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11월 1일


모든 성인 대축일


All Saints’ Day


Tutti i Santi


Omnes Santi


Sollemnitas Omnium Sanctorum 

Soleminity of All Saints,  Feast of All Saints


 


모든 성인들, 특히 교회력에 있어 축일로 지정되지 않은 성인들을 기념하기 위한 날입니다.


609년 교황 성 보니파시오 4세가 로마 판테온 신전을 교회에서 사용하기 위해 축성하고,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하면서 이 날을 제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처음에는 5월 13일에 지켜졌는데,교황 성 그레고리오 3세 (재위731-74년)가


성 베드로 대성당 안의 한 부속 성당을 특별히 모든 성인들을 위해 봉헌하면서 날짜가 변경되어 11월 1일로 바뀌었습니다.


 


이후 835년 교황 그레고리오 4세에 의해 전 교회에 보급되었습니다.


성인들이 그리스도를 충실히 본받아 또 다른 그리스도가 되었듯이 우리들 역시 성인들을 본받아


하루하루의 삶 속에서 우리 자신들이 곧 성인이 되겠다는 각오로 거록한 삶을 살도록 결심하는 날입니다.


 



 


성인은 하느님의 모습을 닮은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사랑으로 하느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자녀는 그 어버이를 닮을 것이며,


그리하여 우리는 모두 성인이 될 희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교회는 오늘, 겨울의 문턱에서 그리스도인들이 죽음을 넘어 새로운 삶을 바라며 살아가도록 미래의 영광스러운 모습을 보여 준다.


또한 지상에 있는 우리와 천상에 있는 모든 사람이 연대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깨우쳐 주려고 한다.


 


성교회에서는 1년을 통하여 성인들을 기념하고 있다.


그런데 이날은 천국의 있는 모든 성인들을 총합하여 기념하고 축하하는 날이다.


본래 성인이라면 교회에서 시성식을 하여 공식선포한 이들만이 아니고 천국의 들어간 영혼은 누구나 다 성인인 것이다.


 


그래서 모든 성인의 날에 그들을 총망라하여 기념하는데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이 축일은 우리로 하여금 천국을 묵상케 해준다.


성스러운 순교자들은 현세에서 무수한 고통을 당하였으나 지금은 천국에서 영복을 누리고 있다.


이날 수많은 사람들이 영명축일을 거행하기도 한다.


 



 


이 축일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예수께서 강생하시기 전에 이미 로마에는 여러 신들에게 봉헌된 웅대한 신전이 있었다.


고대 로마인들은 가지각색의 신들을 숭배하며, 더우기 자신들이 정복한 다른 민족의 신까지 모시고 있었다.


그래서 이와 같이 무수한 신들에게 일일이 제사를 지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그들은 하나의 원형신전을 세우고 그곳에서 모든 신들을 합사(合祀)했다.


로마인의 소위 판테온은 이 신전을 말함이요, 현재도 남아 있어 로마를 방문하는 여행자들의 빼놓을 수 없는 관광지가 되어 있다.


 


로마가 가톨릭의 혜택을 받자, 이 신전은 성당으로 개조되었으며, 전에 잡신들의 상이 있던 곳에 성인들의 동상이 들어섰을 뿐 아니라,


성인 순교자들의 유골이 카나콤바에서 그곳으로 옮겨졌다.


또한 교황 그레고리오 4세에게도 봉헌하고, 11월 1일을 기해 그들을 기념하는 날로 정하게 된 것이 오늘날의 모든 성인의 날의 시초인 것이다.


 



 


본래 성인이라면 교회에서 시성식을 거행해 내외에 선포한 이들만이 아니고, 천국에 들어간 영혼은 누구나 다 성인인 것이다.


그중에는 물론 덕행이 뛰어나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사람도 많을 것이나,


대부분은 성덕이 남에게 알려지지 않고 하느님께만 인정을 받아 천국에서 영원한 행복을 누리고 계시는 분들이다.


 


물론 이러한 분들도 각기 기념과 축하를 충분히 받을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감된 것은 그들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또 설사 알려졌다 하더라도 짧은 1년이라는 시일에 어떻게 다 기념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모든 성인의 날에 그들을 총망라하여 기념하는 데 그의의가 있는 것이다.


