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Christ Embracing St Bernard-RIBALTA, Francisco


Oil on canvas, 158 x 133 cm.Museo del Prado, Madrid






축일: 8월 20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
클레르보의 성 베르나르도


St. Bernardus, D. E
San Bernardo di Chiaravalle Abate e dottore della Chiesa


SAINT BERNARD OF CLAIRVAUX ABBOT, DOCTOR OF THE CHURCH
(Mellifluous Doctor of the Church; Last of the Fathers of the Holy Church )
Born :1090 at Fontaines-les-Dijon, Burgundy, France
Died :20 August 1153 at Clairvaux
Canonized :1170 by Pope Alexander III
Bernardo = ardito come orso, dal tedesco




부르군디의 디죵 교외에 있는 가족 성(城) 폰텐느 레 디죵에서 태어난 베르나르도(1090-1153년)는
어머니의 죽음으로 충격을 받고 모든 영화를 물리치고 수도생활을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경건한 교육을 받아 1111년 시토 수도회에 입회했고 조금 후 클레르보 수도원의 아빠스로 선출되었다.
생활과 모범으로써 수도자들을 덕행으로 훌륭히 이끌었다.

그는 원래 시토회의 창설자가 아니라 그 회원으로 입회하지만,
이 수도회의 개혁과 제2의 창설에 미친 지대한 공로 때문에 창설자 못지 않는 영광을 입었다.
학덕과 성덕이 뛰어났던 그는 곧이어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등장했는데,
제국의 왕들과 교황의 자문을 담당하여 많은 공로를 세웠으며,
알비파 이단을 척결하는 설교자로서 그리고 제2차 십자군 원정을 독려하는 특사로서 많은 활동을 하였다.



교회에 발생하고 있던 분열을 막으려고 유럽 각지에 여행하면서 평화의 일치를 되찾고자 노력했다.
신학과 영성 생활을 다루는 여러 저서들을 남겼다

또한 그는 아르마그의 성 말라기의 생애와 "신애론" 등의 유명한 저서를 비롯하여
수도자들에게 행한 강론집 "아가"와 편지 등을 남겼는데,


그의 저서와 신심은 오늘의 신자들에게도 깊은 감명을 준다.



이리하여 성 베르나르도는 "꿀처럼 단 박사"(Mellifluous Doctor of the Church)


라는 칭호와 더불어 교황 비오 8세에 의하여 교회박사로 선언되었다.
그의 문장은 꿀벌통이고, 양봉업자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1153년 세상을 떠났다.






The Virgin Appears to St Bernard - LIPPI, Fra Filippo.


1447.Wood, 69 x 105 cm.National Gallery, London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의 [아가에 대한 강론]에서
(Sermo 83,4-6: Opera omnia, Edit. Cisterc. 2[1958], 300-302)

나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하고,사랑하기 위해서 사랑합니다.

사랑은 그 자체로 만족을 줍니다.


사랑은 다른 것 때문이 아닌 그 자체로 마음에 드는 것입니다.


사랑은 그 자체로 공로도 되고 상급도 됩니다.
사랑은 그 자체 말고는 다른 이유나 열매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사랑의 열매는 사랑하는 것-바로 그것입니다.
나는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하고 사랑하기 위해서 사랑합니다.



사랑은 보배로운 것입니다.
그러나 사랑이 참된 사랑이라면 자신의 시초로 되돌아가고


자신의 기원으로 돌아서며 자신의 원천으로 되흘러가야 합니다.
거기에서 항상 자신의 물줄기를 받아야 합니다.
사람은 많은 지향과 감정과 정을 지니고 있지만 그 가운데서 피조물은


사랑을 통해서만 창조주께 보답해 드릴 수 있습니다.
비록 창조주께서 우리에게 해주신 것과 같은 정도로는 못하지만


그래도 사랑을 통하여 같은 방법으로 보답해 드릴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누구를 사랑하실 때 그 보답으로 사랑만을 원하십니다.
하느님께서 사람들이 당신을 사랑함으로써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을 아시고,


사랑하실 때 사랑을 받으시는 것 외에 다른 목적을 두지 않으십니다.

