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순교자 103위 성인(Sts. 103 Martyres Coreae) - 문학진토마
축일: 9월20일
성 안드레아 김대건과 성 바울로 정하상과 동료 순교자 대축일
Santi Andrea Kim Taegon, Paolo Chong Hasang e compagni Martiri coreani
Died: 1839 - 1867
Beatified: 6 June 1925 , 1968
Canonized : 6 May 1984 by Pope John Paul II
한국에는 18세기 말경에 처음으로 몇몇 평신도들의 노력으로 그리스도 신앙이 들어왔다.
1784년 북경에서 영세한 첫 한국인 이 귀국하기 전에 이미 공동체를 형성하고 신앙을 실천하였으니 이는 교회사에 전무 후무한 일이다.
초기부터 신자들은 모진 박해를 겪어야 했고 박해는 100년 이상 계속되어 만 명 이상의 순교자를 냈다.
초기 50년간에는 중국인 사제 두 분의 짧은 사목 활동이 있었을 뿐 1836년에 프랑스에서 선교사들이 몰래 입국할 때까지는
사목자 없이 평신도들만이 용감하고 열심한 신자 공동체를 지도하고 길러 냈었다.
이 공동체 속에서 1839년, 1846년, 1866년 박해 때 순교한 103명이 성인 반열에 들게 되었다.
그들 중 열심한 사목자였던 최초의 사제 안드레아 김대건과 훌륭한 평신도 바울로 정하상이 대표적 인물이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든지 가톨릭 신앙이 전파된 것을 보면 대개 선교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하느님의 놀라운 섭리와 성령의 힘은 성실한 사람들이 진리를 찾아 생활하고자 그리스도를 발견하게 한다.
극동 아시아의 조그마한 반도인 조선에 그리스도의 복음이 전해진 것은
성실한 유학자들이 서적을 통해 학문을 연구한 끝에 스스로 입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이것 역시 궁극적으로는 온 세상에 당신 성령의 힘을 불어넣으시는 하느님의 섭리일 것이다.
중국에서 활동하던 선교사들이 중국의 복음화를 위해 한문으로 쓴 성서와 교리서
또는 윤리와 신학 서적들이 그 당시의 외교 관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조선에 들어오게 되었고,
다른 많은 종교 서적들과 함께 읽히던 천주 교회 서적들은 진리를 찾던 조선의 선량한 사람들에게 구원의 빛이 되었던 것이다.
처음에는 권철신과 이벽을 중심으로 한 젊은 양반 학자들의 학문적인 모임이었던
천진암 주어사 강학회가 1779년경에는 천주교 신앙을 알고 실천하려는 모임이 되었다.
1783년, 이승훈을 북경으로 파견하여 북경 선교사에게서 교리를 배우고 영세를 받게 하였으며,
그 이듬해 이승훈이 귀국하여 이벽, 권일신, 정약용, 약종 형제들과 함께 첫 신앙 공동체를 형성했다.
성직자나 선교사가 없이 스스로 복음을 받아들인 조선의 신앙 공동체는 급속도로 성장하였으나 정치적 불안과 당파 싸움 및
교리와 마찰을 일으킨 조선의 풍속 때문에 심한 박해를 받았다.
1785년, 형조의 우연한 검거에 의해 야기된 최초의 박해에 이어 크고 작은 박해들이 끊임없이 이어졌고 수천 수만 명이 신앙을 위하여 목숨을 바쳤다.
신자들의 간절한 요청으로 1793년에 조선에 들어온 중국인 주문모 신부는 1801년에 대부분의 교회 창설자들과 함께 순교했다.
목자 없는 조선의 신앙 공동체는 1825년, 로마 교황청에까지 그 어려움을 호소하여
1831년에는 조선 교구가 설정되고 파리 외방 선교회가 이 지방의 선교를 담당하게 되어
1835년부터 몇 명의 프랑스 선교사가 들어와서 활동했으나 1839년에는 주교 한 사람과 사제 두 사람이 모두 순교했다.
1845년에는 이 땅에 최초의 한국인 사제인 김대건 신부가 잠깐 활동했으나 그 다음해에 순교했다.
서구 열강들이 극동 지방에서 세력 다툼을 벌이던 19세기 말에는 국내외의 불안이 고조되고 쇄국 정책으로 1866년,
외국 성직자들이 선교 활동을 하던 천주 교회에 다시 끔찍한 박해가 일어나 1만여 명의 신자들이 학살되고 십여 명의 성직자들이 모두 살해되거나 추방되었다.
이렇게 100여 년에 걸친 박해로 적지 않은 신자들이 배교하기도 했으나 학자와 남자들 뿐 아니라
부녀자와 아이들 및 평민과 상인들까지도 신앙을 위하여 용감하게 목숨을 바쳤다.
이 중에서 초기의 순교자들은 자료의 미비로 누락되고
1839년부터 1849년까지의 순교자들 중에서 79명이 선택되어 1925년 7월 5일 복자품에 오르게 되었고,
다시 1866년의 박해를 중심으로 순교한 24명이 1968년 10월 6일에 시복되어 모두 103명의 순교자가 시복되기에 이르렀다.
이 103명의 순교 복자들은 한국 선교 200주년이 되는 1984년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서울에서 시성되어 성인품에 올랐다.
성모자와 한국 성인들 - 월전 장우성(月田 張遇聖,요셉,1912- )
1949년, 각 185x108cm. 종이에 채색, 바티칸 인류복음화성 고문서고
▶성화 해설
이 작품은 1950년 바티칸에서 열린 성모성년을 기념하여 세 폭의 연작으로 제작된 것이다.
가운데는 성모자와 세례자 요한이 있고 좌측에는 순교자 강완숙과 성 김효주, 성 김효임이 있다.
우측에는 성 김대건 신부와 성 남종삼, 성 류대철이 서 있다.
하느님께 대한 신앙을 증거하기 위해 순교한
우리나라 성인의 모습이 단아하면서도 거룩한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신자들이 강요받은 것은 주로 세 가지였다.
첫째는 배교할 것,
둘째는 신자들의 성명과 주소를 댈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회 서적과 성물을 내놓으라는 것이다.
이에 불복하면 참혹한 형벌을 가했는데 손과 발, 다리에 주리를 틀며 끈으로 살을 톱질하여 베어 내고 치도곤이나 곤장으로 때리는 것이다.
대부분의 신자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몇 차례의 매를 맞으면 살이 터지고 뼈가 부러지며 온몸이 피투성이가 되었다.
그러다가 기절하면 감옥에 처넣어 두는데 그 감옥이란 통나무로 된 움집 같은 것이라서 빛이 들어오지 않아 어둡고 음산하며 바닥은 습기로 가득 차
신자들의 매맞는 상처는 곪고 썩어 구더기가 생길 지경이었고, 먹을 것도 제대로 주지 않아 굶주림에 지쳐 어떤 사람들은 거적때기를 뜯어서 씹고 있을 정도였다.
많은 신자가 이렇게 비참하게 옥사했는데, 차라리 교수형이나 참수형을 받는 것이 오히려 고통을 덜 받는 편이었다.
많은 신자들은 이 같은 혹독한 심문과 매질 그리고 감옥 생활에도 굳건하게 신앙을 지키며 때로는 심문 중에
창조주 하느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유교의 부모 공경과 임금에 대한 충성심에 비교하여 교회의 가르침을 설파하다가 용감하게 죽음을 맞이했다.
우리는 신앙 생활에서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만을 빌며 무사안일한 생활을 꿈꾸기 쉽다.
그러나 이 세상에서 악의 세력과 투쟁하며 복음의 메시지에 따라 살아가려면 비록 박해 시대가 아니더라도 갖가지 어려움에 부딪히고 유혹에 빠질 수 있다.
