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콘] 세폭 달린 성단 장식 그림(Triptychon). 중앙러시아.17세기.72 x 87cm (열려진 상태)
이 나무로 된 트리티콘 (Triptychon)을 열어 보면 중앙에 성모상이 나타나는데
바로 이런 양식의 성모상은 노프고로드 (Novgorod)도시를 수호하는 성상으로 애호되었으며
경배하는 성모의 직전에는 아기 예수의 모습이 보인다.
성모마리아가 쓰고 있는 보관(寶冠)은 은을 실제로 사용하여 진주와 다른 보석들을 박아 넣어
화려하게 세공하여 그림위에 부착시켰다. (Silberoklad).
이 중앙폭을 이루는 화면의 가장자리에는 왼쪽에 성 프로코피우스 (Prokopius),
그 아래에 잘 알 수 없는 러시아의 한 성자를,
오른쪽에는 모스크바에 살던 기독교의 바보를 자처(自處)한 성 바실리 (Basilius),
그 아래에는 신분을 잘 알 수 없는 러시아의 한 성자를 그려 넣었다.
양파 모양을 한 꼭대기 부분에는 신약 성서의 성 삼위일체로 오른쪽에 성부 왼쪽에 성자 그리스도
그 위에 성신을 상징하는 비둘기를 묘사했다.
왼쪽 날개판 정상부에 동정녀 마리아의 잉태를 알려준 천사장 가브리엘을,
그리고 오른쪽 날개판 정상부에는 마리아가 이 기쁜 소식을 받아들이고 있는 장면이 보인다.
천사장 가브리엘의 아래에 있는 화면에는 그리스도의 지옥 순례를,
그 아래 화면에는 4명의 러시아 성인들, 테오도르(Theodor), 티론(Tiron), 신학자였던 요한(Johannes),
그리고 사도 베드로와 바울을 묘사하고 있다.
오른쪽 날개판의 중앙에는 요단강에서 세례받는 그리스도를,
그 아래에는 역시 4명의 러시아 성인들 : 요한 크리소스토모(Johannes Chrysostomos),
모스크바의 대주교였던 알렉세이(Alexij),
에집트의 마리아와 성녀 마트리오나(Matriona)를 그렸다.
세폭 달린 성단 장식 그림들 중에서 아주 희귀한 이 작품은 보존 상태가 훌륭하다.
이 그림에 부착된 진주와 보석이 박힌 보관(寶冠)은 그림과 동시대에 제작되었다.
(유럽 聖畵(ICON)集 에서)
축일:12월19일
성 아나스타시오 1세
ST. ANASTASIUS I
Sant’ Anastasio I Papa
4th century in Rome, Italy
(Papa dal 27/11/399 al 19/12/401)
Canonized:Pre-Congregation
Anastasio = risorto, dal greco = revived, from the Greek
막시무스의 아들로서, 로마에서 태어난 그는 399년 11월 27일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재위 기간 중의 가장 큰 사건은 오리제네스의 단죄를 꼽을 수 있고,
아프리카 주교들에게 강권을 발휘하여 도나티즘을 반대하도록 한 일이다.
그리고 그는 개인적으로 뛰어난 그의 성덕과 청빈 정신으로 높은 명성을 얻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그의 재위 기간중 일어났던 가장 큰 사건은 오리제네스를 단죄하고,
물질에도 신성이 깃들어 있다고 주장하는 부류들과 격렬하게 대항하며,
아프리카 주교들에게 강권을 발휘하여 도나티즘을 반대하게 한 일이다.
복음 낭독 때는 사제도 서 있어야 하고, 신체적 결함이 있는 사람은 사제가 될 수 없다고 규정하였다.
그는 401년 12월 19일 서거하여 로마에 있는 몬띠 근처 마르티노 성인 성당에 안장되었다.
도나티즘
4세기 카르타고 주교인 도나도의 이단설이다.
참된 교회는 거룩하고 무죄한 교회가 있는 곳에만 있기 때문에
모든 죄인은 교회로 부터 내쫒아야 하고,
죄인이 집행하는 성사는 다 무효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늘 논쟁을 벌여왔다.
