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9월23일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  


San Pio da Pietrelcina (Francesco Forgione)


BLESSED PIO FORGIONE (Padre Pio)


CAPUCHIN PRIEST


Pietralcina, Benevento, 25 maggio 1887


-San Giovanni Rotondo, Foggia, 23 settembre 1968


Venerable:18 December 1997 by Pope John Paul II


Beatified :2 May 1999 by Pope John Paul II


Canonized :16 June 2002 by Pope John Paul II at Rome, Italy


Pio=devoto, religioso, pietoso (signif. Intuitivo)


=devout person, religious, pietoso


 


 



 


성프란치스꼬의 거룩한 상흔 축일: 9월17일.게시판1369번.


San Francesco d’Assisi, Impressione delle Stimmate


 


성 프란치스코의 오상 사건은


육화와 수난을 통한 하느님의 인간에 대한 사랑의 정도를 성 프란치스코에게 정확히 알려준 사건이며


동시에 성 프란치스코의 십자가에 대한 사랑이 극치를 이룬 사건이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랑은 프란치스코로 하여금 그리스도화를 가능케 해 주었던 것입니다.


 


성프란치스꼬의 오상은 수난 하신 그리스도를 직접 닮도록 자신을 완전히 변화시키는 의미를 지니며


그리스도의 케노시스 즉 가난의 구체적 표지이며 성인의 일생을 극적으로 요약하는 사건인 것이다.


성프란치스꼬는 오상을 받음으로 완전한 해방 체험을 하게된다.


 


*성프란치스꼬의 거룩한 상흔 축일: 9월17일.게시판1369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성 비오 사제는 1887년에 이탈리아 피에트렐치나에서 태어나,


카푸친 수도회에 입회한 뒤 1910년에 사제로 서품되었다.


 


끊임없는 기도와 겸손으로 하느님을 섬겼으며,


1918년부터 세상을 떠날 때까지 50년 동안 예수님의 오상을 몸에 간직하며 살았다고 한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002년6월 16일에 그를 성인품에 올렸다.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1887-1968)
카푸친의 최근의 성인,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1887-1968)는 1903년에 카푸친 형제회에 입회하여 1910년에는 사제서품을 받았다.
평생 동안 건강이 좋지 않았던 비오가 1918년에 경당의 십자가 앞에서 기도 하는 동안에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님의 오상은 팔과 손과 옆구리에 기적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죄인들과 병자들을 사랑한 비오는 그들에게 봉사함으로써 남은 일생을 보냈다.
매일 미사를 드리신 다음 수시간 동안 고해 성사를 죄인들에게 주고 하느님의 자비의 도구가 되었다.

영혼의 구원뿐만 아니라 육신의 건강에도 관심을 많이 쓴 성 비오는
산 죠바니 로톤도에서 이탈리아 남부의 가장 현대적인 병원을 세웠다.

널리 인기를 얻은 비오 형제는 항상 기도하는 가난한 형제로 남고 싶어했다.
그리고 1948년에 평화와 교황님의 지향을 위하여 기도하는 사람들의 기도모임도 조직하고
수많은 사람들에게 형제적인 덕담과 영성 지도를 주었다.

기적과 거룩함, 인정과 유머감각에 가득찬 생활 끝에 비오 형제는 1968년에 죽음 자매를 만났고
2002년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는
카푸친 작은 형제회의 성인,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의 시성을 거행하셨다.
(카푸친 작은형제회홈에서)


 



 


오상의 비오 신부님


 


1. 2002년 6월 16일, 오상의 비오 신부님(1887-1968년)이 시성되셨다.


내겐 지나칠 수 없는 날이었고, 1999년 5월 2일 시복식에 이어 3년 만에 찾아온 기쁨의 날이었다.


1987년에 처음으로 "마리아"지에서 비오 신부님에 대한 글을 읽으면서 두 가지 사실에 놀랐다.


’우리 시대에 이토록 놀라운 분이 사셨다.’는 사실에 놀랐고,


’이토록 놀라운 분의 이야기를 이제서야 접한다.’는 사실에 놀랐다.