그때마다 예수 그리스도의 고통과 수난을 생각하며 구원의 길을 용감하게 걸어간 순교자들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우리의 신앙 생활이 무사 안일하기만을 바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신앙은 우리를 이 세상의 모든 악과 불행에서 면제해 주는 것이 아니라 고통과 어려움을 당함으로써 이 세상의 죄악과 불행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한국 순교성인들의 진리에 대한 갈망과 순교 정신은 현대 사회의 부조리와 무사 안일주의에 좋은 귀감이 될 것이다.
1877년에 서울의 감옥에 갇혔던 리델 주교는 옥중 생활의 비참한 모습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나는 기아로 희생이 된 그들을 보고 너무나 놀라 뒷걸음질을 쳤다. 그들은 사람이라기보다는 해골이 걸어다니고 있는 것이라고 밖에 여겨지지 않았다.
괴로움과 굶주림과 가려움과 곪아 썩어 가는 상처는 그들을 볼 수 없을 만큼 흉악한 모습으로 바꿔 놓았다."
1845년에 입국한 다블뤼(Daveluy)신부는 기해년의 옥중 생활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교우들은 이러한 감옥 속에 빽빽이 처넣어져 있었으므로 발을 뻗고 누울 수도 없을 정도이다.
그들이 소리를 같이하여 말하는 바에 의하면, 이 지굿지굿한 옥중의 괴로움에 비하면 고문은 문제도 안된다.
상처에서 흐르는 피와 고름 때문에 멍석은 푹푹 썩어 가고 고약한 냄새를 풍기게 되니, 이로 말미암아 고약한 병이 돌기 시작하여 2,3일내에 죽은 교우도 몇이나 있었다.
그러나 가장 무서운 형벌은 굶주림과 목마름이었다. 고문하는 곳 에서는 용감히 그 신앙을 공표하면서도 이 기갈을 참지 못하여 굴복한 이도 적지 않았다."
(류홍렬, ’한국 천주 교회사’ 상권 p.318-319)
성 김대건 안드레아.1983년,문학진(1924- ). 유화, 명동성당, 서울
▶성화 해설
단아한 모습의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은 천상의 영원한 진리를 바라보고 있다.
흰색 도포는 천상의 빛을 의미하고 붉은색 영대는 순교를 상징한다.
손에 있는 성서와 십자가는 김 신부님께서 하느님 나라의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다가 순교했다는 것을 알려 준다.
배경에 있는 산보다 김 신부님이 우뚝 솟아 있는 것은 그분의 신앙이 산보다 높았다는 것을 뜻한다.
성 안드레아 김대건 사제 순교자의 편지에서
(제25신의 발췌, 김대건의 서한, 이원순, 허인 편저, 1975년, 정음사)
이런 군난 때에는 주의 시험을 받아 세속과 마귀를 쳐 덕공을 크게 세울 때다.
교우들 보아라. 우리 벗아, 생각하고 생각할지어다.
천주무시지시로부터 천지 만물을 배설 하시고, 그 중에 우리 사람을 당신 모상과 같이 내어 세상에 두신 위자와 그 뜻을 생각할지어다.
온갖 세상 일을 가만히 생각하면 가련하고 슬픈 일이 많다.
이 같은 험하고 가련한 세상에 한번 나서 우리를 내신 임자를 알지 못하면 난 보람이 없고,
있어 쓸데없고, 비록 주은으로 세상에 나고 주은으로 영세 입교하여 주의 제자 되니,이름이 또한 귀하거니와 실이 없으면 이름이 무엇에 쓰며,
세상에 나 입교한 효험이 없을 뿐아니라, 도리어 배주 배은하니, 주의 은혜만 입고 주께 득죄하면 아니 남만 어찌 같으리요.
씨를 심는 농부를 보건대, 때를 맞추어 밭을 갈고 거름을 넣고 더위에 신고를 돌아보지 아니 하고 아름다운 씨를 가꾸어,
밭 거둘 때에 이르러 곡식이 잘되고 염글면, 마음에 땀낸 수고를 잊고 오히려 즐기며 춤추며 흠복할 것이요,
곡식이 염글지 아니하고 밭 거둘 때에 빈 대와 껍질 만 있으면, 주인이 땀낸 수고를 생각하고 오히려 그 밭에 거름 내고 들인 공부로써
그 밭을 박 대하나니, 이같이 주 땅을 밭을 삼으시고 우리 사람으로 벼를 삼아, 은총으로 거름을 삼으시고 강생 구속하여 피로 우리를 물 주사,
자라고 염글도록 하여 계시니, 심판 날 거두기에 이르러 은혜를 받아 염근자 되었으면 주의 의지로 천국을 누릴 것이오.
만일 염글지 못하였으면 주의 의지로서 원수가 되어 영원히 마땅한 벌을 받으리라.
우리 사랑하온 형제들아, 알지어다. 우리 주 예수 세상에 내려, 친히 무수한 고난을 받으시고 괴로운 데로조차 성교회를 세우시고
고난 중에 자라게 하신지라. 그러나 세상 풍속이 아무리 치고 싸우나 능히 이기지 못할지니,
예수 승천 후 종도 때부터 지금까지 이르러 성교 두루 무수 간난중에 자라니. 이제 우리 조선에 성교 들어온 지5,60년에
여러 번 군난으로 교우들이 이제까지 이르고 또 오늘날 군난이 치성하여 여러 교우와 나까지 잡히고 아울러 너희들까지 환난중을 당하니,
우리 한 몸이 되어 애통지심이 없으며, 육정에 차마 이별하기 어려움이 없으랴.
그러나 성경에 말씀하시되, 작은 털끝이라도 주 돌아보신다 하고 모르심이 없어 돌보신다 하셨으니,
어 찌 이렇다 할 군난이 주명 아니면 주상 주벌 아니랴.
주의 성의를 따라오며, 온갖 마음으로 천주 예수의 대장의 편을 들어, 이미 항복받은 세속 마귀를 칠지어다.
이런 황황한 시적을 당하여, 마음을 늦추지 말고 도리어 힘을 다하고 역량을 다하여,
마치 용맹한 군사가 병기를 갖추고 전장에 있음같이 하여 싸워 이길지어다.
부디 서로 우애를 잊지 말고 돕고 아울러 주 우리를 불쌍히 여기사 환난을 걷기까지 기다리라.
또 무슨 일이 있을 지라도, 부디 삼가고 극진히 조심하여 위주 광영하고 조심을 배로 더하고 더하여라.
여기 있은 자 20인은 아직 주은으로 잘 지내니 설혹 죽은 후라도 너희가 그 사람들의 가족들을 부디 잊지를 말라.
할 말이 무궁한들 어찌 지필로 다하리, 그친다.
우리는 미구에 전장에 나아갈 터이니 부디 착실히 닦아, 천국에 가 만나자. 마음으로 사랑하여 잊지 못하는 신자들에게,
너희 이런 난시를 당하여 부디 마음을 허실히 먹지 말고 주야로 주은을 빌어,
삼구를 대적하고 군난을 참아 받아, 위주 관영하고 여등의 영혼 대사를 경영하라.
이런 군난 때는 주의 시험을 받아, 세속과 마귀를 쳐 덕공을 크게 세울 때니,
부디 환난에 눌려 항복하는 마음으로 사주 구령사에 물러나지 말고 오히려 지나간 성인 성녀의 자취를 만만 수치하여,
성교회 영광을 더으고 천주의 착실한 군사와 의자됨을 증거하고 비록 너희 몸은 여럿이나,
마음으로는 한 사람이 되어, 사랑을 잊지 말고 서로 참아 돌보고 불쌍히 여기며, 주의 긍련하실 때를 기다리라.
할 말이 무수하되, 거처가 타당치 못한다. 모든 신자들은 천국에 만나 영원히 누리기를 간절히 바란다.
내 입으로 너희 입에 대어 사랑을 친구하노라.