이날 우리는 성인들을 통하여 위대하 기적을 행하신 하느님께 감사하고 성인들을 찬미하며 그들의 전달을 청하는 것이다.


또한 그들의 모범을 본받기 위하여 우리 자신을 반성하는 것이다.


 



 


성인들을 본받는다는 것은 그들에 대한 우리의 최대의 존경이다.


모든 성인 중에는 각 계급, 각종 직업인이 포함되어 있어, 제왕도 있고 병사도 있으며, 사제(師弟)가 있는가 하면 자본가, 노동자도 있다.


그뿐만이 아니라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실로 연령에 있어서도 여러 층에 있는 인물들인 것이다.


더욱이 성인은 과거에만 존재한 것이 아니며, 현재에도 또한 장래에도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누구나가 다 자기가 받들어 거울로 삼을 성인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가 있는 것이다.


 



 


성 아우구스티노는 자신을 격려해 말하기를, "성인 성녀도 사람이고 나도 사람이다.


그들이 할 수 있었다면 난들 왜 못할 것인가?"했다 하는데, 실지 가톨릭 신자라면 너나할 것 없이 다 이런 기백을 가져야 한다.


성인들은 우리와 같은 사명을 띠고 우리와 같은 일을 했으며, 우리보다 더 큰 고생을 겪었고, 우리와 동등한 인간이면서도 성인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라면 누구나 마음 갖기에 따라서 성인이 될 수 있지 않겠는가?


다만 필요한 것은 그들같이 스스로 노력하는 것이다. 물론 성인이 되는 것은 확실히 어려운 일이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지금의 어려움을 생각할 것이 아니고 천당에서 받을 보수를 생각해야 한다.


 



 


이 축일은 우리로 하여금 천국을 묵상케 해준다.


성스러운 순교자들은 현세에서 무서운 고통을 당했으나, 지금은 천국에서 영원한 복을 누리며 언제까지나 기쁨뿐, 영원히 이를 놓치지 않는다.


증거자, 성스러운 부부, 정결한 동정녀와 훌륭한 과부, 그 누구를 막론하고 많은 고초를 겪지 않으신 분이 없다.


그 대신 지금은 고통, 슬품, 눈물, 고독, 병, 죽음 등 이 모든것이 말끔히 사라지고 오로지 행복과 환희와 하느님의 총애에 충만되어 천국에 있는 것이다.


 


이런 점을 살펴보니, 모든 성인의 축일을 맞이해 그들이 우리를 향하여 "영감히 참고 견고히 신앙을 지켜라.


인생은 짧고 천국의 기쁨은 영원하다"고 부르짖는 것같이 느껴진다.


우리는 모든 성인들의 충고를 듣자. 그들은 절대로 우리를 돕는데 인색하지 않을 것이다.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의 강론에서


(Sermo 2: Opera omnia, Edit. Cisterc. 5 [1968], 364-368)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형제들에게로 서둘러 나아갑시다.


 


우리가 바치는 칭송과 찬양 그리고 오늘 지내고 있는 이 축일 자체마저 성인들께는 무슨 소 용이 있겠습니까?


아드님의 진실한 약속에 따라 하늘의 아버지에 의해 영광에로 올림받은 이들에게 우리가 바치는 지상적 영예가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우리가 그들의 영광을 널리 전 한다고 해서 그들에게 보탬되는 것이 무엇이 있겠습니까?


성인들은 우리가 바치는 영예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공경심으로 그들에게 바칠 것이란 조금도 없습니다.


그분들을 기억하며 존경심을 바치는 것은 우리 편의 유익이지 그분들의 유익이 아닙니다.


내 느낌을 솔직 히 말한다면 내가 그들을 기억할 때 마음속에 열렬한 욕망으로 불타 오름을 느낍니다.


 


성인들에 대한 기억이 우리 안에 일으키거나 자극시켜 주는 첫 소망은 그들과 동반자가 되고


복된 영들과 더불어 동료 시민, 같은 가족 성원이 되며, 성조들의 집회와 예언자들의 지위, 사도들의 모임과 무수한 순교자들의 군단,


증거자들의 무리와 동정녀들의 합창단에 한 자리를 얻어, 마침내 모든 성도들의 통교에 하나가 되어 그들의 기쁨을 함께 누리는 것입니다.


과거에 뽑힌 이들의 교회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데 우리는 이에 무관심합니다.