 



 


피에트렐치나(Pietrelcina) 출신의 비오 신부님은 1968년 9월 23일에 81세로,


이탈리아 동부에 위치한 산조반니 로톤도(S. Giovanni Rotondo)의 수도원에서 돌아가셨다.


비오 신부님은 카푸친회 수도사제로서


반세기 동안 어떠한 의학적 치료나 과학적 설명을 찾지 못한 오상(五傷)을 지니고 사셨다.


손바닥에 난 작은 동전 크기의 구멍에서, 그리고 발과 가슴에서는 피가 배어나왔다.


 



 


수많은 기적적인 병치유가 이 수도사제의 간구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예언, 신비한 향내, 두 곳에 동시에 존재하는 현상, 공중 부상 등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 증언되고 있다.


태어날 때부터 눈동자가 없어 볼 수 없었던 소녀 젬마 양이 보게 된 것이라든지,


다이너마이트 폭발로 실명한 오른쪽 눈으로 다시 보게 되었다는 조반니 사비노의 기적적 치유는


과학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이야기들이다.


 



 


2. 세계 각처에서 수십만의 순례자들이,


어려운 여행에도 아랑곳없이 비오 신부님을 뵙고자 산조반니 로톤도를 찾아온 것은,


단지 기적을 찾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사실 수많은 순례자들은 근본적으로 영성적 동기 때문에 비오 신부님 주변에 모여들었다.


대부분 고해성사를 보고, 영적 지도와 미사에 참여하기 위해서였다.


 



 


내 개인적으로도 그분을 찾는 첫번째 이유는


그분의 모습에서 예수님을 더욱 가까이 느끼기 때문이다.


 


그분의 삶은 그리스도인뿐만 아니라 많은 현대인에게 하느님의 현존을 느끼게 하고,


십자가의 예수님이 단순히 기억 속에서가 아니라


시공을 초월한 현재에 살아계심을 놀랍게 증거하였다.


 



 


그러하기에 역대 교황님들도 큰 사랑으로 비오 신부님을 대하셨는데,


1921년 교황 베네딕토 15세께서는 비오 신부님을 "참으로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불렀고,


교황 비오 12세께서는


"비오 신부님은 돌아가시기 전부터 성인이셨음을 우리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라고 전한다.


 


그리고 교황 바오로 6세께서는 비오 신부님을 "우리 주님의 오상을 뚜렷이 잘 나타내신 분"이라고 했는데,


그분의 삶을 가까이서 지켜본 사람들은 같은 증언들을 아끼지 않았다.


 



 


3. 반세기 동안, 비오 신부님은 하루의 대부분을 고해소 안에서 보냈다.


선종하기 직전인 1967년에는 만오천 명의 여자와 만 명의 남자에게 고해성사를 주었다고 한다.


사실 신부님에게 고해성사를 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며칠씩 차례를 기다려야 했고


참다운 회개와 통회가 선행되어야 했기에 적어도 편안하고 친절한 만남은 아니었다.


 



 


비오 신부님은 신중하지 않은 이에게는 엄격하여 적지 않은 사람들을 그냥 집으로 돌려보냈다.


물론 대개는 몇 달 또는 며칠 뒤에 되돌아와 진정으로 뉘우치며 고해성사를 보았고,


그로 인하여 삶 자체에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이러한 영성 지도에서 그분의 모든 위대함이 드러나는데,


그는 독특한 지도 방법과 영혼들의 고뇌에 그 자신이 함께함으로써 삶을 변화시켰다.


다음의 말씀이 그 일면을 잘 보여준다.


 


"그리스도인 생활이란 자신과의 끊임없는 투쟁 이외의 아무것도 아닙니다."


 



 


4. 또한 매일 새벽 4시 30분에 시작하여 1시간 반 정도 집전하는 미사는,


희생 제물이신 그리스도와 같아지려는 그의 영성의 절정이었다.


 


밤 1시부터 사람들은 성당 문이 열릴 때까지 서서 기도하며 기다린다.


멀리서 온 그들은 하룻밤을 설치는 고통도 마다하지 않고,


비오 신부님이 미사를 봉헌하는 동안 제대에 조금이라도 가까이 자리를 잡으려는 것이다.