(우표로 보는 성인전에서)
*성 아우구스티노 축일:8월28일.게시판1336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 도나투스파 ◆
라틴어 Donatismus
영어 Donatism
도나투스(Donatus, 313~347)에 의해 제창된 북아프리카 교회의 이단사상.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303~305년) 때 교회 안팎에는 많은 배교자가 생겼다.
박해가 멎고 신앙의 자유를 얻게 되었을 때 이 배교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당시 배교한 주교 펠릭스는 체칠리아노(Caecilianus)를 서품한 3인의 주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이것이 말썽이 되어 순교자에 대한 공경과 신앙에 투철한 엄격주의자들인 70명의 주교들은
도나투스의 영향을 받아 카르타고의 주교로서 체칠리아노를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하고
마요리노(Majorinus)를 새 주교로 뽑아 임명하였다.
그러나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체칠리아노에게 호의를 보여
후자의 결정을 몇 차례에 걸친 시노두스를 통해 일축해 버렸다.
이 분쟁은 마요리노 사후 도나투스에 의해 계승되었다.
도나투스는 일종의 엄격주의자, 완벽주의자로 신앙에 대한 열성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나
그의 지나친 완벽주의적 견해는 성사적 의미에 대한 신학적 문제를 야기시켰다.
즉 배교자나 열교(裂敎)인 이단자들에 의한 성사집행은 무효라는 것이다.
성사는 그 집행에 의해 은총이 주어지는 것[성사의 事效性, ex opere operato]이 아니고
집전자의 성성(聖性)과 정통성에 따라 성사의 유효 · 무효가 결정된다
[성사의 人效性, ex opere operantis]는 그의 주장은,
아우구스티노를 비롯한 후대 교부들에 의해 반박되었다.
따라서 이단자가 베푼 세례는 무효이기 때문에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나[이단자 세례논쟁]
교회는 성인(聖人)들만의 교회이어야 한다는 극히 제한적이고 엄격한 교리관은
모두 교회에 의해 반박 단죄되었다.
도나투스파는 5세기부터 영향력을 잃었으며 7세기경에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사효론 事效論
라틴어 ex opere operato
성사(聖事)의 은총은 그리스도의 행위인 성사적 예절에 내재하는 힘에 의하여 주어진다는 이론. 이는 성사의 유효성이 성사 집전자의 성덕(聖德)이나 의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문제이며, 영향을 받는다고 긍정하는 인효론(人效論)에 대립하여 주장되었다.
역사상 이 문제가 처음으로 야기된 것은 256년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 주교였던 치프리아노와 당시의 로마 교황 스테파노와의 대립이다. 아프리카 교회에서는 이단자들로부터 받은 세례를 무효로 보아 그 세례자가 정통교회에 귀의할 때는 재세례를 베풀었으나, 로마 교회에서는 이단자들이 베푼 세례이더라도 정당한 절차와 성삼(聖三)의 이름으로 베푼 성사는 유효하다고 하였다. 아프리카 교회는 반달족의 침입으로 멸망(5세기 초)되어 그 전통이 중단되었고 로마 교회의 입장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 후 312년에 같은 문제가 아프리카의 카르타고 교회에서 도나투스 열교 사건을 통하여 재발되었다. 체칠리아노의 카르타고 주교 서품식을 공동집전한 3명의 주교 가운데 과거에 배교한 적이 있는 펠릭스 주교가 끼어 있었는데, 체칠리아노를 반대하던 엄격주의자들은 그의 서품을 무효라 하면서 도나투스를 주교로 선출하여 이에 대립시킨 사건이 그것이다. 그러나 정통교회는 체칠리아노의 주교 서품을 유효하다고 인정함으로써 성사의 유효성은 집전자의 성덕과 무관함을 보여 주었다. 8세기 이래 성직자들의 생활이 불성실해지자 마침내 프랑스의 알비인과 스위스의 보인 등은 정화운동을 벌이면서 타락한 성직자가 집전한 성사는 은총을 전달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재위 : 1198-1216)는 독성 행위와 성사집전 행위를 구별지으면서 행위자(opus operans)의 행실이 깨끗하지 못할지라도 이행된 행위(opus operatum, 즉 그 자에 의하여 이행된 성사적 행위)는 깨끗하다(De Sacro Altaris Mysterio 3, 6)고 선언하였다.