신랑의 사랑은, 즉 사랑이신 신랑은 보답으로 다만 사랑과 성실을 찾습니다.
따라서 사랑을 받는 사람은 보답으로 사랑할 수 있습니다.


사랑 자체이신 분의 신부가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사랑 자체께서 사랑받지 못하면 되겠습니까?
신부는 자신의 모든 여타의 정을 포기해 버리고 자신의 전존재로 사랑에게만 헌신합니다.


신부는 보답으로 사랑을 줌으로써 사랑에 응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사랑 안에 자신의 전존재를 쏟아 낸다 해도


이것은 영원한 사랑의 원천에서 흘러 나오는 그 분출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물론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 자체이신 분,


영혼과 말씀이신 그리스도, 신부와 신랑, 피조물과 창조주,
그리고 목마른 사람과 샘에서 흘로 나오는 사랑은 그 풍요성에서 동일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동일하지 않다 해서, 즉 경주에 있어서 거인과, 단맛에 있어서


꿀과,온유함에 있어서 어린 양과, 순결에 있어 백합화와, 광채에 있어 태양과,
그리고 사랑에 있어서 사랑 자체이신 분과 겨루지 못한다 해서


혼인하는 이의 욕망과 애통하는 이의 갈망과 사랑하는 이의 열정과
간청하는 이의 희망이 사라지고 만다는 말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피조물이 창조주보다 더 작아서 그분보다덜 사랑한다 해도


힘을 다해 사랑한다면 부족함이 없고 있을 것이 다 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사랑하는 이는 주님과 혼인했습니다.


이 정도 사랑을 베푸는 사람은 사랑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완전한 혼인이란 양 배우자가 서로 합의하는 것입니다.


말씀이신 주님께서 먼저 또 더 위대하게 사랑하셨다는 것을 누가 의심하겠습니까?







세기의 위인, 그는 오늘날 ’세기의 골키퍼’ , ’세기의 화해자’
이제는 더 이상 어떤 편에서도 충격을 가하지 않는 ’세기의 정당한 공격수’등


너무도 많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그러나 그는 ’12세기의 인물’이다. 여기에는 아무런 의심도 논쟁도 없다.
이 위대한 인물은 바로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이다.

교황의 조언자, 제2십자군의 설교자, 신앙의 옹호자, 분열의 치료자, 수도원의 개혁자,
성서 학자, 신학자이며 웅변적인 설교자,어떤 명칭에서도 그는 보통 사람과는 구별이 된다.
이 모든 자질이 있었음에도 베르나르도는


젊어서부터 은둔하는수도 생활로 돌아가고자 하는 열망을 갖고 있었다.

1111년, 그의 나이 20세에 베르나르도는 시토 수도원에 들어가기 위해 집을 떠났다.
그의 다섯 형제와 두 명의 삼촌과 30명의 젊은 친구들이 그를 따라 수도원에 들어갔다.
쇠퇴해 가던 공동체가 4년 안에 베르나르도 아빠스와 더블어


’윔우드’골짜기 근처에 새집을 짓기에 충분할 정도로 생기를 되찾았다.







열성적인 이 젊은이는 타인에게보다도 자기 자신에게 많은 요구를 했다.
쇠약해진 몸이 그를 더욱 더 끈기 있고 이해심 있게 만들었다.
그 골짜기는 얼마 후 클레르보 즉 빛의 골짜기로 이름이 바뀌었다.
중재자로서, 상담자로서 그의 능력은 널리 알려지게되었다.
그는 수도원 문제에서부터 오래된 분쟁의 해결에 이르기 까지 모든 것에 마음을 쏟았다.
그는 로마의 몇몇 사람들의 감정을 건드린 경우도 있었다.





베르나르도는 교황의 수위권을 옹호하는 일에 헌신했다.
그는 로마로부터 온 걱정스러운 편지에 답하며
로마에 있는 훌륭한 사제들로도 교회의 일치를 이루기에 충분하다고 대답했다.
만일 그들의 관심을 끌 만한 어떤 일이 생겼다면 베르나르도가 제일 먼저 그들에게 알렸을 것이다.