성인들은 우리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는데 우리는 그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깁니다.


의인들은 우리를 고대하고 있는데 우리는 모르는 체 합니다.


 


형제들이여, 우리의 게으름을 떨쳐 버리고 일어나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하여 위의 것을 찾고 그것을 향유하도록 합시다.


우리를 고대하고 있는 이들을 우리도 고대하고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이들에게로 서둘러 나아가며


우리를 만나기를 원하는 이들과 마음의 열망으로 함께 하도록 합시다.


그들과 함께 있는 것만 바라지 말고 열의와 뜻을 다해 그들이 현존해 주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성인들의 행복과 영광을 함께 누리는 것을 염원합시다.


그들의 영광을 염원하고 열망하는 것은 결코 위험한 것도, 해로움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성인들을 기념할 때 우리 안에 일어나는 소망이 또 하나 있습니다.


즉 우리의 생명인 그리스도께서 성인들에게 드러내시는 것처럼 우리에게도 드러내시고 우리도 그분과 함께 영광 중에 드러나기를 바라는 그런 소망입니다.


우리의 머리이신 분은 아직도 실제 그대로 드러나시지 않으며 우리를 위해 사람이 되실 때의 그대로만 즉 영광의 관을 쓰지 않으신 채


우리 죄의 가시로 둘러싸여 드러나시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머리께서는 가시관을 쓰고 계신데 그 머리의 지체인 우리가 호의호식한다면 부끄러워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우리의 화려한 옷은 그분께는 영예가 되지 않고 오히려 조롱 거리가 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날 즉 그분의 죽으심이 더 이상 전파되지 않을 때가 올 것입니다.


그때에 우리 역시 죽어서 우리 생명이 그분과 함께 하느님 안에 감추어져 있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우리의 머리께서는 영광 중에 나타나시고 당신과 함께 영광을 입은 당신의 지체들도 빛날 것입니다.


그때에 그분은 우리의 비천한 몸을 변모시키시어 머리이신 당신처럼 영광되게 하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열성을 다하여 이 영광을 희망합시다.


그러나 이 비할 수 없는 행복에 대한 소망이 성취되고자 한다면 성인들의 전구를 간절히 청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신속히 그것을 청합시다.


이렇게 하여 우리 힘만으로써는 얻기 불가능한 것을 그분들의 전구로써 얻게 될 것입니다.


 



 


성인의 기원과 역사


성인 공경의 기원은,


콘스탄틴 대제 때인 313 년 밀라노 칙령으로 종교의 자유가 용납된 이후 순교자들을 공경하기 시작하던 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순교는 그리스도처럼 진리를 따라 목숨을 아끼지 않고 하느님을 증거하는 것이었으므로 그 존귀함을 크게 받들어 공경하는 것이었고,


주님의 이름으로 순교하는 것을 최대의 영광으로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10 세기 말에 이르러 교황청에서는 성인 품위를 정하게 되었고 세계에 그 성인들을 받들어 공경하도록 선포하는 시성식을 거행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당시 복자 시복은 지방 교회에서 하였으므로 복자는 그 지역에서만 공경하게 되었고,


성인은 로마에서 교황의 권한을 따라 시성되신 분으로 세계적으로 공경하는 성격을 띠었습니다.


그러다가 시복까지도 로마 교황청에서 관장하였고, 17세기에 들어와 복자, 성인의 시복 시성 문제를 교회법으로 분명하게 규정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축일의 의미


성인의 축일은 대개 그 분들이 돌아가신 날로 정하였으며, 우리 신자들은 이 날을 기념합니다.


이는 초대교회에서 순교자들의 죽음은 바로 축복받은 새 생명으로 탄생한 것으로 여긴 데서 기인합니다.


신자들은, 성인들께 위대한 은혜를 베풀어주신 하느님을 찬미하고, 그러한 은혜를 받으신 성인들께서 우리를 위한 기도를 해 주실 것을 청하며,


그분들의 생애를 모범으로 삼아 생활할 것을 바랍니다.


 



 


주보성인


가톨릭 신자들은 세례 때에 성인이나 성녀를 택하여 그분들의 이름을 자신의 세례명으로 정하고,


그 성인들께서 이 세상에 살아 계셨던 동안 실천하신 덕행을 본받아 살아갈 것을 다짐합니다.