이러한 구별방법은 13세기 중엽 모세의 예식과 그리스도교의 성사를 서로 구별하여 설명하는데 응용되었다. 즉 모세의 예식은 수령자의 신앙 정도에 따라 인효적으로(ex opere operantis) 은총을 주는 반면, 그리스도교의 성사는 사효적으로(ex opere operato) 수령자에게 은총을 준다고 한 것이다. 종교개혁자들은 성사의 효력이 집전자의 성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트리엔트공의회는 성화의 사효성(事效性)을 재천명하였다(Denz. 1608).
사효론에 의하면 성사의 예절은 집전자의 의도보다 그리스도와 교회가 정해놓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객관적 의도가 성사 집전자를 강요하며 성사의 효력을 나타낸다. 즉 교회가 정해 둔 객관적인 절차와 사물이 구원의 은총을 실제로 전달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성사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행위이기 때문이다. 집전자에게 요구되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성사의 표징을 통하여 전달하고자하는 은총이 전달되도록 교회 공동체 안에서 교회의 예식을 집행하는 일이다.
성사의 유효성에 관한 한 사효론이 성사 신학의 경향을 대표하고 있다. 사효론은 성사 집전자의 개별적인 참여보다 교회의 객관적 조직을 더 중요시한다. 성직자는 교회 공동체를 그리스도께 향하게 하고 그리스도의 구원 선물을 성사를 통하여 신자들에게 전달하는 봉사 직무를 가진다. 그러므로 교회 공동체는 성직자의 의도를 초월한다. 즉 성사를 이루는 것은 교회 공동체이고 성직자는 중개역할만 한다. 이처럼 사효론은 성직자의 존재가 타인을 위한 것이라는 사제 영성(靈性)과도 부합한다. 또 사목상으로도 사효론은 신자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성사의 효력이 성직자의 성덕이나 의도에 의하여 좌우된다면 신자들은 성사받기 전에 성직자의 사상과 사생활을 미리 알아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수령한 성사의 효력도 의심될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가톨릭과 개신교는 성사의 효과면에서 그리스도 안에 역사하시는 하느님의 행위와 성사 수령자가 지니는 신앙의 역할에 대하여 상호 이해를 깊이 하게 되었다. 성사의 사효성을 인정한 트리엔트공의회는 성사가 성사 수령자의 신앙을 증진시키는 점이나 성사 수령자의 신앙이 성사 은총을 받는데 있어서 필요 불가결함을 부정한 적이 없다. 오히려 공의회 교부들은 의화(義化)가 성령의 작용 정도와 이에 대한 인간의 지향 및 협력 정도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명언하였던 것이다.
[참고문헌] P.L. Hanley, Ex opere operato, New Catholic Encyclopedia Vol. 5, McGraw Hill, 1967 / 金慶恒, 聖事의 有效性, 神學展望, 36호, 1977.
인효론 人效論
라틴어 ex opere operantis
성사(聖事)의 유효성과 이에 따른 성사의 은총은 성사 집전자의 성덕(聖德)이나 의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 인효론의 개념에는 이 밖에 성사 수령자의 신앙이 성사 은총을 받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까지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는 달리 성사의 유효성과 은총은 성사 집전자의 의도나 성덕에 좌우되지 않고 그리스도와 교회의 행위인 성사적 예절에 내재하는 힘에 의하여 주어진다는 이론을 사효론(事效論)이라 한다. 가톨릭 교회는 성사의 유효성을 판가름하는데 있어서 사효성(事效性)을 위주로 하나 그렇다고 하여 인효성(人效性)을 무시하지는 않는다. 성직자가 성사를 집전하는데 있어서 교회의 의도에 따라 교회에서 규정한 절차를 어김없이 집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의 성덕과 신앙이 성사 수령자에게 주는 영향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성사 수령자의 의도면에서 볼 때 성사의 은총이 그 효력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그의 신앙 상태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사목의 성패는 성사의 인효성을 발휘하는 데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 오리제네스 ◆ 라틴어 Origenes
Origenes(185?∼254?). 알렉산드리아의 성서학자이며 주석가. 교부. 알렉산드리아에서 출생, 그리스도교 교육을 받았으며 202년의 박해 때 부친을 여의었다. 주교 데메트리우스(Demetrius)와의 충돌로 피신한 교사 글레멘스(Clemens)대신에 알렉산드리아 교리신학파의 지도자로 지명되었고 엄격한 금욕생활을 영위하였다. 종교적 열정에 사로잡혀 마태오 복음서 19장 12절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자신을 불구로 만들었다. 또한 이교철학자와의 호교적 논쟁에 대처하기 위해 신플라톤주의와 이교문학을 공부하였다. 215년에 이어 230년 팔레스티나의 재방문 때 그 곳 주교들에 의해 서품받은 문제로 알렉산드리아에서 추방되어 231년 체사레아(Caesarea)에 정착, 그 곳에 유명한 학파를 형성하였다. 250년 데치우스(Decius)의 박해로 고문받았으며 끝내 사망하였다.