그 후 베르나르도는 무수한 분열을 진압하고 대립 교황주의와 맞서 로마 교황에게 유리하도록 해결하였다.
로마 교황청은 베르나르도에게 전유럽의 제 2 십자군들에게 설교하도록 설득했다.
그의 설교는 너무도 열광적이어서 대부대가 모였고, 마치 십자군의 승리가 확실한 것 같았다.
그러나 군인과 그들 지도자들의 이상은 베르나르도 아빠스의 이상과는 달랐으므로
십자군 계획은 완전한 군사적 파멸과 윤리적 타락으로 끝이 났다.
베르나르도는 십자군의 타락에 대해 여러 가지 면에서 책임을 느꼈다.
이 무거운 부담이 그의 죽음을 재촉하여 그는 1153년 8월20일에 세상을 떠났다.






Apparition of The Virgin to St Bernard - LIPPI, Filippino.


1486.Oil on panel, 210 x 195 cm.Church of Badia, Florence.

교회 안에서 베르나르도의 활동은 오늘날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욱더 적극적인 것이었다.
그의 노력은 원대한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그는 이와 같은 활동들은
그에게 힘과 하느님의 가르침을 가져다 준 오랜 시간의 기도와 명상에서 도움을 받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의 일생은 성모님께 대한 깊은 신심에 의한 것이었다.
성모님에 대한 그의 설교와 저서들은 아직도 마리아 신학의 기초가 되고 있다







"위험과 의심과 어려움에서 성모님을 생각하고 성모님을 부르시오.
그분의 이름을 계속 부르시오. 결코 당신 마음을 비우는 것을 괴로워 마시오.
그리고 당신은 성모님의 기도의 도움을 더욱 명백히 얻기 위하여


그분의 발자취를 따라 걸어가는 것을 소홀히 하지 마시오.



성모님의 안내를 받으면, 당신을 결코 길을 잃지 않을 것이오.
그분이 당신 마음 속에 계신 한, 당신은 현혹되지 않으며


그분이 당신 손을 잡아 주시는 한 당신은 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그분의 보호를 받는다면 당신은 아무것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일 그분이 당신에게로 걸어오신다면, 당신은 권태롭지 않을 것입니다.
만일 그분이 당신에게 호의를 보이신다면 당신은 목표에 도달할 것입니다."


(성베르나르도)





그의 수덕생활의 원리는
"사랑은 정신적 삶의 가장 큰 원동력입니다.그러니 삶속에서 사랑을 실천하시오"입니다.






The Vision of St. Bernard -Fra Bartolommeo.
c.1504. Oil on wood.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Italy




지금도 클레르보-명랑한 골짜기라는 수도원의 성당 안의


동정 성모 마리아 제단 앞에 묻혀 계신 성 베르나르도는
시토회의 둘째 창설자로 ’꿀처럼 단 박사’(Doctor melifluus)라는 칭호를 받고 있다.

그의 탁월한 설교는 수도자들의 성무 일도에 많이 채택되어 있으며, 시시로 많은 감명을 주고 있다.
성 베르나르도의 ’성모 찬송가’는 너무나 유명해 가톨릭 신자라면 누구나 다 아는 바이다.
실제 과거 10세기 동안 이 아름다운 기도문으로 형언키 어려운 위로를 느끼며


새로운 용기를 얻은 이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러므로 이같은 훌륭한 기도문을 작성하고, 따라서 많은 사람들에게


하느님과 성모께 대한 신심을 가르치며 열심을 일깨운 베르나르도는
이 공로 하나만으로써도 충분히 교회 학자의 칭호를 받을 만한 것이다.
그런데다가 이것은 그의 풍부하고도 깊은 신심에 관한 저작 중 극히 일부분이라 하겠다.



테쉘린 소렐과 몽바르드 영주의 딸 알레트의 아들로 태어난 위대한 학자 베르나르도는
1091년에 부르군디의 디죵 근교의 가족 성(城)인 폰텐느 레디죵에서 일곱 아들 가운데 셋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국가의 고관으로서 늘 국사에 분주했으므로,
그의 교육은 자연 신앙이 유난히 두터웠던 어머니의 책임미 되었고


베르타르도에게 있어서 이것은 최상의 행복이었다.



그는 샤틸롱에 가서 공부하면서 청운의 꿈을 펼치고 있었으나


어머니의 죽음으로 많은 충격을 받고서 수도 생활을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느 어머니를 여의었어도 그 존귀한 여러 말씀을 마음속 깊이 간직하며 잠시도 잊은 때가 없었다.