때문에 성당 문이 열리면 성당은 이내 신자들로 꽉 차고,


신부님의 열정 어린 미사는 때론 두 세 시간씩 계속되곤 하였다.


 



 


비오 신부님의 눈에는 자주 눈물이 고여있었고,


"왜요?"라는 물음에 그는 울먹이는 목소리로


"나는 미사 드리기에 합당치 않은 사람이오."라고 대답하시는 것이었다.


 


미사 때마다 양손의 상처에서 흘러나온 피가 제대포에 떨어지곤 하였는데,


온몸으로 십자가의 제사를 재현하는 미사에 대한 그분의 열정은 다음의 말씀에서 잘 드러난다.


 



 


"세상은 태양이 없어도 존재할 수 있지만 미사 성제 없이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제대 건너편에는 자주, 멀리서 온 순례자들이 감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며


"아, 제가 하느님을 이렇게 늦게서야 알게 되다니." 하며 회개하곤 했다.


 



 


5. 비오 신부님의 시복시성을 위한 긴 소송은 1969년에 시작되어


1999년 5월 2일 시복식을 거쳐


2002년 6월 16일로 막을 내렸으나 그분의 사도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아니 이제 시작되었다.


나는 한국 천주교회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들이,


그리고 타종교인과 믿지 않는 이들이 비오 신부님을 통하여 열성을 회복하고


예수님을 이 시대에 새롭게 만나는 일이 확산되리라 믿는다.


 



 


"나는 이 세상에 있을 때보다 세상을 떠난 뒤에 더 많은 일을 할 것입니다."


하신 비오 신부님이 그 약속을 이 땅에서 이루어가시리라 믿는다.


 


성인께서 그리스도의 수난에 동참하심으로 영혼들을 하느님께로 인도하셨듯이,


이제 부활하신 예수님과 일치하심으로 이 땅의 더 많은 영혼들을 특히 북녘 땅의 영혼들을 하느님께로 인도하시리라 믿는다.


 



 


 


"나는 고통을 사랑합니다. 고통을 위한 고통이 아닙니다.


나는 하느님께 고통을 받을 수 있기를 간청했고, 그 고통에서 생겨나는 열매 때문에,


또 그것을 통하여 하느님께서 주시는 영광 때문에 고통을 열망합니다.


내 고통을 통하여 우리 형제들이 구원되고, 불쌍한 연옥영혼들의 고통이 단축될 것입니다."


 


-송열섭 가시미로, 청주 용암동 성당 주임신부, 경향잡지, 2002년 11월호에서-


 


 


 


 



 


오상의 비오신부


저 자: 요란A.슈그,역 자:송열섭,가톨릭출판사    


 


"이 책은 카프친 프란치스코회 요한 슈그 수사 신부가


비오 신부를 만난 사람들의 구체적인 증언들을 바탕으로 엮은 것이다.


저자는 비오 신부 가까이에서 생활했던 신부, 수녀, 전문의와 평신도들 등 스물아홉 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신앙의 핵심 주제인 ’십자가의 예수님’ , ’미사’, ’고백성사’, ’기도’,


’복되신 동정 마리아’ 등의 의미를 새롭고 감동깊게 이야기한다.


 


50년 동안 손과 발, 옆구리에 오상을 지녔던 비오 신부는


어마어마하게 큰 영적 능력이랄까 아니면 사람을 끄는 힘을 가진, 신약성서적 의미에서 카리스마적 존재였다.


비오 신부는 훌륭한 삶, 성성, 덕행으로 충만한 분이었다.


그분은 복되신 동정녀 마리아에게 대한 특별한 신심과 함께 끝없는 기도, 고백성사와 영적 만남을 통해


전세계 그리스도인에게 사도직으로써 많은 영웅적 희생 과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감탄할 만한 사랑에 찬 고행의 삶을 살았다.


 


그분의 삶은 제단과 고해실이라는 두 기둥으로 압축되며


사제직의 이러한 본질적이며 영속적인 가치는 비오 신부에게서 뛰어나게 실현되었다.