성서주석서로는 ≪핵사플라≫(Hexapla)가 유명하며 그 밖에 그의 성서주석은 구약의 거의 전부와 4복음서들을 망라하고 있다. 신학서는 ≪원리에 대하여≫(De Principiis)가 주목되며 금욕적 저서 ≪순교에의 권고≫와 ≪기도에 대하여≫가 고대에 널리 읽혔다. 마르치온설을 반대한 그의 교리는 완전히 초월적인 일치에 대한 믿음에서 출발하였으나 철학적 사색은 가끔 매우 대담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아직까지 그의 정통성은 가톨릭 교회로부터 다소 의심되고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 오리제네스주의 ◆ 라틴어 Origenismus 영어 Origenism 독일어 Origenismus
넓은 의미에서의 오리제네스주의란 알렉산드리아의 성서학자이자 교부인 오리제네스와 그에게서 사상적인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주장한 학설(學說)을 총칭하는 말이지만 좀 더 엄밀하게 규정하자면 그 가운데서도 특히 논쟁이 재기되었던 영혼선재설(靈魂先在說), 썩을 운명에 있는 육신과 부활할 육신의 분리설, 삼위일체에 관한 종속주의적인 입장만을 가리킨다. 이러한 사상은 알렉산드리아의 글레멘스(Clemens)에게서 영향을 받은 오리제네스가 확립하였으며, 그의 제자인 디오니시오(Dionysius), 테오그노스토스(Theognostos), 디디모(Didymus) 등에 의해 계승되었고, 아나스타시오(Anastasius), 그레고리오(Gregorius Nazianzenus), 바실리오(Basilius)를 비롯한 3∼4세기 신학자들의 사상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리제네스주의에 대한 반론은 3세기말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주교인 페트로스(Petros)와 올림포스의 메토디오스(Methodios) 등이 ‘영혼의 선재’와 “죽을 육신과 부활한 육신이 동일하지 않다”는 오리제네스의 설에 대해 공격하고 나섰고, 이에 대하여 체사레아의 팜필로스(Pamphilos)와 에우세비오(Eusebius)가 반박하면서 논쟁은 불이 붙기 시작하였다. 또한 니체아 공의회(325년)에서 ‘동일실체(同一實體, consubstantiality)에 관한 교리’가 확립되면서 오리제네스가 주장한 삼위일체설이 정통성이 논의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다. 이럴 즈음 에피파니우스(Epiphanius)가 그의 저서 ≪전체이단통박서≫에서 오리제네스를 최대의 이단으로 규정함으로써 이른바 제1차 오리제네스주의 논쟁이 일어났다. 이 논쟁은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테오필로(Theophilus)의 중재에 의해 양자가 화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다가 루피노(Rufinus)가 예로니모(Hieronimus)를 오리제네스주의적 경향을 지닌 인물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재연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400년 알렉산드리아 교회회의가 개최되었고, 이 회의는 오리제네스를 이단이라 선고하였다. 교황 아나스타시오 1세를 비롯한 동방의 많은 주교들이 이 결정에 동의하였고, 오리제네스주의자들이 콘스탄티노플의 요한 크리소스토모에게 망명함으로써 논쟁은 끝났다.
오리제네스주의는 그 후 한동안 자취를 감췄다가 6세기경에 예루살렘 부근의 사바스수도원을 중심으로 다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동로마제국의 여러 지방으로 확산되었다. 이에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 메나스(Menas)를 중심으로 한 반(反)오리제네스파들은 오리제네스주의를 규탄하고 나섰고,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칙령 <메나스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하여 오리제네스주의자들을 탄압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였다. 553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는 반오리제네스파의 주장을 반영하여 디두모스까지 이단으로 선고하였으며, 이에 찬성하지 않았던 아빌라의 알렉산데르(Alexander)를 추방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2차에 걸친 오리제네스주의 논쟁은 막을 내렸지만 오리제네스주의는 막시모(Maximus Confessor)를 비롯한 신학자들에게 계속 남아 있었다.