그가 21세 되었을 무렵의 어느 날이었다.


그는 불고뉴의 군영에 입대중인 형들을 방문하는 도중,
어느 길가에 있는 한 성당에 들어가서 잠깐 기도를 바치다가
불현듯 어머니의 말씀을 생각하고, 세속을 떠나 수도 생활을 할 각오를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원래 시토회의 창설자 3명 가운데의 한 명이 아니었지만 흔히들 그를 시토회의 창설자로 부른다.
그가 새로운 수도회인 시토회에 입회한 해는 1113년인데,
그때 그는 자기 형제 4명을 비롯해 모두 31명의 친척과 친구들과 함께
베네딕토회 규칙의 엄격한 해석을 따르기 위해 1098년에 창설된 시토회로 들어갔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그들이 성을 떠날 때 아버지의 슬하에 남게 된 막내동생 니발도를 보고
"우리는 모두 수도원에 들어가므로


이 성이나 영토나 모든 아버지의 재산은 모조리 너의 것이 되는 거야"라고 말하니까,
니발도는 "형님들은 천국의 재산의 상속자가 되는데,
나는 다만 이세상의 재산의 상속자 밖에 못되니 생각할수록 분한 노릇입니다."하고 대답했다 한다.






성모자와 엄률시토회의 세 창립자.


(성 로베르토, 성 알베리코, 성 스테파노 아빠스)

그 당시 프랑스에는 유명한 수도원이 둘 있었다. 클리뉴이회와 시토회다.
그중에서 시토회는 성 노르베르토가 창립한 트라피스트회에 속하며,
생활의 엄격함으로써 유명하여 음식은 언제나 빵과 채소만으로, 절대로 육식을 하지 않고,
6시간의 기도와 6시간의 수면 외에는 심한 노동에 종사할 것을 규정하고 있었다.

그런데 사람이란 본래 편안한 것을 찾는지라,


이 수도원을 지원하는 자는 평소에도 그다지 많지 않았고
게다가 수도원 내에 전염병이 만연해 수사 중에도 쓰러지는 이가 허다했으므로
세상사람은 점차 공포감을 느껴 시토회의 입회 지원자는 하나도 없게 되었다.



그때의 시토회 수도원장은 스테파노 하르딩이라는 규율 엄정한 영국인이었으나,
이런 일을 무척 유감스러이 생각하며 평소부터 좋은 지원자 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했는데,
뜻밖에 베르나르도가 여러 동료들과 더불어 입회를 원하자 날뛰듯이 기뻐하며 즉시 그들을 받아들였다.



베르나르도는 트라피스트회의 엄중하기 짝이 없는 모든 규율을 충실히 지킬 뿐 아니라


자진하여 다른 고행도 많이 행했다.



그리고 언제나


"베르나르도야, 너 무엇하러 여기 왔느냐( Ac quid venisti)?"는


글씨를 앞에 놓고 자신을 격려했다.



Every morning Bernard would ask himself,
"Why have I come here?",


and then remind himself of his main duty - lead a holy life.

이 같은 베르나르도의 수도에 대한 열심이 눈에 들지 않을 수가 없었다.
1115년에 그는 랑그레에 시토 수도원을 세우기 위해 12명의 수도자와 함께 파견되었다.
여기서 그는 자신의 엄격한 규율과 엄격성 때문에 약간의 어려움에 봉착했으나


그의 성덕이 수많은 제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었다.
이때 이 수도원의 이름을 바레 답신트에서 클레르보(명랑한 골짜기)로 바꾸었고,


당시 68개의 시토회 수도원의 모원이 되었다.





그 뒤 그는 38세때 트로아에서 개최된 성직자 회의에 참석하고,
신전기사(神殿騎士)수도원의 규율을 혁신할 것을 위탁받게 되었는데,
이것이야말로 베르나르도가 그리스도교를 위해 공공연히 활동을 시작한 시초로서,
그후로는 주교의 선거나 또한 여러 교리 및 사목 논쟁에 대한 화해 조정 등
중대한 교회의 문제를 그가 관계치 않은 것은 거의 없을 정도로
유럽의 가장 영향력있는 인사 중의 하나가 되어 통치자와 교황의 자문을 담당하기도 했다.