성 바울로 정하상의 「상재상서」에서
(정하상의 상재상서에서, 김남수 주교 편역)
종교도 어디서 왔거나 진정 거룩한 종교라면 어찌 이 나라 저 나라의 경계가 있겠습니까
천주께서 천지 만물을 만드신 목적은 우리에게 당신의 복을 내려 주시고, 당신의 착하심을 드러내시기 위해서입니다.
하늘을 만드시어 우리를 덮어 주시고 땅을 만드시어 그 위에 우리를 살게 하시고,
해와 달과 별들을 만드시어 우리를 비추시고 초목과 금수와 금은동철을 우리가 향유하고 사용하게 하셨습니다.
모태에서 태어나 장성할 때까지 가지가지 은혜가 이와 같이 한이 없으니. 인간의 마땅한 본분은 과연 어떠해야 하겠습니까?
만일 하늘을 머리에 이고 땅을 밟고 살면서 먹고 입기만 한다면 인류를 내신 분의 은덕을 저버리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예를 들어, 아버지가 집을 짓고 살림을 차려 아들에게 주어 쓰게 하였는데도 아들이 그 집에 살며 그 살림을 사용하면서도 제가 잘난 체하고,
부모를 섬기며 그 은덕에 보답할 도리와 근본을 모른다면 어찌 효도라 할 수 있겠습니까? 그것이 바로 불효가 아니겠습니까?
사람이 이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은 티끌에 이르기까지 모두 천주의 능력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우리를 내시고 기르시고 돌보시며 인도하십니다.
굳이 죽은 후에 받을 상을 말하지 않더라도 당장 지금 받고 있는 은혜가 극진하여 그분을 받들어 섬긴들 어찌 만 분의 일이나 보답한다 하겠습니까?
천주를 섬기는 일이 어려운 것도 아니려니와 은밀한 말을 들추어내거나 괴상한 일을 하는 것도 아니라,
오직 스스로의 잘못을 고치고 새로운 사람이 되어 천주의 계명을 지키려는 것뿐입니다.
사람의 목숨이 길다 해도 백 년을 넘기지 못하는데 자기 이익만을 탐하여 얻지 못할 것을 얻으려 애쓰고
이미 얻은 것을 잃지 않으려 걱정하는 사이에 어느덧 늙고 만다는 것을 모르고 있습니다.
이 몸이 한 번 죽으면 부귀 공명도 반드시 허무로 돌아가고 맙미다.
부귀 공명마저 일평생 애써도 얻지 못하는 것인데 이 헛된 꿈을 깨기가 그다지 어렵단 말입니까?
세상에 있을 때에 정신이 흐려져 깨닫지 못하다가 육신이 죽은 뒤에 뉘우친다 해도 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그러기에 목을 벨 도끼가 눈앞에 있고 몸을 삶을 가마솥이 제 뒤에 있어도 꿋꿋이 굽히지 않은 사람이 대대에 적지 않습니다.
이것도 참된 종교의 증거입니다.
교리의 참되고 거짓됨이나 사리의 바르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얼토당토 아니한 말로써 공격하고 배척하고 있으니,
그저 외국의 종교라 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고 무엇입니까?
금은 산지를 가리지 않고 순금이면 보배가 아니겠습니까?
종교도 어디서 왔거나 진정 거룩한 종교라면 어찌 이 나라 저 나라의 경계가 있겠습니까?
수명을 감하고 바쳐서 천주교의 참됨을 증거하고 천주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이 몸도 장차는 죽을 목숨이오니, 감히 말해야 할 이 시각을 만나 한 번 머리를 들고 길게 외치지 못하고 슬프게도 입을 다물고 죽어 버린다면
산같이 쌓인 회한을 장차 백 대 후세에 이르기까지 폭로할 길 없기에, 엎드려 청하오니,
지금 한 번 밝은 빛으로 굽어보시고, 도리가 참된지 거짓인지, 올바른지 그 릇된지 자세히 판단한 다음,
위로는 정부로부터 아래로는 백성에 이르기까지 일변하여 바른길로 돌아와, 금명을 풀고 체포하는 법을 거두며,
옥에 갇힌 사람들을 석방하고 온 백성이 모두 제 고향에 돌아가제 직업을 즐기면서 함께 평화를 누리게 해주시기를 천번 만번 바라고 또 바랍니다.
(정하상의 상재상서에서, 김남수 주교 편역)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
(이춘만1941-)2002년.186x74x60cm.명동성당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성 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 사제(1821-1846년)는 1821년 8월21일 충청도 솔뫼에서 천주교 신자 김제준이냐시오와 고우술라의 아들로 태어났다.
순교자인 증조부와 부친의 영성을 배우며 자라났다.
15세 때인 1836년 모방신부의 주선으로 최방제 프란치스꼬와 최양업 토마와 함께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중국 마카오에 가서 신학공부를 마쳤으나 연령 미달로 사제 서품을 받지 못하고 지내던 중,(1844년 부제품)1845년 1월, 어렵게 압록강을 건너 귀국하였다.
성인은 서울에 도착한 후 건강이 극도로 나빠졌으나 회복되기도 전에 전교신부을 영입하려는 목적으로 다시 상해로 떠난다.
상해에 도착한 성인은 1845년 8월17일 상해 부근 긴가함(金家巷)이라는 교우촌의 성당에서 페레올주교 집전으로 사제서품을 받아 한국인 최초의 사제가 되었다.
이후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를 모시고 귀국한 후 국내 선교활동에 힘쓰는 한편 외국 신부들의 입국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였다.
성인은 만주에서 기다리는 메스뜨로 신부 일행을 입국시키려고 활약하던 중,
1846년 6월5일 밤 백령도에서 중국 어선과 연락을 취하고 돌아오는 길에 순위도에서 체포되어 그의 행적이 세상에 알려졌다.
해주 감영과 서울에서 4차의 문초와 40차례의 심문을 받는 동안 김 신부의 탁월한 지식과 외국어 실력에 탄복한 일부 대신들은
배교시켜 인재로 등용하려고 했지만 이를 거절하고 관리들에게 복음을 전파하자 끝내 사형을 선고하였다.
성인은 하느님에 대한 믿음과 사랑의 정신을 만인들에게 일깨워 주고자 했다.
마침내 사제 생활 1년 1개월만인 1846년 9월16일 새남터에서 군문 효수형을 받고 순교하니, 이때 그의 나이 26세였다.
1925년 7월5일, 비오11세께서 김대건신부를 비롯 79명의 순교자를 시복하시고,
비오 12세는 1949년 한국에서 선교하는 모든 성직자들의 수호자로 선언하였으며,
요한 바오로2세는 1984년 5월6일에 서울에서 한국 순교자 103위 시성식을 거행하시고, 그를 한국의 대표성인으로 삼으셨다.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안드레아 김대건 사제 순교자 대축일:7월5일,게시판1255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성 바오로 정하상 ST.PAUL CHONG HASANG (1795∼1839)
성 바울로 정하상(丁夏祥)은 순교자인 정약종 아우구스띠노와 유세실리아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기도와 교리를 배워 깊은 신앙을 가졌으며, 한국천주교회 초기 평신도 지도자였다.
신유박해 때 부친과 친형 정철상가롤로(哲祥)가 1801년순교하자 나이 7세인 정하상은
누이동생 정혜와 어머니를 모시고 마재(馬재:경기도 양주군)의 큰 댁으로 내려왔다.
정하상은 어려서부터 어머니로부터 기도와 교리를 배웠다. 어머니 유체칠리아는 1839년 11월에 순교하였다.
20세에 서울로 올라와 목자 없는 조선교회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교회 재건을 모색하였다.
조증이 바르바라 집에 머물면서 교회를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하였고,
교리와 학문을 철저하게 익히기 위하여 함경도에 귀양 중에 있던 조동섬 유스티노에게 찾아가 수년간 학덕을 연마하기도 했다.