[참고문헌] K. Holl, Gesammelte Aufsatze, II, s. 310-35 / F. Die Kampf, Die origenistischen Streitigkeiten im sechsten Jahrhundert und das funfte allgemeine Konzil, 1899. (가톨릭대사전에서)
♬Agnus Dei-Angel
ANASTASIUS I
Memorial
19 December; formerly 27 April
Profile
All that is known of his early life is that he was considered pious as a youth, and cared nothing for material things as an adult. Pope Immediately involved in the turmoil resulting from the heretical writings of Origen. Convened a synod to condemn the works. Fought against the heresy of Donatism. Friend of Saint Augustine, Saint Jerome, and Saint Paulinus of Nola.
Born
4th century in Rome, Italy
Ascension
27 November 399
Died
402 of natural causes
Canonized
Pre-Congregation
Anastasius I, Saint, Pope
(399-403) Born Rome; died there. He was a friend of Augustine, Jerome, and Paulinus, and chiefly known for his condemnation of Origen and the Donatists. Feast, 27 April.
Sant’ Anastasio I Papa
19 dicembre
m. 19 dicembre 401
(Papa dal 27/11/399 al 19/12/401)
Romano, il suo papato fu caratterizzato da alcune controversie teologiche. Si riconcilio con la Chiesa di Antiochia, dopo uno scisma durato 17 anni.
Etimologia: Anastasio = risorto, dal greco
Il Liber Pontificalis lo dice romano di origine; suo padre si chiamava Massimo. Edifico in Roma la basilica Crescenziana, ricordata anche nel sinodo del 499 e individuata, oggi, in S. Sisto Vecchio. Combatte con energia il donatismo nelle provincie settentrionali dell’Africa: ratifico le decisioni del Concilio di Toledo del 400, nel quale alcuni vescovi galiziani che avevano sconfessato Priscilliano, furono conservati nel loro ufficio, purche la reintegrazione fosse stata approvata da Anastasio. Il Liber Pontificalis ci informa come egli scoprisse a Roma un certo numero di manichei. Viveva in lui lo spirito dei difensori della Chiesa contro l’arianesimo; i diritti del patriarcato occidentale nell’Illirico trovarono in lui un coraggioso difensore.
Anastasio e conosciuto specialmente per la controversia origenista e per la severita dimostrata verso Rufino. Nel 399 gli amici di s. Gerolamo si adoperarono per ottenere da lui una formale condanna dell’origenismo. Sollecitato anche da lettere e da ambasciatori di Teofilo, vescovo di Alessandria, per la partecipazione dell’Occidente a questa lotta, condanno le ≪proposizioni blasfematorie presentategli≫. Rufino, profondamente irritato da questa campagna, gli fece presentare una sua Apologia, ≪per cancellare ogni traccia di sospetto e per rimettere al papa la dichiarazione di fede≫. Questa Apologia non produsse, pero, su Anastasio alcun effetto ed egli evito di dirimere la questione delle vere intenzioni di Rufino come traduttore del Periarchon. Sull’origenismo scrisse parecchie lettere, di cui una indirizzata a Venerio di Milano.
Fu in ottimi rapporti con s. Paolino, poi vescovo di Nola, anzi si credette obbligato a riparare i dispiaceri recatigli dal suo predecessore. Dopo avere, infatti, scritto ai vescovi della Campania, facendo loro i suoi elogi, lo invito direttamente a Roma per prender parte alla festa anniversaria della sua consacrazione, festa cui i papi solevano invitare solamente i vescovi. L’eccezione costituiva per Paolino un favore specialissimo e anche una riparazione. Quantunque egli non potesse in questa occasione andarvi, i] papa accetto la sua lettera di scusa . Della copiosa corrispondenza, che Anastasio dal Laterano indirizzo a personalita di vari paesi, sono rimaste poche lettere.