 


우리는 이 증언들을 통해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과 영적지도로


영혼 들을 돕는 데에 온 삶을 바친 비오 신부의 자비와 신앙의 핵심 주제인


’십자가의 예수님’, ’미사’, ’고해 성사’, ’기도’, ’복되신 동정 마리아’ 등의 의미를


새롭고 감동 깊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오상을 받은 우리 시대의 형제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저자: H. 바익셀브라운,역자: 최옥식, 성바오로출판사


 


이 책은 비오 신부의 많은 일화들을 간결하면서도 설득력 있게 소개함으로써


생애의 행적에 대해 한번쯤 품어 봄직한 의혹들을 풀어주고 있다.


50여 년 동안 그리스도의 오상을 간직 한 채 죄인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 제물로 바치고


자신에게 인도된 영적, 육체적 병자들을 치유해 준 비오 신부에 관해 간단하게 정리되어 있다.


 


비오 신부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저자 H. 바익셀라운은


비오 신부의 기적들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우리를 준비시킬 뿐 만 아니라


그를 통해 하느님이 무엇을 우리에게 호소하는지 헤아릴 수 있도록 이끌고자 했다.


 


비오 신부는 기적을 잃어버린 20세기를 우리와 함께 살아간 사람이었지만


오상을 받고 두 장소에 동시에 존재하며,


고백성사를 보는 이들의 잘잘못을 낱낱이 꿰고 헤아릴 수 없는 기적들을 보여준 일들은


하느님의 전능과 은총을 증거하고 선포하였다.


 



 


비오 신부가 보여준 어떤 기적은 결국「십자가의 영광」으로 귀결된다.


기도와 사랑」의 삶 자체가 다른 어떤 기적보다도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위대한 기적이었다.


비오 신부에 관한 작지만 진솔한 이 책을 통해 우리의 마음이 구세주를 향해 활짝 열릴 수 있도록 해준다


 


 



 


 


♬14.Canto Gregoriano-Verbum Caro Factum Est


 


 


 


update 2004.9.23.


 


 


 


 


 


 


 


 


 


 


 


 


 


 


 


 


 


 


 


 


 


 


 


 


 


 


 


 


 


 


 


 


 


 


PADRE PIO


 


Also known as


Francesco Forgione; Padre Pio of Pietrelcina


Memorial


23 September


Profile


Born to a southern Italian farm family, the son of Grazio, a shepherd. At age 15 he entered the noviciate of the Capuchin Friars in Morcone, and joined the order at age 19. Suffered several health problems, and at one point his family thought he had tuberculosis. Ordained at age 22 on 10 August 1910.


 


While praying before a cross, he received the stigmata on 20 September 1918, the first priest ever to be so blessed. As word spread, especially after American soldiers brought home stories of Padre Pio following WWII, the priest himself became a point of pilgrimage for both the pious and the curious. He would hear confessions by the hour, reportedly able to read the consciences of those who held back. Reportedly able to bilocate, levitate, and heal by touch. Founded the House for the Relief of Suffering in 1956, a hospital that serves 60,000 a year. In the 1920’s he started a series of prayer groups that continue today with over 400,000 members worldwide.


 


His canonization miracle involved the cure of Matteo Pio Colella, age 7, the son of a doctor who works in the House for Relief of Suffering, the hospital in San Giovanni Rotondo founded by Padre Pio. On the night of 20 June 2000, Matteo wa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of the hospital with meningitis. By morning doctors had lost hope for him as nine of the boy´s internal organs had ceased to give signs of life. That night, during a prayer vigil attended by Matteo´s mother and some Capuchin friars of Padre Pio´s monastery, the child’s condition improved suddenly. When he awoke from the coma, Matteo said that he had seen an elderly man with a white beard and a long, brown habit, who said to him: "Don´t worry, you will soon be cured." The miracle was approved by the Congregation and Pope John Paul II on 20 December 2001.


