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자유게시판
Church in China is showing signs of hope, cardinal tells priests

중국에 있는 교회가 희망의 싹을 보여주고 있다고 추기경은 사제들에게 말하였다

By Carol Glatz
Catholic News Service( 캐롤 글라츠/ 가톨릭 뉴스 서비스 )

VATICAN CITY (CNS) -- While there are signs of hope for Catholics in China, today is still "more a time of sowing than of reaping," said the Vatican secretary of state in a letter to priests in China.



바티칸시티(cns)-바티칸 국무성장관은 중국의 사제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중국에서 가톨릭의 희망의 싹이 보이고 있지만 아직은 추수의 때가 아니라 눈 내리는 시기다라고 말하였다.



Cardinal Tarcisio Bertone said efforts for reconciliation within the Catholic community and for "a respectful and constructive dialogue" with government authorities in China have led to signs of hope despite the "persisting difficulties."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추기경은 중국에서의 가톨릭 공동체의 화해와 정부기관과의 "바람직하며 건설적인 대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희망의 싹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하였다


However, even two years after the publication of Pope Benedict XVI's letter to the Church in China, "it does not seem that the time has come to make definitive eval!uations," wrote the cardinal. "I believe we can say that it is still more a time of sowing than of reaping."

그러나 중국교회에 보내는 베네딕토16세의 편지의 공표이후 2년이 흘렀음에도 결정적인

결과가 있지는 않다'. 추기경은 이렇게 쓰고 있다 "나는 우리가 추수기가 아니라 눈이

내리는 시절을 지나고 있다고 믿는다"

To help mark the Year for Priests, Cardinal Bertone sent a letter to all priests of the Catholic Church in China. Dated Nov. 10, the letter was released to journalists by the Vatican Nov. 16.
'사제들의 해'를 기념하면서 베르토네 추기경은 중국의 모든가톨릭 사제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11월 10일자의 그 편지는 11월 16일 바티칸에 의하여 언론에 배포되었다.



The cardinal touched on the many duties and challenges facing priests and how pastors in China could better minister to their people and continue efforts for reconciliation with Catholic clergy who are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but have not requested recognition from the pope.


추기경은 중국에 있는 사제들이 직면한 많은 의무와 도전들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그들이 그들의 교구민들을 더 잘 사목하고 정부에 의해 임명되었으나 사도좌의 임명은 요청하지 않는 가톨릭 사제들과의 화해를 위한 노력을 계속할것을 언명하였다.


Catholics in China are "a tiny flock" among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either believe in other religions or are indifferent or even hostile toward God and religion, he wrote.
중국의 가톨릭은 하느님에 적대적이거나 종교에 무관심하거나 또는 다른 종교를 믿는 거대한 인구 가운데의 "한 작은 무리"이다라고 추기경은 적었다.


It can be easy for clergy to be overwhelmed by all that they must do, the letter said.
사제가 그 자신이 해야만하는 모든 일에 압도당하는 것은 당연할 수있다. 라고 편지는 말한다.


Yet there are some very practical ways priests can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he said, for example:

하지만 사제가 가치 있는 기여을 할수 있는 아주 현실적인 방법들이 있다고 말하면서 예로,


-- "By visiting Catholic and non-Catholic families frequently, as well as villages, and showing your concern for people's needs.
-- 가톨릭과 비가톨릭가정들을 자주 방문함으로서 사람들의 요구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보여주기
-

- "By increasing efforts to prepare and train good catechists.
--좋은 교리교사를 준비하여 훈련시키는 노력을 배가할것.


-- "By fostering greater use of charitable services directed especially to children and to sick and old people in order to show the church's unselfish charity.
자선사업,특히 아이들과 병자들,노인들을 위한 자선사업을 일으켜 교회의 이타적 자비를 보여줄것


-- "By organizing special gatherings where Catholics could invite their non-Catholic relatives and friends in order to become better acquainted with the Catholic Church and Christian faith.


가톨릭교인이 외교인 친척과 친구들을 초대하여 가톨릭 교회와 크리스찬 신앙을 알릴수 있는

특별한 모임을 조직할 것.


-- "By distributing Catholic literature to non-Catholics."
외교인에게 가톨릭 문학작품을 보급할것.


In his letter, Cardinal Bertone told priests that the Eucharist is a crucial source of strength for carrying out their ministry and is "at the center of your journey of reconciliation."


