblema: Bastone pastorale


 


Oggi diremmo che S. Basilio era un "figlio d’arte": la sua famiglia annovera un manipolo di santi: sante furono la nonna Macrina, la madre Emmelia, la sorella Macrina; santi furono i fratelli Pietro, vescovo di Sebaste, e Gregorio, vescovo di Nissa. Fu inoltre intimo amico di un altro santo, Gregorio, vescovo di Nazianzo o Nazianzeno, che gli e unito nel ricordo liturgico, perche partecipo alla sua stessa ansia di santita, ebbe un’analoga formazione culturale e nutri la medesima aspirazione alla vita monastica. S. Basilio e anzi considerato il pioniere della vita cenobitica in Oriente: nel 358 insieme all’amico, in un solitario ritiro presso Neocesarea nel Ponto, redasse due importanti Regole che hanno orientato la vita dei monaci che da lui si chiamarono "basiliani".


Come accadde ad altri illustri personaggi, pote godere ben poco tempo della solitudine e del silenzio, cosi cari al suo cuore. Ordinato sacerdote e poi chiamato a reggere la diocesi di Cesarea di Cappadocia, dovette impegnarsi nella difesa del dogma cristiano contro l’arianesimo, divenuto potente grazie all’appoggio dell’imperatore Valente; Basilio raccolse cosi l’eredita di S. Atanasio e come lui seppe appoggiarsi all’autorita del pontefice romano per debellare l’errore. Ma non fu il suo impegno dottrinale che gli merito, ancor vivente, l’appellativo di "Magno", cioe "grande". Fu invece la sua intensa attivita pastorale, fatta anche di vibranti omelie e appassionati opuscoli, come la Lettera ai giovani, e di un ricco Epistolario.


Il tema che ricorreva piu spesso e con piu forza era quello della carita, dell’aiuto ai fratelli bisognosi. Rivolgendosi a un ideale interlocutore, cosi dichiarava: "A chi ho fatto torto, tu dici, conservando cio che e mio? Dimmi sinceramente, che cosa ti appartiene? Da chi hai ricevuto cio che hai? Se ciascuno si accontentasse del necessario e donasse ai poveri il superfluo, non vi sarebbero ne ricchi ne poveri". Ne egli si accontentava di parole: alle porte di Cesarea diede vita ad una vera citta della carita con ospizi, rifugi, ospedali, laboratori e scuole artigianali.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556 프란치스칸 성인 12월26일 성스테파노 첫 순교자 안젤라 2009-12-25 15590
555 프란치스칸 성인 12월 27일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안젤라 2009-12-25 9693
554 프란치스칸 성인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안젤라 2009-12-27 4200
553 프란치스칸 성인 12월28일 죄 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안젤라 2009-12-27 4547
552 프란치스칸 성인 12월29일 캔터베리의 성토마스 베케트 주교 순교자 안젤라 2009-12-27 4279
551 프란치스칸 성인 12월30일 성 루제노 주교 안젤라 2009-12-27 5238
550 프란치스칸 성인 12월30일 복녀 마르가리타 콜론나 동정(2회) 안젤라 2009-12-27 4533
549 프란치스칸 성인 12월31일 성녀 멜라니아 안젤라 2009-12-27 7322
548 프란치스칸 성인 12월31일 성 실베스테르 1세 교황 안젤라 2009-12-27 4271
547 프란치스칸 성인 1월1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안젤라 2009-12-27 4888
546 프란치스칸 성인 1월2일 성마카리오(젊은)은수자.1월15일 성마카리오(맏이)은수자 안젤라 2010-01-01 4747
» 프란치스칸 성인 1월2일 성 대 바실리오와 나지안즈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 안젤라 2010-01-01 8090
544 프란치스칸 성인 1월3일 성녀 제노베파 안젤라 2010-01-01 4614
543 프란치스칸 성인 1월3일 예수 성명 축일 안젤라 2010-01-01 5537
542 주님 공현 대축일(1월6일동방박사축일) 안젤라 2010-01-01 8057
541 1월4일 폴리뇨의 복녀 안젤라(3회) 안젤라 2010-01-01 9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