Born


25 May 1887 at Pietrelcina, Benevento, Italy as Francesco Forgione


Died


23 September 1968 of natural causes


Venerable


18 December 1997 by Pope John Paul II


Beatified


2 May 1999 by Pope John Paul II


Canonized


16 June 2002 by Pope John Paul II at Rome, Italy


 


 


 


Readings


Look what fame he had, what a worldwide following gathered around him! But why? Perhaps because he was a philosopher? Because he was wise? Because he had resources at his disposal? Because he said Mass humbly, heard confessions from dawn to dusk and was-it is not easy to say it-one who bore the wounds of our Lord. He was a man of prayer and suffering.


 


Pope Paul VI, 21 Febuary 1971, commenting on the life of Padre Pio


--------------------------------------------------------------------------------


And you, Blessed Padre Pio, look down from heaven upon us assembled in this square and upon all gathered in prayer before the Basilica of Saint John Lateran and in San Giovanni Rotondo. Intercede for all those who, in every part of the world, are spiritually united with this event and raise their prayers to you. Come to the help of everyone; give peace and consolation to every heart. Amen!


 


from the homily of Pope John Paul II at the beatification of Padre Pio


--------------------------------------------------------------------------------


Stay with me, Lord, for it is necessary to have You present so that I do not forget You. You know how easily I abandon You.


 


Stay with me, Lord, because I am weak and I need Your strength, that I may not fall so often.


 


Stay with me, Lord, for You are my life and without You I am without fervor.


 


Stay with me, Lord, for You are my light and without You I am in darkness.


 


Stay with me, Lord, to show me Your will.


 


Stay with me, Lord, so that I hear Your voice and follow You.


 


Stay with me, Lord, for I desire to love You very much and alway be in Your company.


 


Stay with me, Lord, if You wish me to be faithful to You.


 


Stay with me, Lord, as poor as my soul is I want it to be a place of consolation for You, a nest of Love.


 


Stay with me, Jesus, for it is getting late and the day is coming to a close and life passes, death, judgment and eternity approaches. It is necessary to renew my strenth, so that I will not stop along the way and for that, I need You. It is getting late and death approaches, I fear the darkness, the temptations, the dryness, the cross, the sorrows. O how I need You, my Jesus, in this night of exile!


 


Stay with me tonight, Jesus, in life with all its dangers, I need You.


 


Let me recognize You as Your disciples did at the breaking of the bread, so that the Eucharistic Communion be the Light which disperses the darkness, the force which sustains me, the unique joy of my heart.


 


Stay with me, Lord, because at the hour of my death, I want to remain united to You, if not by Communion, at least by grace and love.


 


Stay with me, Lord, for it is You alone I look for, Your Love, Your Grace, Your Will, Your Heart, Your Spirit, because I love You and ask no other reward but to love You more and more.


 


With a firm love, I will love You with all my heart while on earth and continue to love You perfectly during all eternity. Amen.


 


Padre Pio’s Prayer After Holy Communion


 


 


 


 


San Pio da Pietrelcina (Francesco Forgione)


 


23 settembre - Memoria


Pietralcina, Benevento, 25 maggio 1887 - San Giovanni Rotondo, Foggia, 23 settembre 1968


 


Francesco Forgione nasce a Pietrelcina, provincia di Benevento, il 25 maggio 1887. Il 22 gennaio 1903, a sedici anni, entra in convento e da francescano cappuccino prende il nome di fra Pio da Pietrelcina. Diventa sacerdote sette anni dopo, il 10 agosto 1910. Nel 1916 i superiori pensano di trasferirlo a San Giovanni Rotondo, sul Gargano, e qui, nel convento di S. Maria delle Grazie, ha inizio per Padre Pio una straordinaria avventura di taumaturgo e apostolo del confessionale. Il 20 settembre 1918 il cappuccino riceve le stimmate della Passione di Cristo che resteranno aperte, dolorose e sanguinanti per ben cinquant’anni. Muore il 23 settembre 1968, a 81 anni. Dichiarato venerabile nel 1997 e beatificato nel 1999, e canonizzato nel 2002.


 


Etimologia: Pio = devoto, religioso, pietoso (signif. Intuitivo)


 


Quando muore, il 23 settembre 1968, a 81 anni, le stimmate scompaiono dal suo corpo e, davanti alle circa centomila persone venute da ogni dove ai suoi funerali, ha inizio quel processo di santificazione che ben prima che la Chiesa lo elevasse alla gloria degli altari lo colloca nella devozione dei fedeli di tutto il mondo come uno dei santi piu amati dell’ultimo secolo.