Dopo un pontificato breve (399-401 ) e molto attivo, Anastasio mori il 19 dicembre 401, come ha dimostrato il Duchesne nel suo commento al Liber Pontif icalis. Fu sepolto sulla Via Portuense in un monumento sepolcrale posto fra le basiliche di S. Candida e dei SS. Abdon e Sennen. S. Gerolamo, che aveva avuto parole di alto elogio per Anastasio, giunse a scrivere che se egli mori cosi presto, fu per un riguardo della Provvidenza, la quale non volle che un simile vescovo fosse testimone della caduta di Roma (avvenuta nel 410 per opera di Alarico). Tale elogio e entrato nel Martirologio Romano.
Il culto reso al pontefice e ai suoi predecessori, ad eccezione di Zosimo, fiori in breve tempo: il suo nome figura gia nel Martirologio Geronimiano datato alla meta del sec. V. La sua festa ricorre il 27 apr., giorno errato tratto dal Liber Pontificalis, che qui richiede una revisione.
-Autore: Filippo Caraffa
Origen
A celebrated ecclesiastical writer; born Alexandria, Egypt, 185; died Tyre, Phenicia, 253. When his father Leonides was martyred, Origen, then a youth, had to support his family by teaching. He succeeded Clement as head of the catechetical school of Alexandria, which under him became a nursery of confessors and martyrs. About 215 he visited Palestine, where he was invited to preach, though still a layman. Later while journeying to Greece he was ordained at Cresarea; Demetrius, Bishop of Alexandria, was displeased at this and Origen, forced to quit the catechetical school, 231, settled at Caesarea in Palestine and resumed his teaching. During the Maximinian persecution he visited Cappadocia, and on his return completed his scriptural commentaries. Under Decius he was imprisoned and tortured and died some years later, probably from the effect of his sufferings. Origen was an extremely fertile writer, but many of his works have perished, while others exist only in translations. His commentaries on Matthew, John, the Canticle of Canticles, and the Epistle to the Romans are in part extant. He popularized the homily, being called its father, more than 20 of his discourses being preserved in Greek and 118 in Latin; in addition we have his brilliant polemic "Contra Celsum" and "De principiis," dealing with the Trinity, creation, free-will, and scriptural inspiration and interpretation. His masterpiece was the "Hexapla," an edition of the Old Testament, with the Hebrew and Greek texts in parallel columns, which except for some fragments of the Psalms (discovered, 1896, 1900) has perished. It was translated into Syriac and fortunately large portions of this Syro-Hexaplar text are extant. In this, the most colossal critical production of antiquity, estimated to have filled at least 6000 pages, he attempted to show the relationship of the Septuagint to the Hebrew text and the Greek versions of Aquila, Symmachus, and Theodotion. Origen exerted a very great influence during his lifetime and after death, not only in the East but; among the Latins, but certain doctrines referred to under the name of Origenism, rightly or wrongly attributed to him, gave rise later to several sharp controversies. He laid down the proper doctrine regarding the Church and the rule of Faith; being human he may have made mistakes but, with his essentially Catholic disposition of mind, he does not merit to be ranked among the promoters of heresy. He has been accused of admitting only an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too freely, of Subordinationism, of teaching the eternity of creation, a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created spirits and matters, and the final universality of redemption. It must be remembered, however, that he was the first to wrestle with many of the intricate problems involved therein, before theological language had acquired precision; that many of his assertions were based on hypotheses, which he at other times rejects or leaves open to discussion. The opinion of most modern scholars is that it is not proved that he incurred the anathema of the Church at the Fifth General Council, 553.
-New Catholic Dictionary
Origenism
The doctrines ascribed to Origen of Alexandria, one of the outstanding ecclesiastical writers of the early half of the 3rd century. He claimed that Scripture has a threefold sense: the literal, the spiritual, and the mystic; many passages have no literal meaning and must be interpreted in an allegorical way. In his voluminous writings, most of which have perished, he aimed at systematizing Christian doctrines and defending them against the Gnostics but he himself is thought to have fallen into various errors concerning the Trinity and other fundamental dogmas, though this is not certain. Of his surviving works his two treatises, Against Celsus and On First Principles, are famous. He is an important witness to many of the doctrines and practises of the Christianity of his day. Three hundred years after his death 15 propositions from his writings were condemned in an eastern synod and the condemnation was approved by the Fifth General Council.
-New Catholic Dic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