그는 대립 교황인 안클레투스 2세의 요구에 대항해 1130년의 인노첸시오 2세 선출의 합법성을 지지했다.
또한 그는 로테르 2세를 황제로 인정하도록 롬바르드인들을 설득시키는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1140년부터 그는 공적으로 설교하는 일을 시작해 여러 지역의 교회에서 부탁을 받아 강론을 하게 되었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듣는 것보다도 성인이라는 소문이 있는 그를 접하고, 그의 기적을 보며,
그의 축복을 받으려는 열정으로 수십리 되는 먼 거리를 무릅쓰고 모여오곤 했고


이로써 그는 놀라운 명성을 얻었다.

베르나르도는 초청을 받고 이에 응할 수 없는 경우에는


종종 그 교회에 서한을 보내어 훈계나 충고를 아끼지 않았다.
이와 같은 서한 중 지금까지 보존해 내려온 것이 500여 통에 달하고 있는데,
어느것을 보더라도 경건과 신심이 충만해 교회를 염려하는 마음에 누구나 감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의 공로 중 가장 뛰어난 일은 무엇보다도 성지 팔레티나를


회교도의 수중에서 탈환하는 십자군을 위한 설교일 것이다.
이것은 전에 클레르보의 수도자였던 교황 에우제니오 3세의 명에 의한 것으로
그는 전 유럽 각국을 순회하며 일반 시민들에게 성스러운 전쟁에 가담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참가한 각국 장병들은 모두 인간들이라 결국 저들간에 질투와 시기심으로 싸움이 일어나


마침내 십자군 전쟁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이는 베르나르도에 있어서 커다란 시련이었다.


그러나 그는 모든 것을 하느님의 뜻으로 받아들이고 인내하며, 교회에 손해를 입히지 않고,
또 남에게 누를 끼치지 않으려고 성심성의로 기도하며 보속으로 극심한 고신 극기를 감행했다.

그는 교황직의 의무에 대한 글을 교황 앞으로 보내어서 로마 쿠리아의 남용을 자제하고,
교황이 항상 목전에 두어야 할 종교적 신비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교황 에우제니오는 그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있었으므로


그를 랑그독에 파견해 알비파 이단을 대항해 설교토록 했다.






그는 명령받은 임무를 완수하기만 하면 늘 마치 그리운 고향에 가는 것처럼


클레르보에 부지런히 돌아와서 사랑하는 수도 생활에 골몰했다.



그리고 그가 수도원에 돌아올 때는 반드시 새로운 지원자들을 데리고 오는 것이 상례였다.
그리하여 클레르보의 수도자 수는 점차 증가되어 그의 임종시에는 약7백명이란 다수에 달했다.
자신에 대해서는 추상같이 엄격하던 그도, 제자들에 대해서는 봄날처럼 온순히 대하며,
자신의 깊은 신비적 체험에서 베풀어지는 건강한 지도는 누구나 탄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 활동과 심각한 건강 문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왕성한 저술가로도 큰 명성을 얻었다.
그의 서한과 아르마그의 성 말라키의 생애 그리거 신애론이 영어로 번역되었고,
자신의 수도자들에게 행한 강론때문에 그의 저서와 신심은 오늘의 신자들에게도 깊은 감명을 주고 있다.

그는 모든점에서 수도자들에게 명상적 생활을 하도록 권고했다.
그는 밤에도 기도했는데 그의 동료 수사들도 밤에 깨어 함께 기도했다.
그는 수도원을 지혜롭게 잘 다스렸으며, 특히 수도원 규칙을 엄중히 보전해 나가려고 무진 애썼다.
그러므로 그의 정신은 그 수도원에 오늘날까지 살아있다.







1152년 베르나르도는 병상에 눕게 되었는데 마침 메츠시의 귀족과 시민들 사이에 투쟁이 일어나자,
주교는 베르나르도에게 사신을 보내어 그이 조정을 절실히 간청했다.
그러자 그는 쇠약한 몸을 두 수도자에게 부축 받아 그 시에 가서 알선에 노력한 결과


끝내 쌍방을 화해 시키는데 성공했다.
이것이 그의 마지막 활동이었다.