Francesco Forgione era nato a Pietrelcina, provincia di Benevento, il 25 maggio 1887. I suoi genitori, Grazio e Giuseppa, erano poveri contadini, ma assai devoti: in famiglia il rosario si pregava ogni sera in casa tutti insieme, in un clima di grande e filiale fiducia in Dio e nella Madonna. Il soprannaturale irrompe assai presto nella vita del futuro santo: fin da bambino egli riceveva visite frequenti di Gesu e Maria, vedeva demoni e angeli, ma poiche pensava che tutti avessero queste facolta non ne faceva parola con nessuno. Il 22 gennaio 1903, a sedici anni, entra in convento e da francescano cappuccino prende il nome di fra Pio da Pietrelcina. Diventa sacerdote sette anni dopo, il 10 agosto 1910. Vuole partire missionario per terre lontane, ma Dio ha su di lui altri disegni, specialissimi.


I primi anni di sacerdozio sono compromessi e resi amari dalle sue pessime condizioni di salute, tanto che i superiori lo rimandano piu volte a Pietrelcina, nella casa paterna, dove il clima gli e piu congeniale. Padre Pio e malato assai gravemente ai polmoni. I medici gli danno poco da vivere. Come se non bastasse, alla malattia si vanno ad aggiungere le terribili vessazioni a cui il demonio lo sottopone, che non lasciano mai in pace il povero frate, torturato nel corpo e nello spirito.


Nel 1916 i superiori pensano di trasferirlo a San Giovanni Rotondo, sul Gargano, e qui, nel convento di S. Maria delle Grazie, ha inizio per Padre Pio una straordinaria avventura di taumaturgo e apostolo del confessionale. Un numero incalcolabile di uomini e donne, dal Gargano e da altre parti dell’Italia, cominciano ad accorrere al suo confessionale, dove egli trascorre anche quattordici-sedici ore al giorno, per lavare i peccati e ricondurre le anime a Dio. E il suo ministero, che attinge la propria forza dalla preghiera e dall’altare, e che Padre Pio realizza non senza grandi sofferenze fisiche e morali.


Il 20 settembre 1918, infatti, il cappuccino riceve le stimmate della Passione di Cristo che resteranno aperte, dolorose e sanguinanti per ben cinquant’anni. Padre Pio viene visitato da un gran numero di medici, subendo incomprensioni e calunnie per le quali deve sottostare a infamanti ispezioni canoniche; il frate delle stimmate si dichiara “figlio dell’obbedienza” e sopporta tutto con serafica pazienza. Infine, viene anche sospeso a divinis e solo dopo diversi anni, prosciolto dalle accuse calunniose, puo essere reintegrato nel suo ministero sacerdotale.


La sua celletta, la numero 5, portava appeso alla porta un cartello con una celebre frase di S. Bernardo: “Maria e tutta la ragione della mia speranza”. Maria e il segreto della grandezza di Padre Pio, il segreto della sua santita. A Lei, nel maggio 1956, dedica la “Casa Sollievo della Sofferenza”, una delle strutture sanitarie oggi piu qualificate a livello nazionale e internazionale, con 70.000 ricoveri l’anno, attrezzature modernissime e collegamenti con i principali istituti di ricerca nel mondo.


Negli anni ‘40, per combattere con l’arma della preghiera la tremenda realta della seconda guerra mondiale, Padre Pio diede avvio ai Gruppi di Preghiera, una delle realta ecclesiali piu diffuse attualmente nel mondo, con oltre duecentomila devoti sparsi in tutta la terra. Con la “Casa Sollievo della Sofferenza” essi costituiscono la sua eredita spirituale, il segno di una vita tutta dedicata alla preghiera e contrassegnata da una devozione ardente alla Vergine.