 


가톨릭 신자로 태어날 때에 세례명을 정해 받는 것은 13 세기부터였고,


현대에는 필수적으로 되었으며 교회법(1917년에 공포된 현행법전 761조)에서도 이를 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신심단체들도 주보 성인을 모시는데, 예를 들면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강론자의 주보성인, 성녀 데레사와 프란치스꼬 성인은 전교의 주보성인 등입니다.


로욜라의 성이냐시오는 피정과 영성수련의 수호자이시다.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축일: 8월20일.게시판1324번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축일: 9월13일.게시판1363번


성녀 소화데레사 축일: 10월1일.게시판1398번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축일: 10월4일.게시판1403번.1369번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축일: 12월3일, 게시판1504번.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축일: 7월31일.게시판1294번


성인聖人(성인공경):게시판1341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윤광 및 후광

성인의 초상에 전신 혹은 머리 부분에 광채를 그린 것은 옛날부터 내려오는 관습입니다.

이런 일은 그리스도교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니라,

불교에서도 부처나 보살의 초상에 후광을 그린 것등,

또는 영광과 권능 등의 표시로 일상 널리 쓰이는 상징입니다.


성화를 그리는 화가가 성인의 초상에 후광으로 빛을 그리게 된 것은

5 세기경부터며 중세 이후로 점차 널리 보급되었습니다.


 


빛을 그리는 양식은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후광은 초상의 전신에 빛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의미하며,

윤광은 머리만 빛으로 두른 것입니다.

윤광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그릴 때도 있으며,

또한 머리에 둘러 그린 것도 있고 머리 위에 조금 떨어지게 그린 경우도 있습니다.


 


교회 안에서 성인이라는 소문이 있다하더라도 교회가 절차를 밟아

시복 시성하지 않은 사람의 초상에 후광이나 윤광을 그릴 수 없는데,

이런 결정은 교황 우르바노 8 세께서 결정한 것이고 오늘날까지 지켜오고 있습니다.


 



 


성인공경 聖人恭敬

라틴어 cultus Sanctorum

영어 veneration of Saints




성인들에 대한 공경은 전승(傳承)을 통하여 이어져 온 교회 영성(靈性)의 한 요소이며

한때는 신자들의 전례 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가톨릭 신심(信心)의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

교회는 트렌트 공의회에서 성인공경에 관하여 종교개혁자들에게 설명하는 동시에

가톨릭 신자들에게 그 남용이나 지나침이 없도록 당부하였다(Denz. 984-988).

공의회는 성인의 전구(轉求)가 하느님의 말씀에 반대되며 하느님과 인간 사이에 한 분의 중개자이신

예수 그리스도(1디모 2:5)의 영예를 해치는 것이라는 종교개혁자들의 주장을 배격하고,

우리의 주님, 홀로 우리의 구원자요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의 축복을 받기 위해서 성인들을 불러 도움을 구하는 것은 마땅하고 유익한 일이라 하였다(Denz. 984, 989).



성서에는 성인공경에 대하여 명백히 말씀하신 것이 없다.

구약성서에는 하느님의 구원 성업(聖業) 내에서 발휘하는 중개자의 기능이 나타나 있는데

대사제, 천사들, 과거의 위대한 인물 등이 중개자에 속하였다.

마카베오 시대에 이르자 피로써 증언을 한 순교자들이 생존자를 위하여 전구한다고 이해하였다(2마카 15:12-16, 7:37).

신약성서에서 이 중개자의 기능은 그리스도에게 집중되었고

그의 십자가상 죽음과 종말에 있을 재림 때 전면에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다른 모든 중개자들은 빛을 잃는다.



이밖에 성서의 가르침에 따르면

하느님의 백성과 이의 모든 구성원들은 성성(聖性)을 본질적 특징으로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이 백성의 구성원들은 성인(聖人)들이라 불린다(로마 1:7,15:25, 1고린1:2, 16:1).

성서는 또한 교회의 개개 구성원들이 구원에 있어서 연대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구성원들은 전체의 선익을 위하여 성령의 다양한 선물을 받았고,

그 선물의 능력을 서로에게 이익되게 발휘함으로써 공동체가 건설된다는 의식을 가진 것이다(1고린12 참조).