그의 병세는 더욱 심해졌다. 그가 교회를 위해 세운 수많은 공로와 또한 수도원에서
시시로 쌓은 덕행의 보수를 받기 위해 천국을 향해 떠난 것은 1153년 8월 20일의 일이었다.
그때 그의 나이 63세였다. 그는 다양한 기질과 믿음을 가진 사람들로부터 칭송을 받았으며,
’꿀처럼 단 박사’(Doctor Melifluus)란 칭호를 얻었다.


교황 비오 8세가 그를 1830년에 교회 박사로 선언했다.



그는 스콜라학파 이전의 신학자이며, 때로는


"마지막 교부"(Last of the Fathers of the Holy Church)로 불리기도 한다.










☆시토회
Ordo Cistereiensis
Cistereians(O. Cist.)



1098년 프랑스 부르군드지방시토(Citeaux)에서
성 로베트트(St. Robertus de Molesme, ?∼1111)가 설립한 수도원에서 시작된 수도회,
회의 이름은 모원의 지명에서 비롯되었다.
성 베르나르도(St. Bernardus de Clairvaux)의 기여로 크게 발전하였으며,
곧 서부유럽으로 확산되어 13세기 중엽에는 680여 개의 소속대수도원들이 있었다.

은수적(隱修的)인 수도외의 생활양식으로 교회, 제구(祭具), 제의(祭衣) 등이 매우 소박하며
성 베네딕토의 회칙을 기초로 한 규법을 준수하여 단식, 침묵, 단순노동 등이 매우 엄격하게 준수되었다.

1119년 교황 갈리스도 2세에 의해 인간된 `사랑의 헌장’(Charta Caritatis)이 회헌이 되었으며
이런 시토의 규정들은 다른 중세수도원 들, 특히 의전수도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17세기에 시토회에 각국가단위의 구심점들이 형성되자 시토에 있는 수도원은


국외 시토회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였다.
그러나 초기의 엄격한 회칙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려는 운동이 시작되어


이것은 라 트라프 (La Trappe)의 수사들에 의해 실현되었다.

1902년 레오 13세 때 트라피스트회는 시토회에서 `엄률 시토회’로 분리하여 독립하였고,


이 전의 시토회는 `성 시토회’로 존속하였다.
1898년 시토 대수도원이 복구되었을 때 엄률을 채택하엿으며


로마에 거주하는 시토의 아빠스는 엄률시토회의 총장이 되었다.







☆트라피스트회
Ordo, Cisterceinsium Reformatorum
Trappists


1098년 프랑스의 시토(Citeaux)에 세워진 수도회,
즉 시토회 중 `엄률(嚴律) 시토회’의 주요 수도회.
1892년 시토수도원이 모원(母院)으로 회복될때까지 라 트라프(La Trappe)가 엄률 시토회의 중심지였다.
이 곳에 1664년 랑세(A. J. Le B. de Ranc )에 의해 개혁의 물결이 일게 되었으며


이 때 `트라피스트’란 이름이 생겨났다.
이는 이전의 시토회의 성격을 보유하면서 더욱 엄격성을 추가한 회였다.
트라피스트의 생활은 `기도와 참회, 침묵과 노동’으로 요약된다.


(가톨릭대사전에서)






토마스 머튼(1941년 트라피스트 수도원 입회.칠층산,명상의씨 저자)






♬Canto Gregoriano-Salve Festa Dies

















San Bernardo di Chiaravalle Abate e dottore della Chiesa
20 agosto - Memoria
Digione, Francia, 1090 - Chiaravalle-Clairvaux, 20 agosto 1153


Bernardo, dopo Roberto, Alberico e Stefano, fu padre dell'Ordine Cistercense. L'obbedienza e il bene della Chiesa lo spinsero spesso a lasciare la quiete monastica per dedicarsi alle più gravi questioni politico-religiose del suo tempo. Maestro di guida spirituale ed educatore di generazioni dei santi, lascia nei suoi sermoni di commento alla Bibbia e alla liturgia un eccezionale documento di teologia monastica tendente, più che alla scienza, all'esperienza del mistero. Ispirò un devoto affetto all'umanità di Cristo e alla Vergine Madre. (Mess. Rom.)