1801년 신유박해 이후, 흩어진 신자들을 찾아 신앙의 열기를 북돋우면서
북경에 가서 영세와 견진과 성체를 받고 주교에게 성직자 한분을 요청했으나 실패하였다.
그러나 실망하지 않고 계속해서 북경까지 9회, 변문까지는 11회나 왕래하였다.
1823년부터는 국내 교회의 실질적인 지도자의 일을 보면서,
유진길, 조신철 그리고 강진에 유배 가 있는 삼촌 정약용의 자문과 후원으로 끊임없이 성직자 영입 운동을 전개했다.
그들은 로마 교황에게 탄원서를 보내는 한편, 북경 주교에게도 서신 등을 보냄으로써
마침내 조선교회가 빠리 외방전교회에 위임되고,1831년 9월9일 자로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에 의해 조선 독립교구가 설정되었다.
성직자 영입에 지속적인 노력으로 유방제 신부와 샤스탕 신부를 비밀리에 모셨고,
1837년에는 조선교구 제2대 교구장인 앵베르 주교를 모셨다.
앵베르 주교는 학식과 덕망이 있는 정하상 바오로가 사제가 되기에 적당하다고 여겨 라틴어와 신학을 가르치던 중,
박해가 일어나자 그는 주교를 피신시키고 순교의 때를 기다렸던 것이다.
이때 그는 체포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재상서(上宰相書)를 작성했는데, 이것은 한국 최초의 호교론서(護敎論書)이며,
천주교의 교리를 설명하면서 박해를 중단시켜야 할 이유와 주장을 밝힌 훌륭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이 글에서 박해의 부당성을 뛰어난 문장으로 논박했기 때문에 조정에서까지 이 글에 대하여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
1839년 7월11일 포도청에 압송되어 배교와 샤스땅신부와 모방신부의 은신처를 대라는 고문을 당했으나 입을 열지 않았고,
두 신부가 자수한 다음 또 심문을 받고 세 차례의 고문을 받았다.
온갖 고통을 강인하게 참아 나간 모범을 보여 평신도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여유있게 나타내었다. 자신의 믿음을 순교로써 실증하였다.
피를 쏟는 형벌에도 태연자약하였고, 사형선고를 받고 형장으로 가면서도 얼굴에 기쁜 표정을 지녔다고 하니 신앙을 생활화한 산 표본이라 하겠다.
이리하여 1839년 9월22일, 서양신을 나라에 끌어들인 모반죄와 부도의 죄명으로 서소문 밖에서 순교하니, 그의 나이 45세였다.
한국 순교자 103위 성인(Sts. 103 Martyres Coreae)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천주교의 전파는 보통 사제들이나 선교사의힘으로 이루어졌는데, 우리나라는 그것과는 달리 한 권의 교리서가 그 인연이 되었던 것이다.
즉 학자 이 덕조(李德祚=이벽)가 중국에서 여러 가지 서적을 구입한 가운데 가톨릭 교리의 설명서인 천주실의(天主實義)가 한 권 있었다.
그는 신기하게 여겨 죽시 그 책을 읽고서 깊은 감명을 느끼고 곧 친구들과 상의하고 북경에 있는 대주교께 연락하여 문통(文通)으로서 연구를 계속하고,
1783년 12월에는 이승훈(李承薰)이 먼저 세례를 받고 그 본명을 베드로라 했으며, 이어서 다른 사람들도 다 영세 입교 했다.
이리하여 천주교는 신부도 없이 서로서로 전파되어 신자 수 4천 명에 이르렀다.
신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 그들은 북경에 있는 대주교께 사람으 보내어 신부를 파견해 줄 것을 간청했다.
이리하여 1793년 2월에 비로소 한국의 초대 신부로 중국인 주 문모(周文謨, 야고보)라는 이가 내한하여 신자들을 잘 다스렸다.
그러나 그는 1801년에 일어난 한국 최초의 박해 때 일찍이 순교하고 말았다.
그래서 신자들은 1825년 다시 로마에 계시는 교황 레오12세께 서한을 보내어 신부를 요청했던 바, 역시 중국인 유(劉)파치피코 신부가 내한했으며,
그 후 파리의 외방전교회(外邦傳敎會)가 한국 천주교회를 담당하게 되자 교회는 일약 활기를 띠게 되었다.
그런데 정부는 다시 금교령(禁敎令)을 내려 교회를 박해했다. 이 박해때에 물론 배교하는 자도 수명 있었으나,
대부분은 모든 고통을 하느님을 위해 잘 참고 훌륭히 신앙을 지키며 순교했다.
이러하여 1839년부터 1849년까지의 순교자들 중 79명이 선택되어 1925년 7월 5일에 복자위에 오르게 되었고 그 후
다시 1984년 5월 6일에 성인품에 올랐으나 이들은 우리나라 천주교에 혜성과 같이 광휘를 발하는 분들이다.
그 중에 성직자로서는 범세형 라우렌시오 앵베르 주교, 나 베드로 모방 신부, 정 야고보 샤스탕 신부, 김대건(金大建)안드레아 신부 4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75명은 다 평신도이며 신문 교우요, 또 특기할 것은 그 대부분이 연약한 부녀자 였다는 점이다.
그들의 신분은 여러 층이어서 위로는 귀족 양반으로부터 관리학자, 궁중의 시녀와 또한 귀여운 소년 소녀도 끼어 있다.
범 앵베르주교를 비롯하여 나 모방 신부, 정 샤스탕 신부 등 프랑스인 성직자들은 1836년에서 37년 사이에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박해의 나라인 줄 알고 부임했던 그들은 이미 생명을 바치기르 각오한 것은 물론이다.
그들은 공공현히 성무를 집행할 수 없게 되자 은신하여 몰래 신자들을 찾아가 성사를 주며 전국을 순회하고 있었는데,
어느새 신자쁜 아니라 외인들과 관헌들까지도 이를 알게 되었다. 그러나 다행히 이곳 저곳에서 하루 이틀 묵는 관계로 쉽게 거처를 알아낼 수가 없었다.
그래서 관리는 계교를 꾸며 서울에 있는 냉담자인 김 여삼(金汝三)을 돈으로 매수하여 그를 시켜 주교의 행방을 찾게 했다.
물욕에 눈이 어두운 유다스 김여삼은 우선 주교의 은신처와 다른 두 신부의 거처도 탐지하여 관가에 밀고했으므로 두 분은 즉시 체포되었다.
이들은 여러 재판소에 끌려나가 잔학한 관리들의 무도한 고문을 받고 마침내 1839년 9월 21일에 서울 부근의 새남터에서 용감히 참수 순교했다.
그 유해는 근처에 있는 노고산(老姑山)에 매장했다가 후에 삼성산(三聖山)이란 곳에 이장했다.
이 세 분은, 한국인 신부가 교회를 다스리게 되면 박해를 멈출 것이라 생각하고 독실한 소년 세 명을 선택하여 중국에 있는 마카오에 보내어 신학을 공부하게 했다.
그 중 한명은 공부 도중에 병에 걸려 사망사고 안드레아 김대건은 초대의 한국인 신부로서 활약하다가 영광의 순교를 했다.
그 부친 김제준(金濟俊)이냐시오도 1839년 9월 26일에 참수 순교하여 성인이 되었다.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는 귀국 후 숨어서 전교하다가 얼마 안 되어 관리에 발각 되었다.
배교를 강요당하며 고문을 받자 그는 용감하게도 관리들에게 교리를 설명하며 그들의 비법을 책하였던 바,
1846년 9월 26일 마침내 참수 순교하여 그 귀중한 생명을 하느님께 바쳤다.
그후 다시 거센 박해의 바람이 일었으니 대원군 집권기인 1866년부터 1871년까지 병인 박해가 그것이다.
이때의 박해로 말미암아 근 1만명에 가까운 신자들이 순교하게 되었는데, 순교 성인 24위가 순교한 것은 1866년 병인 대 박해 때의 일이다.