이 하느님의 백성은 구세사의 과정에서 '증인들의 구름'(히브 12:1)과 결합하나,

이 증인들의 구름은 하느님 백성의 마음속에 익명의 집합체로 남아 있지 않고 사도들과 순교자 개인별로 기억되었다.



이들을 존경하고 전구를 청한 사례가 문서에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2세기 중엽이다(폴리카르포의 순교록 XVII, 3).

박해가 끝나자 이들 증인들의 구름은 증거자들로 인하여 더욱 많아졌다.

이들에 대한 존경의 성격이 교회 내에서 문제가 되자

제2차 니체아 공의회는 하느님에 대한 존경을 흠숭지례(欽崇之禮, adoratio)라 하고

성인들에 대한 존경을 공경지례(恭敬之禮, veneratio)라 하여 양자를 구별하였다.

이 구별은 중세기를 통하여 신학의 규범이 되었다.



조직신학에서 성인공경 문제가 차지하는 위치는 교회론에 속한다.

그래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 주제를

교회헌장(제7장 지상 여정 교회의 종말적 성격과 천상 교회와의 일치)에서 다루고 있다.

성인공경이란 교회의 종말론적 차원에 대한 부단한 인식이다.

"세상의 종말은 이미 우리에게 다가온 것이며(1고린 10:11)

세상의 쇄신도 이미 결정적으로 현세에서 어느 정도 미리 실현되고 있는 것이니"(교회헌장 48)

참된 종말론적 성성이 이미 교회내에 존재하고 있다.

이 성성은 하느님을 직접 뵙고 있는 천상 교회의 신자들과

연옥에서 단련을 받고 있는 신자들과 지상 여정에 있는 신자들에게 모두 존재한다.

그러므로 종말론적 완성에로 초대하는 하나의 부르심에 바탕을 둔

교회의 단일성과 하나의 세례는 주님과 함께 살고 있는 모든 이를 포용한다.



그러므로 교회가 성인들을 인정함은 곧 교회 자체를 인정하는 것이며

지상에서 이룩한 하느님 은총의 승리를 찬양하는 셈이다.

이 인정과 찬양이 교회 내에서 이해되고 세상에 알려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익명의 집단으로만 언급될 수 없고 이들 증인들을 호칭하여 부를 수 있어야 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의하면 성인공경은 절대로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신 안에서 하느님 아버지께 바쳐지는 흠숭을 약화시키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더욱 완전케 한다.

왜냐하면 하느님의 자녀로서 그리스도 안에 한 가정을 형성한 우리 모두가(히브 3:6)

서로 사랑하며 지극히 거룩하신 성삼(聖三)을 함께 찬미함으로써 서로 교류할 때에

교회의 깊은 내적 생명을 다하는 것이며 완성된 영광의 전례를 미리 맛보고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진정한 성인공경은 우리의 행동적 사랑의 깊이에 있으며

이런 사랑으로 우리는 우리 자신과 교회의 선익을 위하여

성인들의 생활에서 모범을 찾고 통공에서 일치를 찾으며 전구에서 도움을 찾는다(교회헌장 51).



하느님께 가까이 나아가기 위하여 유일한 중개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흠숭하면서

성인들과 아울러 공경하는 이유는 이밖에도 하느님의 사랑과 이웃 사랑이 하나라는 계시진리와,

현양받으신 주님의 인성(人性)이 구원에 있어서 발휘하는 영원한 기능을 깊이 성찰함으로써

더욱 명확히 밝혀질 수 있다.

[참고문헌] Ernst Niermann, Veneration of Saints, Sacramentum Mundi, Burns & Oates, 1970/

제2차 바티칸 공의회문헌 중 교회에 관한 교의헌장, 한국 천주교중앙협의회, 1969

(가톨릭대사전에서)


 



 


 


*위령성월:게시판1447번.


*위령의날.대사:게시판1449번.


*위령미사,연미사:게시판1450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 할로윈 Halloween :

All Hallows' Eve(Evening)라고도 함.

모든 성인(聖人)의 날 전날인 10월 31일에 지키는 거룩한 밤.


모든 성인의 날 All Hallows'day 의  전날을  All Hallows' Eve 라고 부르다가


할로윈 Halloween’으로 바뀐 것이다.