Patronato:Apicultori
Etimologia: Bernardo = ardito come orso, dal tedesco
Emblema: Bastone pastorale, Libro

A ventidue anni si fa monaco, tirando con sé una trentina di parenti. Il monastero è quello fondato da Roberto di Molesmes a Cîteaux (Cistercium in latino, da cui cistercensi). A 25 anni lo mandano a fondarne un altro a Clairvaux, campagna disabitata, che diventa la Clara Vallis sua e dei monaci. È riservato, quasi timido. Ma c’è il carattere. Papa e Chiesa sono le sue stelle fisse, ma tanti ecclesiastici gli vanno di traverso. È severo anche coi monaci di Cluny, secondo lui troppo levigati, con chiese troppo adorne, "mentre il povero ha fame".
Ai suoi cistercensi chiede meno funzioni, meno letture e tanto lavoro. Scaglia sull’Europa incolta i suoi miti dissodatori, apostoli con la zappa, che mettono all’ordine la terra e l’acqua, e con esse gli animali, cambiando con fatica e preghiera la storia europea. E lui, il capo, è chiamato spesso a missioni di vertice, come quando percorre tutta l’Europa per farvi riconoscere il papa Innocenzo II (Gregorio Papareschi) insidiato dall’antipapa Pietro de’ Pierleoni (Anacleto II). E lo scisma finisce, con l’aiuto del suo prestigio, del suo vigore persuasivo, ma soprattutto della sua umiltà. Questo asceta, però, non sempre riesce ad apprezzare chi esplora altri percorsi di fede. Bernardo attacca duramente la dottrina trinitaria di Gilberto Porretano, vescovo di Poitiers. E fa condannare l’insegnamento di Pietro Abelardo (docente di teologia e logica a Parigi) che preannuncia Tommaso d’Aquino e Bonaventura.
Nel 1145 sale al pontificato il suo discepolo Bernardo dei Paganelli (Eugenio III), e lui gli manda un trattato buono per ogni papa, ma adattato per lui, con l’invito a non illudersi su chi ha intorno: "Puoi mostrarmene uno che abbia salutato la tua elezione senza aver ricevuto denaro o senza la speranza di riceverne? E quanto più si sono professati tuoi servitori, tanto più vogliono spadroneggiare". Eugenio III lo chiama poi a predicare la crociata (la seconda) in difesa del regno cristiano di Gerusalemme. Ma l’impresa fallirà davanti a Damasco.
Bernardo arriva in una città e le strade si riempiono di gente. Ma, tornato in monastero, rieccolo obbediente alla regola come tutti: preghiera, digiuno, e tanto lavoro. Abbiamo di lui 331 sermoni, più 534 lettere, più i trattati famosi: su grazia e libero arbitrio, sul battesimo, sui doveri dei vescovi... E gli scritti, affettuosi su Maria madre di Gesù, che egli chiama mediatrice di grazie (ma non riconosce la dottrina dell’Immacolata Concezione).
Momenti amari negli ultimi anni: difficoltà nell’Ordine, la diffusione di eresie e la sofferenza fisica. Muore per tumore allo stomaco. È seppellito nella chiesa del monastero, ma con la Rivoluzione francese i resti andranno dispersi; tranne la testa, ora nella cattedrale di Troyes.
Alessandro III lo proclama santo nel 1174. Pio VIII, nel 1830, gli dà il titolo di Dottore della Chiesa.


Autore: Domenico Agasso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10-Aug-2001
Letto da 5860 persone




Bernard of Clairvaux

Also known as
Mellifluous Doctor of the Church; Last of the Fathers of the Holy Church
Memorial
20 August
Profile
French nobility. At age 22, fearing the ways of the world, he, four of his brothers, and 25 friends joined the abbey of Citeaux; his father and another brother joined soon after. Benedictine. Founded and led the monastery at Clairvaux which soon had over 700 monks and 160 daughter houses. Revised and reformed the Cistercians. Advisor to, and admonisher of, King Louis the Fat and King Louis the Young. Attended Second Lateran Council. Fought Albigensianism. Helped end the schism of anti-Pope Anacletus II. Preached in France, Italy, Germany. Helped organize the Second Crusade. Friend and biographer of Saint Malachy O'More. Spritual advisor to Pope Eugenius III, who had originally been one of his monks. First Cistercian monk placed on the calendar of saints. Proclaimed a Doctor of the Church by Pope Pius VIII.