병인 대 박해의 첫 희생자는 평양교우 유정률 베드로였다.
이 박해가 서울에까지 번지면서 교회 서적 간행에 힘을 기울이니 최형 베드로와 전장운 요한, 이선이 등을 잡아들였다.
그리고 2월 23일에는 배교한 이선이의 밀고로 시메온 베르뇌 장주교와 홍봉주가 잡혔고 25일에는 남종삼 요한을 잡아들이라는 명이 내려졌다.
바로 이날 유스토 브르트니에르 백신부와 우세영 알렉시오, 정의배 마르코 등이 잡혔다.
이렇게 시작된 박해는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가서 시작된 지 한 달도 채 안되어 위에서 말한 주교와 신부 외에도 헨리코 도리 김신부,
루가 위앵 민신부, 볼리외 루도비코 서신부, 안토니오 다블뤼 안주교, 베드로 오매트로 오신부 등이 계속해 잡혀들었다. 이들은 모두 3월 30일까지 참수 순교했다.
이들과 함께 홍봉주 토마스, 남종삼 요한, 전장운 요한, 최형 베드로, 황석두 루가 등 많은 교유들도 순교했다.
이렇게 해서 박해는 일단락 되었으나 다시 그해 말에 박해가 전국적으로 재개되면서 성인품에 오른 조화서 베드로, 조원호 요셉 부자 등 많은 교우들이 순교했다.
이 거룩한 순교자들의 피로 오늘의 한국 교회가 자라왔고 또 앞으로도 더욱 튼튼히 자라가게 될 것이다.
최경환프란치스코 성인의 생애
1805년 충청도 홍주 다래골에서 출생
신앙생활을 위해 고향을 떠나 수리산에 정착
기해박해(1839년)때 공소회장으로 임명됨
1839년 7월 31일 온 가족과 함께 체포됨
감옥에서 혹독한 형벌에도 믿음을 증거함
1839년 9월 12일 장독(杖毒)으로 옥사함
1984년 5월 6일 성인품에 오름
"예수께 내 몸을 바치고
도끼날에 목을 잘리는 것이 소원이었으나
옥중에서 죽는 것을 천주께서 원하시니
천주의 성의(聖意)가 이루어지이다."
라고 말한 후 몇시간 뒤 숨을 거두니,
때는 1839년 9월 12일 이요, 나이는 35세였다.
최경환 프란치스코 성인은
한국의 두 번째 사제인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부친으로,
모진 고문에도 불구하고 용감히 신앙을 증거하다 옥에서 순교함
성 유대철 베드로(1826-1839)
1839.10.31 순교.소년성인.
축일:10월31일.게시판725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소년 성인 유대철(劉大喆)은 성인 유진길의 아들로 어려서 아버지의 모범과 가르침을 받아 입교하여 열심한 신앙생활을 하였다.
성 유진길아오스딩(劉進吉,1791-1839)의 집안은 대대로 벼슬하는 서울의 유명한 역관(譯官) 중인 집안 이었다.
천주교에 대해 적대시하고 방해하는 어머니와 누나에게 끊임없는 괴로움을 당했는데,
그때 마다 어머니에 대한 효성을 보여주었으나 신앙에 대해서는 양보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와 누나를 위해 항상 기도했다.
1839년 기해 박해가 일어나자 많은 교우들의 순교사실과 아버지의 체포소식을 듣고 순교하기로 결심하여 자수하였다.
재판관들은 어린 소년을 배교시키기 위해 천만 가지 방법을 다 사용하였지만,
소년 유베드로의 마음은 변치 않았으며,배교시키기 위한 갖은 방법에도 변함없이 오히려 의연한 모습을 보여주어 형리들을 놀라게 하였다.
어린 나이로 견디기 어려운 혹형과 고문을 이겨냈다. 허벅지의 살을 뜯어내며 "이래도 천주주교를 믿겠느냐?"하고 으름장을 놓는 형리에게 "믿고 말고요.
그렇게 한다고 제가 하느님을 버릴 줄 아세요?"라고 대답했다.
화가 난 형리가 다시 시뻘건 숯덩이를 입에 넣으려 하자 "자요"하고 입을 크게 벌려 형리들을 놀라게 하였다.
이처럼 견디기 어려운 형벌과 매질로 늘 온몸이 피투성이가 되었으나 항상 만족스럽고 평화로운 표정을 띠었다.
관원들은 어린 소년을 공공연하게 죽이면 군중이 반발할까 두려워 1839년 10월 31일,
형리들을 옥 안으로 들여보내 상처 투성이가 된 그 가련한 작은 몸뚱이를 움켜잡고 목에 노끈을 잡아매어 죽이도록 하였다.
가장 어린 순교 소년 유대철은 아버지와 함께 순교하여, 우리 민족의 모든 어린이들의 신앙적인 모범이 되었다.이때의 나이는 14세 이었다.
순교자 강완숙과 성 김효임, 성 김효주
월전 장우성(月田 張遇聖, 1912- )
1949년, 종이에 채색, 185×108cm, 바티칸 인류복음화성 고문서고
▶성화 해설
교리서를 펼쳐들고 서 있는 강완숙 골롬바(1760~1801)는
우리 교회 최초의 여성회장으로서 주문모 신부를 도와 복음 선포를 위해 활동하다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다.
그 옆에는 묵주를 들고 서 있는 성 김효임 골롬바(1814~1839)와 무릎을 꿇은 성 김효주 아녜스(1816~1839) 동정녀 자매가 있다.
바닥에 놓인 백합은 순결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들이 하느님께 자신을 온전히 봉헌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4대 박해-가톨릭대사전에서
1.신해박해.辛亥迫害.1791년.윤지충 사건
1791년(辛亥, 正祖 15년)에 있었던 박해.
전라도 진산에서 윤지충(尹持忠)과 그의 외종사촌 권상연(權尙然)이 제사를 폐하고 신주(神主)를 불태운 이른바 진산사건(珍山事件)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12월 8일(음 11월 13일) 윤지충과 권상연이 참수되고, 이승훈은 배교했음에도 불구하고 면직되고, 권일신은 유배가는 도중 사망하고,
그외의 교우들은 배교하고 석방됨으로써 박해는 일단락 되었다.
그러나 그 결과 서학서의 구입이 금지되고 또 이미 들여온 홍문관(홍문과)의 서학서도 불 태워지는 등 천주교에 대한 탄압이 더욱 강화되었다.
2.신유박해.莘酉迫害.1801년.
1801년(신유년)에 일어난 천주교인에 대한 박해, 1800년(정조 24년) 6월(음) 천주교에 대한 비교적 온화한 정책을 써왔던 정조가 승하하자,
모든 정세는 천주교와 남인에게 더욱 불리하게 되었다.
정조의 뒤를 이어 순조(順祖)가 겨우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게 되고,
대왕대비(大王大妃) 정순왕후(貞純王后) 김씨는 섭정이 되어 모든 정사를 마음대로 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왕대비는 원래가 노론벽파(老論僻派)에 속해 있었으므로, 집권하게 되자 천주교도들과 남인 시파(詩派)를 일망타진하려 하였다.
신유박해로 교회의 지도급 인사들이 거의 사라졌을뿐만 아니라 살아남은 교인들도 유배를 당했거나
생명유지를 위해 산가벽지로 피신하지 않을 수 없어 거의 빈사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천주교회 는 그 후에도 전국적인 규모는 아닐지라도 크고 작은 박해를 끊임없이 받으면서,
신앙을 굳게 지켜나갔고, 선교사를 다시 영입하려는 시도를 계속했다.
3.기해박해. 1839년☆기해박해의 순교자들과 한국 천주교회 초기의 모습 ☆
1801년에 일어난 신유박해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천주교에 대한 박해는
1839년(헌종 5년)에 이르러 다시 시작되었다. 1839년이 기해년이었기에,이 때의 박해를 흔히 기해박해라 한다
기해박해 때에는 조선에 들어와 활약하던 앵배르(Imbert)주교와 모방(Maubant)신부 샤스탕(Chastan) 신부 등
3명의 불란서 선교사와 더불어 모두 114명 이상의 신자가 순교를 하였다.