 


 


 


 


 


1. ♬Missa de Angelis-Sanctus


 



 


 


2. ♬4.Sanctus-빈소년합창단


(* 빈소년합창단의 음악파일을 들으시려면


도구 - 인터넷 옵션 - 고급 에서 URL을 항상 UTF-8로 보냄(다시 시작해야 함)에


체크되어있는것을 푸시면 됩니다.  들으시고 난 후 다시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 한글로 된 음악파일은 다시 올릴 수 없었습니다. 그림파일은 영문자로 바꾸어 다시 올렸습니다.)


 


 



 


 


 


 


 


 


 


 


 


 


 


 


 


 


 


 


 


 


 


 


 


 


 


 


 


 


 


 


 


 


 


 


 


 


 


All Saints’ Day


Solemnity celebrated on the first of November. It is instituted to honour all the saints, known and unknown, and, according to Urban IV, to supply any deficiencies in the faithful’s celebration of saints’ feasts during the year.


 


In the early days the Christians were accustomed to solemnize the anniversary of a martyr’s death for Christ at the place of martyrdom. In the fourth century, neighbouring dioceses began to interchange feasts, to transfer relics, to divide them, and to join in a common feast; as is shown by the invitation of Saint Basil of Caesarea (397) to the bishops of the province of Pontus. Frequently groups of martyrs suffered on the same day, which naturally led to a joint commemoration. In the persecution of Diocletian the number of martyrs became so great that a separate day could not be assigned to each. But the Church, feeling that every martyr should be venerated, appointed a common day for all. The first trace of this we find in Antioch on the Sunday after Pentecost. We also find mention of a common day in a sermon of Saint Ephrem the Syrian (373), and in the 74th homily of Saint John Chrysostom (407).


 


At first only martyrs and Saint John the Baptist were honoured by a special day. Other saints were added gradually, and increased in number when a regular process of canonization was established; still, as early as 411 there is in the Chaldean Calendar a "Commemoratio Confessorum" for the Friday after Easter. In the west, Pope Boniface IV on 13 May 609 or 610, consecrated the Pantheon in Rome to the Blessed Virgin and all the martyrs, ordering an anniversary. Gregory III (731-741) consecrated a chapel in the Basilica of Saint Peter to all the saints and fixed the anniversary for 1 November. A basilica of the Apostles already existed in Rome, and its dedication was annually remembered on 1 May. Gregory IV (827-844) extended the celebration on 1 November to the entire Church. The vigil seems to have been held as early as the feast itself. The octave was added by Sixtus IV (1471-84).


 


-Francis Merseman, from the Catholic Encyclopedia, copyright 1907


 


 


 


 


Tutti i Santi


 


1 novembre - Solennita


 


La Chiesa e indefettibilmente santa: Cristo l’amata come sua sposa e ha dato se stessa per lei, al fine di santificarla; percio tutti nella Chiesa sono chiamati alla santita. La Chiesa predica il mistero pasquale nei santi che hanno sofferto con Cristo e con lui sono glorificati, propone ai fedeli i loro esempi che attraggono tutti al Padre per mezzo Cristo e implora per i loro meriti i benefici di Dio. Oggi in un’unica festa si celebrano, insieme ai santi canonizzati, tutti i giusti di ogni lingua, di ogni razza e di ogni nazione, i cui nomi sono scritti nel libro della vita. Si inizio a celebrare la festa di tutti i santi anche a Roma, fin dal sec. IX. (Mess. Rom.)


 


La prima lettura della Messa di oggi, ripete un brano dell’Apocalisse di San Giovanni, con la visione di tutti i " servi di Dio ".


" E vidi una gran folla, che nessuno poteva contare, di tutte le genti e tribu e popoli e lingue, che stavano di faccia al trono e di faccia all’Agnello, rivestiti di bianche vesti e con palme nelle mani. E gridavano a gran voce: "La salvezza e dovuta al nostro Dio, che e seduto sul trono, e all’Agnello" ".


L’Agnello, come si sa, e la figura del Cristo il quale, nel suo discorso sul monte, aveva rivolto a tutti le promesse dette " le beatitudini " che, sempre nella Messa di oggi, si leggono al Vangelo:


" Beati i poveri in spirito, perche di loro e il regno dei cieli. Beati i mansueti, perche essi possederanno la terra. Beati coloro che piangono, perche saranno consolati. Beati quelli che hanno fame e sete di giustizia, perche saranno saziati. Beati i misericordiosi, perche troveranno misericordia. Beati i puri di cuore, perche vedranno Dio. Beati i pacifici, perche saranno chiamati figli di Dio. Beati quelli che soffrono persecuzioni a causa della giustizia, perche di loro e il regno dei cieli.