Every morning Bernard would ask himself, "Why have I come here?", and then remind himself of his main duty - lead a holy life.
Born
1090 at Fontaines-les-Dijon, Burgundy, France
Died
20 August 1153 at Clairvaux
Canonized
1170 by Pope Alexander III
Patronage
beekeepers; bees; candlemakers; chandlers; Gibraltar; Queens College Cambridge; wax-melters; wax refiners
Prayers
Rythmic Prayer to the Sacred Members of Jesus Hanging on the Cross
Representation
Cistercian having a vision of Mary; Cistercian with a beehive; Cistercian with a chained demon; Cistercian with a mitre on the ground beside him; Cistercian with a swarm of bees nearby; Cistercian with a white dog; Cistercian writing and watching Mary; beehive; bees; book; instruments of the Passion; pen; white dog
Readings
In dangers, in doubts, in difficulties, think of Mary, call upon Mary. Let not her name depart from your lips, never suffer it to leave your heart. And that you may obtain the assistance of her prayer, neglect not to walk in her footsteps. With her for guide, you shall never go astray; while invoking her, you shall never lose heart; so long as she is in your mind, you are safe from deception; while she holds your hand, you cannot fall; under her protection you have nothing to fear; if she walks before you, you shall not grow weary; if she shows you favor, you shall reach the goal.


- Saint Bernard of Clairvaux
--------------------------------------------------------------------------------
Love is sufficient of itself; it gives pleasure by itself and because of itself. It is its own merit, its own reward. Love looks for no cause outside itself, no effect beyond itself. Its profit lies in the practice. Of all the movements, sensations and feelings of the soul, love is the only one in which the creature can respond to the Creator and make some sort of similar return however unequal though it be. For when God loves, all he desires is to be loved in return. The sole purpose of his love is to be loved, int he knowledge that those who love him are made happy by their love of him.


- from a sermon by Saint Bernard
--------------------------------------------------------------------------------
Look at that clever calumniator! He begins by fetching a deep sigh, he affects to be humble, and puts on a modest look, and with a voice choking with sobs tries to gloss over the slander which is on the tip of his tongue One would fancy that he expressly assumed a calm and easy demeanor; for when he speaks against his brother, it is in a tender and compassionate tone. I am really hurt, says he, to find that our brother has fallen into such a sin; you all know how much I love him, and how often I have tried to correct him. It is not today that I have noticed his failing; for I should always be on my guard to speak of others, but others have spoken of it too. It would be in vain to disguise the fact; it is only too true, and with tears in my eyes I tell it to you. This poor unfortunate brother has talent, but it must be confessed that he is very guilty, and however great may be our friendship for him, it is impossible to excuse him.


- Saint Bernard of Clairvaux, 24th sermon on the Canticles




Saint Bernard of Clairvaux
(1090-1153) Confessor, abbot, Doctor of the Church, born Castle Fontaines, near Dijon, France; died Clairvaux, France. Particular care was taken with his education, because his great destiny had been predicted before his birth; he showed remarkable interest and talent in litcrature. With his father and brother and 30 noblemen, Bernard entered the Benedictine monastery at Citeaux, in 1113. He was sent, 1115, at the head of a band of monks to found the house at Clairvaux and was consecrated abbot. He practised such austerities that his health was seriously impaired. The perfection of the monastic life there became the model for the 163 monasteries of the Cistercian reform founded by Bernard. The fame of his learning spread and he became the defender of the Church against the erroneous teaching of Abelard, Arnold of Brescia, and Gilbert de La Porree, championed Pope Innocent II, causing him to be recognized as supreme pontiff in France, England, Ireland, and Germany, and preached the second Crusade, 1133-1137. His writings breathe the most tender devotion to Our Lord and His Blessed Mother. Many miracles are ascribed to him. Patron of bees and wax chandlers. Emblems: Holy Communion, pen, bees, and instruments of the Passion. Canonized, 1174. Relics at Clairvaux; skull in the cathedral of Troyes. Feast, Roman Calendar, 20 August.
New Catholic Dictionar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