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 거듭 사업에 실패하자, 이들 내외는 갑자기 가난 속에 빠지고 말았다.
남편은 다시 일어나 사과 장사를 시작했다. 서울에서 사과를 싣고 춘천에 갔다
넘기면 다소의 이윤이 생겼다. 그런데 한 번은, 춘천으로 떠난 남편이 이틀이
되고 사흘이 되어도 돌아오지를 않았다. 제 날로 돌아오기는 어렵지만, 이틀째
에는 틀림없이 돌아오는 남편이었다. 아내는 기다리다 못해 닷새째 되는 날
남편을 찾아 춘천으로 떠났다. (춘천에 도착해서 모든 여관을 다 뒤지기도
하고... 천신만고 끝에 그 이튿날 매표구 앞에 늘어선 줄 속에서 그 남편을 찾았다)
트럭에다 사과를 싣고 춘천으로 떠난 남편은, 가는 길에 사람을 몇 태웠다고 했다.
그들이 사과 가마니를 깔고 앉는 바람에 사과가 상해서 제 값을 받을 수 없었다.
남편은 도저히 손해를 보아서는 안 될 처지였기에 친구의 집에 기숙을 하면서,
시장 옆에 자리를 구해 사과 소매를 시작했다. 그래서, 어젯밤 늦게서야 겨우
다 팔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전보도 옳게 제 구실을 하지못하던 8.15 직후였으니...
함께 춘천을 떠나 서울로 향하는 차 속에서 남편은 아내의 손을 꼭 쥐었다.
그 때만 해도 세 시간 남아 걸리던 경춘선, 남편은 한 번도 그 손을 놓지 않았다.
아내는 한 손을 맡긴 채 너무도 행복해서 그저 황홀에 잠길 뿐이었다.
그 남편은 그러나 6.25 때 죽었다고 한다. 여인은 어린 자녀들을 이끌고 모진
세파와 싸우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제 아이들도 다 커서 대학엘 다니고 있으니, 그이에게 조금은 면목이 선 것도
같아요. 제가 지금까지 살아 올 수 있었던 것은, 춘천서 서울까지 제손을 놓지
않았던 그이의 손길, 그것 때문일지도 모르지요."
여인은 조용히 웃으면서 이렇게 말을 맺었다.
지난 날의 가난은 잊지 않는게 좋겠다. 더구나 그 속에 빛나던 사랑만은 잊지 말
아야겠다. "행복은 반드시 부와 일치하진 않는다."는 말은 결코 진부한 일 편의
경구만은 아니다. (김소운 의 '가난한 날의 행복', 실화 수필에서)
그 여인은 남편의 '따뜻한 손길'을 늘 상기하며 이 험난한 세상을 헤쳐나갔던 것
이지요. 젊을 때 좋은 추억을 많이 쌓아놓은 부부는 노후에도 그 추억을 되살리며
금슬 좋게 살 수 있다고 합니다. 지금부터라도 아내에게 잊지 못할 사랑의 추억을
많이 만들어 드려야겠네요. ^^
항상 그렇게 생각은 하지만 잘 실천되지 않는게 우리네 현실입니다.
부산 대연 안토니오형제회 유기 신성민 도미니꼬
e-mail : ssmdooil@naver.com