" Beati voi, quando vi oltraggeranno e, mentendo, diranno ogni male di voi per causa mia. Rallegratevi ed esultate, perche grande e la vostra ricompensa nei cieli ".


I Santi sono coloro che si sono meritati la ricompensa del cielo: poveri in spirito, mansueti, tribolati, giusti, misericordiosi, puri, pacifici e perseguitati a causa di Gesu. Tutti Santi. Innumerevoli Santi, come dice chiaramente la Apocalisse.


La santita non e dunque rara, se di Santi e gremito il cielo. I Santi non sono soltanto quelli venerati nel Calendario, che pure sono gia molti, ma rappresentano una piccolissima quota dei Santi che, come dice San Giovanni, " nessuno potrebbe contare " tranne Dio.


Nel Calendario, la Chiesa ha segnato soltanto i nomi di coloro la cui vita e stata riconosciuta esemplare. Ma sono santi tutti coloro che si salvano, e sperano di salvarsi per i meriti di Gesu.


Oggi e dunque la grande festa della Chiesa trionfante, che attorno al trono di Dio esulta nella sterminata assemblea dei salvati, mentre, come dice San Giovanni, " tutti gli angeli gridano: "La benedizione e la gloria e la sapienza e il ringraziamento e l’onore e la potenza e la forza del nostro Dio, per i secoli dei secoli" ".


Resta da dire brevemente come e quando venne istituita la festa di Tutti i Santi o, come si dice piu latinamente, di Ognissanti.


Anche questa festa venne dalla Chiesa Orientale, e fu accolta a Roma quando il Papa Bonifacio IV tra-sformo il Pantheon, dedicato a tutti gli dei dell’antico Olimpo, in una Chiesa in onore della Vergine e di tutti i Santi.


Cio avveniva il 13 maggio del 609. Alcuino, il maestro di Carlomagno, fu uno dei propagatori della festa. Egli era un inglese di York, e i Celti consideravano il 1* novembre giorno di solennita, perche segnava l’inizio della stagione invernale.


Si pensa percio che lo spostamento della festa, dal 13 maggio al 1* novembre, sia stato determinato da influenze anglosassoni e francesi. Cio avvenne nel 1475, sotto il pontificato di Sisto IV.


 


Fonte:   


 Archivio Parrocchi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616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0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 안젤라 2009-11-09 4680
615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1일 성 메나스 안젤라 2009-11-10 53572
614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1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 안젤라 2009-11-10 22162
613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2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 안젤라 2009-11-10 5286
612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3일 성 대 니콜라오 교황 안젤라 2009-11-10 4672
611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3일 알칼라의 성 디에고(디다코) 수도자(1회) 안젤라 2009-11-10 5293
610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4일 성 라우렌시오 오틀 주교 안젤라 2009-11-10 4331
609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4일 성 니콜라오 타벨리츠 사제와 동료 순교자(1회) 안젤라 2009-11-10 4915
608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5일 성 대 알베르토 주교 학자 안젤라 2009-11-10 5634
607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6일 성녀 대 제르투르다,성녀 맥틸다 안젤라 2009-11-10 5508
606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6일 스코틀랜드의 성녀 마르가리타 안젤라 2009-11-10 21031
605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7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3회) [3] 안젤라 2009-11-10 156330
604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8일 성녀 로즈 필리핀 뒤센느 안젤라 2009-11-18 82752
603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8일 크라코비아의 복녀 살로메아(2회) 안젤라 2009-11-18 23681
602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8일 성베드로 대성당과 성바오로 대성당 축성 봉헌 안젤라 2009-11-18 5243
601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9일 아시시의 성녀 아네스(2회) 안젤라 2009-11-18 34382
600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0일 발로아의 성 펠릭스 안젤라 2009-11-20 22394
599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1일 성 젤라시오 1세 교황 안젤라 2009-11-20 4969
598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1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안젤라 2009-11-20 5414
597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2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순교자 안젤라 2009-11-23 4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