Da Lei il frate si sentiva protetto nella sua lotta quotidiana col demonio, il “cosaccio” come lo chiamava, e per ben due volte la Vergine lo guarisce miracolosamente, nel 1911 e nel 1959. In quest’ultimo caso i medici lo avevano dato proprio per spacciato quando, dopo l’arrivo della Madonna pellegrina di Fatima a San Giovanni Rotondo, il 6 agosto 1959, Padre Pio fu risanato improvvisamente, tra lo stupore e la gioia dei suoi devoti.


“Esiste una scorciatoia per il Paradiso?”, gli fu domandato una volta. “Si”, lui rispose, “e la Madonna”. “Essa ? diceva il frate di Pietrelcina ? e il mare attraverso cui si raggiungono i lidi degli splendori eterni”. Esortava sempre i suoi figli spirituali a pregare il Rosario e a imitare la Madonna nelle sue virtu quotidiane quali l’umilta,la pazienza, il silenzio,la purezza,la carita.“Vorrei avere una voce cosi forte ? diceva - per invitare i peccatori di tutto il mondo ad amare la Madonna”.


Lui stesso aveva sempre la corona del rosario in mano. Lo recitava incessantemente per intero, soprattutto nelle ore notturne. “Questa preghiera ? diceva Padre Pio ? e la nostra fede, il sostegno della nostra speranza, l’esplosione della nostra carita”.


Il suo testamento spirituale, alla fine della sua vita, fu: “Amate la Madonna e fatela amare. Recitate sempre il Rosario”.


Intorno alla sua figura in questi anni si sono scritti molti fiumi di inchiostro. Un incalcolabile numero di articoli e tantissimi libri; si conta che approssimativamente sono piu di 200 le biografie a lui dedicate soltanto in italiano. “Faro piu rumore da morto che da vivo”, aveva pronosticato lui con la sua solita arguzia. Quella di Padre Pio e veramente una “clientela” mondiale. Perche tanta devozione per questo san Francesco del sud?


Padre Raniero Cantalamessa lo spiega cosi:“Se tutto il mondo corre dietro a Padre Pio ? come un giorno correva dietro a Francesco d’Assisi - e perche intuisce vagamente che non sara la tecnica con tutte le sue risorse, ne la scienza con tutte le sue promesse a salvarci, ma solo la santita. Che e poi come dire l’amore”.


Autore: Maria Di Lorenzo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732 프란치스칸 성인 경남지구 양성위원회 운영지침 file [1] 요셉 2009-09-13 4463
731 프란치스칸 성인 9월18일 코페르티노의 성 요셉(1회) 안젤라 2009-09-19 27332
730 프란치스칸 성인 9월18일 성녀 소피아와 성녀 이레네 순교자 안젤라 2009-09-19 10488
729 프란치스칸 성인 9월19일 성 야누아리오 주교 순교자 안젤라 2009-09-19 6746
728 프란치스칸 성인 9월20일 캄포로쏘의 성 프란치스코 마리아(1회) 안젤라 2009-09-19 5820
727 프란치스칸 성인 9월20일 성 안드레아김대건과 성 바울로정하상과 동료순교자 대축일 안젤라 2009-09-19 5858
726 프란치스칸 성인 9월21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 사가 안젤라 2009-09-19 6925
725 프란치스칸 성인 9월22일 성 마우리시오 순교자 안젤라 2009-09-20 12189
724 프란치스칸 성인 9월23일 성 리노 교황 순교자 안젤라 2009-09-20 6065
723 프란치스칸 성인 9월23일 성녀 테끌라 동정 순교자 안젤라 2009-09-20 17145
» 프란치스칸 성인 9월23일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회) 안젤라 2009-09-20 5314
721 프란치스칸 성인 9월23일 성녀 글라라의 유해 발견(성글라라수도회의 성녀와 복녀축일표) 안젤라 2009-09-23 12926
720 프란치스칸 성인 9월24일 메르체데의 성모마리아 안젤라 2009-09-23 5851
719 프란치스칸 성인 9월24일 성 제라르도 사그레도 안젤라 2009-09-23 5536
718 프란치스칸 성인 9월24일 산 세베리노의 성 파치피코(1회) 안젤라 2009-09-23 5391
717 프란치스칸 성인 9월25일 성녀 아우렐리아와 성녀 네오미시아 안젤라 2009-09-23 6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