기해년의 박해가 일어나자 앵배르 주교는 순교자들의 사적을 기록하기 시작하였으며, 자신도 곧 체포될 것을 예감하고
그는 정하상과 현석문에게 순교자의 사적을 면밀히 조사하여 기록하는 일을 계속하도록 명하였다.
이 일을 부탁받았던 정하상은 곧 체포되어 처형되었지만,
현석문은 숨어 다니며 교우들로부터 모아들인 기해박해 순교자들의 자료를 정리하고 기록하여 {기해일기}란 책을 완성하였다.
이 {기해일기}는 한동안 실전되었다가,
1904년경 당시 제8대 조선교구장으로 임명된 뮤텔(Mutel)주교에 의해 한글본이 발견되어 이듬해인 1905년에 그대로 출판되었다.
이 {기해일기}에 의하면 당시에 순교한 사람이 모두 114명이 넘었다고 되어 있으나, 여기에는 78명의 순교사기만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해일기}는 그 사료적인 정확성이 입증되어 여기에 기록된 78명 가운데 69명이 1925년 7월 5일에 복자위에 올랐으며,
이들은 1984년에 성인품에 오르게 되었던 것이다.
한국순교자연구소www.rimartyrs.pe.kr에서
4.병인박해.丙寅迫害.1866년-1873년
조선조 말기인 1866년(高宗 3년)에 시작되어 1873년 대원군이 실각할 때까지 계속되었던 박해를 말한다.
피로 얼룩진 한국 교회사를 통해서도 병인박해는 그 규모와 가혹함과 희생자의 수에 있어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대박해였다.
이 박해의 주요 원인은 유교사상에 젖은 보수지배충의 서학(西學)에 대한 사갈시(蛇蝎視), 즉 천주교에 대한 이교도들의 증오심에서 발작한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척사(斥邪)를 요구한 박해자들은 "천주교 신자들이 윤리 도덕을 무시하고, 아비와 임금도 안중에 없으며 죽음을 가장 영광스럽게 여기는 족속으로,
재물을 가지고 사람을 유인한다"고 하여, 동양윤리의 이단자요 모든 악의 전형으로 몰았다.
위정자들은 또 신유년(辛酉年, 1801년)의 이른바 황사영 백서(黃飼永帛書) 사건을, 한 교인의 생각이 아니고 프랑스의 군사력을 끌어들이는 것은
천주교의 신조인 것처럼 몰아세워 보수적인 배외사상(排外思想)을 부추기는데 이용하였다.
◆ 한국성인 ◆ 한자 韓國聖人
한국 교회의 103명의 성인을 총칭하는 말이다. 103명 중 79명은 1925년에, 그리고 24명은 1968년에 시복(諡福)된 후 1984년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에 즈음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5월 6일 모두 시성(諡聖)됨으로써 성인품(聖人品)에 올랐다. 한국성인의 축일은 9월 20일이고, 축일의 명칭은 ‘성 안드레아 김대건과 바오로 정하상과 동료 순교자’이다. 103명의 성인 중에는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 10명의 선교사(3명의 주교와 7명의 신부)도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국적이 비록 프랑스일지라도 그들은 한국의 선교사로서, 한국인의 구원을 위해 그들의 목숨을 바쳤으므로 그들 역시 당연히 한국 교회에 속하는 성인들이다.
이상 10명의 선교사를 제외한 93명을 순교시기로 구별할 때 1839년 즉 기해박해 때의 순교자가 67명, 1846년 즉 병오박해 때의 순교자가 9명, 1866년 즉 병인박해 때의 순교자가 17명이다.
기해박해의 순교자는 이호영 베드로, 정국보 프로타시오, 김아기 아가다, 박아기 안나, 이 아가다, 김업이(金業伊) 막달레나, 이광헌(李光獻) 아우구스티노, 한(韓)아기 바르바라, 박희순(朴喜順) 루시아, 남명혁(南明赫) 다미아노, 권득인(權得仁) 베드로, 장(張)성진 요셉, 김 바르바라, 이 바르바라, 김 로사, 김성임(金成任) 마르타, 이매임(李梅任) 데레사, 김장금(金長金) 안나, 이광렬(李光烈) 요한, 이영희(李英喜) 막달레나, 김 루시아, 원귀임(元貴任) 마리아, 박 큰아기 마리아, 권희(權喜) 바르바라, 박후재(朴厚載) 요한, 이정희(李貞喜) 바르바라, 이연희(李連熙) 마리아, 김효주(金孝珠) 아녜스, 최경환(崔京煥) 프란치스코, 정하상(丁夏祥) 바오로, 유진길(劉進吉) 아우구스티노, 허계임(許季任) 막달레나, 남이관(南履灌) 세바스티아노, 김 율리에타, 전경협(全敬俠) 아가다, 조신철(趙信喆) 가롤로, 김제준(金濟焌) 이냐시오, 박봉손(朴鳳孫) 막달레나, 홍금주(洪今珠) 페르페투아, 김효임(金孝任) 골룸바, 김 루시아, 이 가타리나, 조(趙) 막달레나, 유(劉)대철 베드로, 조증이(趙曾伊) 바르바라, 한영이(韓榮伊) 막달레나, 현경련(玄敬連) 베네딕타, 정정혜(丁情惠) 엘리사벳, 고순이(高順伊) 바르바라, 이영덕(李榮德) 막달레나, 김 데레사, 이 아가다, 민(閔)극가 스테파노, 정(鄭)화경 안드레아, 허(許)임 바오로, 박종원(朴宗源) 아우구스티노, 홍병주(洪秉周) 베드로, 손소벽(孫小碧) 막달레나, 이경이(李瓊伊) 아가다, 이인덕(李仁德) 마리아, 권진이(權珍伊) 아가다, 홍영주(洪永周) 바오로, 이문우(李文祐) 요한, 최영이(崔榮伊) 바르바라, 김성우(金星禹) 안토니오 등이다. 이들 중에는 1839년을 전후하여 이미 1838년에 순교한 이도 있고, 또 1840년과 1841년에 순교한 이들도 있다. 그러나 ‘기해박해’의 순교자라고 할 때 이들까지 포함해서 하는 말이다.
병오박해의 순교자는 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 신부를 위시하여 현석문(玄錫文) 가롤로, 남경문(南景文) 베드로, 한이형(韓履亨) 라우렌시오, 우술임(禹述任) 수산나, 임치백(林致百) 요셉, 김임이(金任伊) 데레사, 이간난(李干蘭) 아가다, 정철염(鄭鐵艶) 가타리나 등이다.
병인박해의 순교자는 유정률(劉正律) 베드로, 남종삼(南鍾三) 요한, 전장운(全長雲)요한, 최형(崔炯) 베드로, 정의배(丁義培) 마르코, 우세영(禹世英) 알렉시오, 장주기(張周基) 요셉, 황석두(黃錫斗) 루가, 손(孫)자선 토마스, 정(鄭)문호 바르톨로메오, 조화서 베르로, 손(孫)선지 베드로, 이명서 베드로, 한원익(韓元益) 요셉, 정(鄭)원지 베드로, 조윤호 요셉, 이윤일 요한 등이다.
한국성인들의 신분과 직업은 아주 다양하다. 신분으로 말하면 양반, 중인, 상민 등이 골고루 섞여 있어 승지(承旨)나 선공감(繕工監)과 광흥창(廣興倉)의 관리, 군인, 궁녀 등이 있는가 하면, 상업, 농업, 약국, 인쇄, 서사업(書寫業), 심지어는 짚신을 삼고 길쌈과 삯바느질 등으로 생계를 간신히 유지한 사람들이 많다. 집안 형편은 거의가 가난하고 궁핍한 편이었으나 최경환, 김효주, 유진길, 김제준, 정화경, 김성우, 임치백 등과 같이 부유한 편의 집안도 있었다.