그의 편지에서 베르토네 추기경은 성체성사는 이러한 사역을 해나가기 위한 힘의 결정적 근원이며 " 화해의 여정의 중심"에 있다고 말하였다.


"The Eucharist, even if celebrated in a particular community, is never the celebration of that community alone," he wrote.
"특정한 공동체에서 행해지는 성체성사라도 결코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라고 그는 적고 있다.


A truly Eucharistic community is not a closed, self-sufficient community but "must stay in communion with every other Catholic community," the letter said.

진정한 성체성사적 공동체는 "다른 모든 가톨릭 공동체와의 친교안에 머무는" 개방적이며 충만한 공동체이다라고 편지는 말한다.


"In fact, every celebration of the Eucharist presupposes the union not only with the local bishop but also with the pope, the order of bishops, all the clergy and the entire people of God," Cardinal Bertone wrote.
"사실 모든 성체성사는 지역주교뿐만이 아니라 교황과 주교단과 모든 사제들과 하느님의 모든 백성들과의 일치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라고 베르토네 추기경은 적고 있다.


The cardinal's remarks elaborate on a point made in the May 2009 Vatican compendium to the pope's letter to Chinese Catholics concerning the wide latitude individual Catholics have in deciding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sacraments from bishops and priests who are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but have not requested recognition from the pope.

추기경읜 언급은 사도좌의 인정없이 정부에 의해 세워진 주교와 사제들의 성사를 받아들이거나 또는 받아들이지 않는 많은 지역의 개별적인 가톨릭교인들과 관련하여 중국가톨릭교인들에게 보내는 교황의 편지의 2009년 5월 바티칸 요약본에 대한 부연설명이다.


The compendium said if Catholics cannot find pastors in communion with the pope and if they feel they need the sacraments at that moment for their spiritual good, the final decision on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m is up to the individual.
그 요약본은 가톨릭교인이 만약 사도좌와 일치하고 있는 사목자를 찾을수 없고, 그들이 영혼의 선익을 위하여 성사를 원할 경우, 최종적으로 개인자신이 정부승인주교와사제들의 성사를 받아들일지를 결정할수 있다라고 하고 있다.


In his letter to Catholic priests, Cardinal Bertone said the church has experienced internal divisions since its very beginnings.



가톨릭 사제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베르토네 추기경은 교회는 그 초기부터 내부적인 분열을 경험해었다고 말한다.

"Everything forms part of God's plan, so that all may serve his omnipotence, which is wisdom and infinite love. At this time may no one hesitate to seek reconciliation with concrete gestures, to extend the hand to the brother who 'has something against you,'" he wrote.

"모든것이 지혜이시며 무한한 사랑이신 그분의 전능을 위한 하느님의 계획의 일부분입니다.
지금은 아무도 확실한 태도로 화해를 추구하는데 망설이지 말아야 합니다."라고 그는 적고있다.


There is an urgent need to help the faithful, including religious, deepen their Christian formation "because the lack of human maturity, self-control and inner harmony is the most frequent source of misunderstandings, lack of cooperation and conflicts within Catholic communities," he wrote.
그곳의 신자들이 그들의 그리스도인 조직을 더 심화시킬수 있도록 시급히 도울 필요가 있다.

"인간적인 성숙과 자기절제와 내적인 조화의 부족이 가톨릭 공동체에서 가장 흔한 오해와 협동부족,갈등의 원인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추기경은 적었다.






EN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안내 국가형제회 2025-04-24 1252
320 가뭄으로 잦아드는 논물 같은,,, [1] 요한보스코 2009-11-26 184
319 지혜는 생명나무 요한보스코 2009-11-25 198
318 죽음의 순간은 언제인가" 요한보스코 2009-11-23 177
317 깨어 있는 사람 요한보스코 2009-11-20 177
316 원수를 사랑하라, 요한보스코 2009-11-18 185
» 바티칸 국무성 장관 베르토네 추기경이 중국교회에 보내는 메시지 구프란치스코 2009-11-18 192
314 죽음은 긍정적인 의미를,,, 요한보스코 2009-11-16 196
313 사향가 요한보스코 2009-11-14 236
312 연금되었던 중국인 주교 애국회에 참여하기로 구프란치스코 2009-11-13 182
311 위령성월을 맞으며,,, 요한보스코 2009-11-13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