한국성인 93명 중 성직자는 유일하게 김대건 신부뿐이고 나머지 92명은 모두 평신도이다. 그러므로 한국성인의 교회활동과 순교는 그 자체가 한국 교회 평신도상이요 평신도적 영성(靈性)을 나타낸 것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닌 것이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성녀 김효주아녜스와 김효임골롬바
♬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 노래 -가톨릭성가 287번
Santi Andrea Kim Taegon, Paolo Chong Hasang e compagni Martiri coreani
20 settembre - Memoria
L'azione dello Spirito, che soffia dove vuole, con l'apostolato di un generoso manipolo di laici è alla radice della santa Chiesa di Dio in terra coreana. Il primo germe della fede cattolica, portato da un laico coreano nel 1784 al suo ritorno in Patria da Pechino, fu fecondato sulla meta del secolo XIX dal martirio che vide associati 103 membri della giovane comunità. Fra essi si segnalano Andrea Kim Taegon, il primo presbitero coreano e l'apostolo laico Paolo Chong Hasang. Le persecuzioni che infuriarono in ondate successive dal 1839 al 1867, anziché soffocare la fede dei neofiti, suscitarono una primavera dello Spirito a immagine della Chiesa nascente. L'impronta apostolica di questa comunità dell'Estremo Oriente fu resa, con linguaggio semplice ed efficace, ispirato alla parabola del buon seminatore, del presbitero Andrea alla vigilia del martirio. Nel suo viaggio pastorale in quella terra lontana il Papa Giovanni Paolo II, il 6 maggio 1984, iscrisse i martiri coreani nel calendario dei santi. La loro memoria si celebra nella data odierna, perché un gruppo di essi subì il martirio in questo mese, alcuni il 20 e il 21 settembre. (Mess. Rom.)
Etimologia: Andrea = virile, gagliardo, dal greco
Emblema: Palma
La Chiesa coreana ha la caratteristica forse unica, di essere stata fondata e sostenuta da laici; infatti agli inizi del 1600 la fede cristiana comparve in Corea tramite le delegazioni che ogni anno visitavano Pechino in Cina, per uno scambio culturale con questa Nazione, molto stimata in tutto l’Estremo Oriente.
E in Cina i coreani vennero in contatto con la fede cristiana, portando in patria il libro del grande padre Matteo Ricci “La vera dottrina di Dio”; e un laico, Lee Byeok grande pensatore, ispirandosi al libro del famoso missionario gesuita, fondò una prima comunità cristiana molto attiva.
Intorno al 1780, Lee Byeok pregò un suo amico Lee-sunghoon, che faceva parte della solita delegazione culturale in partenza per la Cina, di farsi battezzare e al ritorno portare con sé libri e scritti religiosi adatti ad approfondire la nuova fede.
Nella primavera del 1784 l’amico ritornò con il nome di Pietro, dando alla comunità un forte impulso; non conoscendo bene la natura della Chiesa, il gruppo si organizzò con una gerarchia propria celebrando il battesimo e non solo, ma anche la cresima e l’eucaristia.
Informati dal vescovo di Pechino che per avere una gerarchia occorreva una successione apostolica, lo pregarono di inviare al più presto dei sacerdoti; furono accontentati con l’invio di un prete Chu-mun-mo, così la comunità coreana crebbe in poco tempo a varie migliaia di fedeli.
Purtroppo anche in Corea si scatenò ben presto una persecuzione fin dal 1785, che si incrudeliva sempre più, finché nel 1801 anche l’unico prete venne ucciso, ma questo non bloccò affatto la crescita della comunità cristiana.
Il re nel 1802 emanò un editto di stato, in cui si ordinava addirittura lo sterminio dei cristiani, come unica soluzione per soffocare il germe di quella “follia”, ritenuta tale dal suo governo. Rimasti soli e senza guida spirituale, i cristiani coreani chiedevano continuamente al vescovo di Pechino e anche al papa di avere dei sacerdoti; ma le condizioni locali lo permisero solo nel 1837, quando furono inviati un vescovo e due sacerdoti delle Missioni Estere di Parigi; i quali penetrati clandestinamente in Corea furono martirizzati due anni dopo.
Un secondo tentativo operato da Andrea Kim Taegon, riuscì a fare entrare un vescovo e un sacerdote, da quel momento la presenza di una gerarchia cattolica in Corea non mancherà più, nonostante che nel 1866 si ebbe la persecuzione più accanita; nel 1882 il governo decretò la libertà religiosa.
Nelle persecuzioni coreane perirono, secondo fonti locali, più di 10.000 martiri, di questi 103 furono beatificati in due gruppi distinti nel 1925 e nel 1968 e poi canonizzati tutti insieme il 6 maggio 1984 a Seul in Corea da papa Giovanni Paolo II; di questi solo 10 sono stranieri, 3 vescovi e 7 sacerdoti, gli altri tutti coreani, catechisti e fedeli.
Di seguito diamo un breve tratto biografico dei due capoelenco liturgico del gruppo dei 103 santi martiri: Andrea Kim Taegon e Paolo Chong Hasang.
Andrea nato nel 1821 da una nobile famiglia cristiana, crebbe in un ambiente decisamente ispirato ai principi cristiani, il padre in particolare aveva trasformato la sua casa in una ‘chiesa domestica’, ove affluivano i cristiani ed i neofiti della nuova fede, per ricevere il battesimo, scoperto tenne con forza la sua fede, morendo a 44 anni martire.
Aveva 15 anni quando uno dei primi missionari francesi arrivati in Corea nel 1836, lo inviò a Macao per prepararlo al sacerdozio. Ritornò come diacono nel 1844 per preparare l’entrata del vescovo mons. Ferréol, organizzando una imbarcazione con marinai tutti cristiani, andando a prenderlo a Shanghai, qui fu ordinato sacerdote e insieme, di nascosto con un viaggio avventuroso, penetrarono in Corea, dove lavorarono insieme sempre in un clima di persecuzione.
Con la nobiltà del suo atteggiamento, con la capacità di comprendere la mentalità locale, riuscì ad ottenere ottimi risultati d’apostolato. Nel 1846 il vescovo Ferréol lo incaricò di far pervenire delle lettere in Europa, tramite il vescovo di Pechino, ma durante il suo incontro con le barche cinesi, fu casualmente scoperto ed arrestato.
Subì gli interrogatori e gli spostamenti di carcere prima con il mandarino, poi con il governatore e giacché era un nobile, alla fine con il re e a tutti manifestò la fedeltà al suo Dio, rifiutando i tentativi di farlo apostatare, nonostante le atroci torture; alla fine venne decapitato il 16 settembre del 1846 a Seul; primo sacerdote martire della nascente Chiesa coreana.
Paolo Chong Hasang. Eroico laico coreano, era nato nel 1795 a Mahyan, il padre Agostino e il fratello Carlo vennero martirizzati nel 1801, la sua famiglia composta da lui, la madre Cecilia e la sorella Elisabetta, venne imprigionata e privata di ogni bene, furono costretti ad andare ospiti di un parente, ma appena gli fu possibile si trasferì a Seul aggregandosi alla comunità cristiana; perlomeno quindici volte andò in Cina a Pechino in viaggi difficilissimi fatti a piedi, spinto dall’eroismo di una fede genuina, professata nonostante i gravi pericoli.
Collaborò alacremente affinché il primo sacerdote Yan arrivasse in Corea e poi dopo di lui i missionari francesi: il vescovo Imbert ed i sacerdoti Maubant e Chastan.
Fu accolto con la madre e la sorella dal vescovo Imbert, il quale desiderava farlo diventare sacerdote, ma la persecuzione infuriava e un apostata li tradì, facendoli imprigionare.
Paolo Chong Hasang venne interrogato e torturato per fargli abbandonare la religione straniera a cui si era associato, ma visto la sua grande fermezza, venne condannato e decapitato il 22 settembre 1839, insieme al suo caro amico Agostino Nyon, anche lui firmatario di una petizione al papa per l’invio di un vescovo in Corea. Anche la madre e la sorella vennero uccise dopo alcuni mesi.
Il vescovo e i due sacerdoti delle Missioni Estere di Parigi, vennero decapitati anche loro nel 1839.
Per brevità di spazio si omettono i nomi degli altri 101 santi martiri che sono comunque consultabili nell’"Index ac Status Causarum"; Città del Vaticano, 1999, pag. 633-635.
Autore: Antonio Borrell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1-Aug-2002
Letto da 3756 persone
Martyrs of Korea
Memorial
20 September
Profile
There are 103 martyrs in this group, priests, missionaries and lay people who died in the early days of the Church in Korea. Most were murdered during waves of persecutions in 1839, 1846 and 1867. They include:
Agatha Chon Kyonghyob
Agatha Kim
Agatha Kwon Chini
Agatha Yi Kannan
Agatha Yi Kyong-i
Agatha Yi Sosa
Agatha Yi
Andrew Kim Taegon
Cecilia Yu
Jung Hye
Paul Chong Hasang
Agnes Kim Hyoju
Alex U Seyong
Andrew-Chong Kwagyong (catechist)
Anna Kim
Anna Pak A-gi
Anna Pak Agi
Anthony Daveluy (bishop)
Anthony Kim Son-u
Augustine Pak Chong-won
Augustine Yi Chin-gil
Augustine Yi Kwang-hon
Barbara Ch'oe Yong-i
Barbara Cho Chung-i
Barbara Han Agi
Barbara Kim
Barbara Ko Suni
Barbara Kwon Hui
Barbara Yi Chong-hui
Barbara Yi
Bartholomew Chong Munho
Benedicta Hyon Kyongnyon
Catherine Chong Ch'oryom
Catherine Yi
Charles Cho Shin-ch'ol
Charles Hyon Songmun
Columba Kim Hyo-im
Columba Kim
Damianus Nam Myong-hyog (catechist)
Damien Nam Myong-hyok
Elisabeth Chong Chong-hye (virgin)
Francis Ch'oe Hyong-hwan
Ignatius Kim Chejun (catechist)
Jacob Chastan (priest)
John Baptist Chong Chang-un (catechist)
John Baptist Nam Chongsam
John Baptist Yi Kwangnyol (catechist)
John Nam Chong-sam
John Pak
John Yi Kwong-hai
John Yi Munu
John Yi Yunil (catechist)
Joseph Chang Chugi (priest)
Joseph Chang Songjib
Joseph Cho Yunho
Joseph Im Ch'ibaeg
Joseph Peter Han Wonso (catechist)
Juliet Kim (virgin)
Justin de Bretenières (priest)
Lawrence Han Ihyong (catechist)
Lawrence Imbert (bishop)
Lucia Kim
Lucia Park Huisun
Ludovicus Beaulieu (priest)
Luke Hwang Soktu
Magalena Ho Kye-im
Magdalene Cho
Magdalene Han Yong-i
Magdalene Kim Obi
Magdalene Pak Pongson (widow)
Magdalene Son Sobyog
Magdalene Yi Yong-hui
Magdalene Yi Yongdog
Maria Park K'unagi
Maria Won Kwi-im (virgin)
Maria Yi Indog
Maria Yi Yonhui
Mark Chong Uibae (catechist)
Martha Kim
Martin Luke Huin (priest)
Mary Yi Yon-hui
Paul Ho
Paul Hong Yongju (catechist)
Perpetua Hong Kumju (widow)
Peter Aumaitre (priest)
Peter Ch'oe Ch'ang-hub (catechist)
Peter Ch'oe Hyong (catechist)
Peter Cho Kwaso
Peter Chong Wonji
Peter Henricus Dorie (priest)
Peter Hong Pyongju
Peter Kwon Tugin
Peter Maubant (priest MEP)
Peter Nam Kyongmun (catechist)
Peter Ryau
Peter Son Sonji (catechist)
Peter Y Taech'ol
Peter Yi Hoyong
Peter Yi Myongs
Peter Yu Chongyul (catechist)
Peter Yu Tae-Chol
Protasius Chong Kurbo
Rosa Kim (widow)
Sebastian Nam
Simon Berneux (bishop)
Stephen Min Kukka (catechist)
Susanna U Surim
Teresa Kim Imi
Teresa Kim
Teresa Yi Mae-im
Thomas Son Chason
Died
1839 - 1867
Canonized
6 May 1984 by Pope John Paul II
ANDREW KIM TAEGON
Also known as
Andrew Kim
Memorial
20 September
Profile
Korean nobility; his parents were converts, his father a martyr. Andrew was baptized at age 15, then travelled 1,300 miles to the nearest seminary in Macao. He became Korea's first native priest, and the first priest to die for the faith in Korea. Leader of the Martyrs of Korea.
Born
Korean
Died
tortured and beheaded in 1846 at Seoul, Korea
Name Meaning
strong, manly (Andrew)
Beatified
1925
Canonized
6 May 1984 by Pope John Paul II
Patronage
Korean clergy
Prayers
O God, You have created all nations and You are their salvation. In the land of Korea Your call to Catholic faith formed a people of adoption, whose growth You nurtured by the blood of Andrew, Paul and their companions. Through their martyrdom and their intercession grant us strength that we too may remain faithful to your commandments even until death. Amen.
Readings
The Korean Church is unique because it was founded entirely by laypeople. This fledgling Church, so young and yet so strong in faith, withstood wave after wave of fierce persecution. Thus, in less than a century, it could boast of 10,000 martyrs. The death of these many martyrs became the leaven of the Church and led to today's splendid flowering of the Church in Korea. Even today their undying spirit sustains the Christians of the Church of Silence in the north of this tragically divided land.
Pope John Paul II at the canonization of Andrew in 1984
PAUL CHONG HASANG
Memorial
20 September
Profile
Son of Yak Jong Church who was martyred in 1801 in the persecution of Shin-Yu, an attack on the faith that killed all the clergy in the country. Son of Saint Yu Cecilia; brother of Saint Jung Hye. Paul, though a layman, reunited the scattered Christians, and encouraged them to keep their faith and live their faith. Wrote the Sang-Je-Sang-Su which explained to the Korean government why the Church was no threat to them. He crossed into China nine times, working as a servant to the Korean diplomatic corps. Once he was there, he worked to get the bishop of Beijing to send more priests to Korea. He pleaded directly to Rome for help, and on 9 September 1831, Pope Gregory X proclaimed the validity of the Korean Catholic diocese. When the clergy began to return, Paul entered the seminary. However, he died in the Gi Hye persecution of 1839 before he could be ordained. One of the great founders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Born
1795
Died
martyred on 22 September 1839
Beatified
6 June 1925
Canonized
6 May 1984 by Pope John Paul II
Additional Information
Saint Paul Chong Hasang Catholic Church, Des Plaines, Illinois, USA
JUNG HYE
Memorial
20 September
Profile
Daughter of Yak Jong Church who was martyred in 1801 in the persecution of Shin-Yu, an attack on the faith that killed all the clergy in the country. Daughter of Saint Yu Cecilia; sister of Saint Jung Hye. One of the Martyrs of Korea.
Beatified
6 June 1925
Canonized
6 May 1984 by Pope John Paul II
CECILIA YU
Also known as
Cecilia Yu Sosa
Memorial
20 September
Profile
Mother of Saint Paul Chong Hasang and Saint Jung Hye. One of the Martyrs of Korea.
Beatified
6 June 1925
Canonized
6 May 1984 by Pope John Paul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